백수오-1(백하수오) 무엇인가?

백발검게하며 무병장수의 선약 백수오

 

 

 

 

 

 

 

 

 

 

 

 

img1.jpg

 

 

[백수오의 잎, 꽃, 줄기흰유액, 열매,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검색]

▶ 강장작용, 갱년기 장애, 안신, 체허실면, 건망다몽, 피부소양, 허약체질, 보혈, 사지관절무력동통, 빈혈, 수염과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증세, 만성풍비,
건위, 소포창, 일식, 어구창독, 장출혈, 궤양으로 상처가 아물지 않는 증세, 병후회복, 가슴두근거림, 불면증, 신경쇠약, 학질, 치질, 결핵, 혈허증, 간신허로 허리와 무릎에 맥이 없는데, 피로회복, 노인변비, 백발을 검게하며 면역계를 튼튼하게 하여 무병장수하게 하는 백수오(백하수오)

백수오 즉 큰조롱은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백수오의 학명은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이다. 높이 1~3m이고 원줄기는 왼쪽으로 감아 오른다. 잎은 마주나며 삼각형 달걀모양의 심장꼴 또는 심장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갈라진 조각은 길이 5~10cm, 너비 4~8cm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잎자루는 아래부분은 것은 길며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7~8월에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길이 1~4cm의 산형화서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5개로 갈라지며 넓은 바소모양 갈라진 조각은 길이 3mm로서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오그라든다. 열매는 골돌과로 9~10월에 익으며 길이 8cm, 너비 1cm의 바소모양이다. 골돌 열매는 박주가리열매보다 약간 작은 길이가 약 10센티미터이다. 성숙되면 한쪽면의 배가 갈라지면서 터지는데 생김새가 박주가리열매처럼 은백색의 가늘고 보드라운털이 있으며 길이가 약 3센티미터이다.

덩굴성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연해주 등에 분포하며 산기슭의 풀밭이나 경사진 바닷가에서 서식한다.
줄기를 자르면 흰유즙이 나온다.  

백수오의 여러가지 이름은
격산소[隔山消=shān xiāo=샤오: 전국중초약휘편(全國中草藥彙編)], 과산표[過山飄, 무량등:無梁藤, 격산효:隔山撬: 사천(四川)], 코이케마[コイケマ=小いけま=小牛皮消=小生馬: 일문명(日文名)], 백수오[白首烏=bái shǒu wū=바이소우V: 최근 백수오로 한국에서 이름 개명함], 큰조롱, 은조롱, 백하오, 백하수오, 새박덩굴, 구진, 새박뿌리, 해숭애, 박죽뿌리, 곱뿌리, 씨조롱, 참새박죽 등으로도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큰조롱(Cynanchum wilfordii(Maxim) Hemsl.)을 적하수오 대용으로 백하수오라고 쓰고 있다.

※ 참조:
중국에서는 백수오(白首烏)라고 하여 아래와 같은 종류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1, 격산소[
隔山消=큰조롱=백수오=백하수오: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2, 대근우피소[
大根牛皮消: Cynanchum bungei Dence]

3, 이엽우피소[
耳葉牛皮消: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4, 격산우피소[
隔山牛皮消: Cynanchum roilfordi 'Maxim.' Hemsl.]

[채취]

<덩이뿌리>

1, <중국본초도록>: "
4∼5월 혹은 10∼11월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덩이뿌리>


1, <동약사참고집>: "
레찌틴, 녹말, 조지방 등이 들어 있다."

2, <북한동의보감>: "
치난콜, 배당체, 레치틴, 아미노산, 당, 농마, 기름, 광물질."

3, <CD-ROM 한국의 약초>: "
cynanchol, 강심배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4, <
아주대병원 이득주 교수>: "백수오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 물질이라고 주장했다."

5, <
삼성제일병원이 미국 캘리포니아 병원에서 공동으로 진행한 시험>: "백수오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을 섭취한 그룹은 폐경기, 갱년기 증상이 개선 효과가 탁월했다고 전한다. 백수오는 중장년 남성들 사이에서도 인기다. 백수오가 자양강장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정력을 강화해주는 것은 물론이고 머리 숱이 없는 사람의 경우 검은 머리가 나는 것으로 알려졌 있기 때문이다."

[성미]


<덩이뿌리>


1, <중국본초도록>: "
맛은 쓰고 달면서 떫으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덩이뿌리>


1, <중국본초도록>: "
안신(安神), 보혈(補血), 체허실면(體虛失眠), 건망다몽(健忘多夢), 피부소양(皮膚瘙痒)."

[용법 및 용량]


1, <중국본초도록>: "뿌리 하루 15∼5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큰조롱인 백수오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의 <중국본초도록> 제 1권 152면 27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격산소(隔山消)

기원: 라마과(蘿科=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식물인 격산소(隔山消=큰조롱=백수오: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의 괴근(塊根)이다.

형태: 다년생 초목성(草木性) 덩굴식물이다. 뿌리는 육질(肉質)이고 방추형(紡錘形)이며 회갈색(灰褐色)이다. 줄기는 털로 덮인다. 잎은 마주나며 엽저(葉底)는 이상(耳狀)의 심장형(心臟形)이고 양면(兩面)이 털로 덮여있다. 화서(花序)는 산방상(傘房狀) 취산화서(聚傘花序)에 가깝고 반구형(半球形)이며, 꽃받침의 외면(外面)은 유모(柔毛)로 덮여있고, 화관(花冠)은 담황색(淡黃色)이며 그 내면은 긴 유모(柔毛)로 덮여있고, 부화관(副花冠)은 합생(合生)하는 수술대보다 짧으며 선단(先端)은 절형(截形)이고 기부(基部)는 바싹 좁혀져 있으며, 암술대는 가늘고 길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서 피침형(披針形)이다. 종자(種子)는 암갈색(暗褐色)으로 백색(白色)의 털이 있다.







[백수오 전체 세밀화, 종자, 열매의 모습, 사진 출처: 대만/일본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산비탈, 골짜기, 관목 숲이나 길가의 초지(草地)에서 자란다. 중국의 요녕(遼寧), 하남(河南), 산동(山東), 산서(山西), 섬서(陝西), 감숙(甘肅), 신강(新疆), 강소(江蘇), 안휘(安徽), 호남(湖南), 호북(湖北) 및 사천(四川)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4∼5월 혹은 10∼11월에 뿌리를 캐서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쓰고 달면서 떫으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 안신(安神), 보혈(補血).

주치: 체허실면(體虛失眠), 건망다몽(健忘多夢), 피부소양(皮膚瘙痒).

용량: 15∼5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297면.]

백수오의 효능에 대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하수오(何首烏)

강원도에서는 은조롱이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 하는데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떫고[苦澁](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나력, 옹종과 5가지 치질을 낫게 하며 여러 해 된 허로로 여윈 것, 담벽, 풍허(風虛)로 몸이 몹시 상한 것을 낫게 한다. 부인이 몸푼 뒤에 생긴 여러 가지 병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혈기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머리털을 검게 한다. 또 얼굴빛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 원래 이름은 야교등(夜交藤)인데 하수오(何首烏)라는 사람이 먹고 큰 효과를 본 데서 하수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 사람은 본래 몸이 약하였고 늙어서는 아내도 자식들도 없었다. 하루는 취해서 밭에 누워 있었는데 한 덩굴에 2줄기가 따로 난 풀의 잎과 줄기가 서너번 서로 감겼다 풀렸다 하는 것이 보였다. 마음에 이상하게 생각되어 마침내 그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짓찧은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서 7일 동안 먹었더니 그리운 사람이 있었고 백일이 지나서는 오랜 병들이 다 나았다. 10년 후에는 여러 명의 아들을 낳았고 130살이나 살았다.

○ 덩굴은 자줏빛이고 꽃은 황백색이며 잎은 마와 비슷한데 광택은 없으며 반드시 맞대서 난다. 뿌리가 주먹만하여 붉은 빛, 흰빛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수컷이고 흰 것은 암컷이다. 뿌리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산처럼 생긴 것이 아주 좋은 것이다.

○ 늦은 봄, 초가을에 날씨가 맑은 날에 암컷, 수컷을 다 캐어 참대칼이나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얇게 썰어 쪄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교등(交藤), 야합(夜合), 구진등(九眞藤)이라고도 하는데 이 약을 다룰 때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를 대지 말아야 한다. 파, 마늘, 무, 돼지피, 양의 피, 비늘없는 생선을 먹지 말아야 한다. 법제하여 약을 쓸 때는 반드시 붉은 빛이 나는 것과 흰 빛이 나는 것을 합하여 먹어야 효과가 있다[본초].

○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조각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짓찧어 부스러뜨린다. 알약을 지으려면 검정콩(흑두) 달인 물에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 JDM 각주: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강원도의 은조롱, 새박뿌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백수오로 불리는 식물이 정확히 맞다. 하지만 아래의 야교등 및 하수오라는 명칭은 중국의 의서에 나오는 하수오 즉 적하수오를 말한다. 정확한 학명이나 식물을 구별할 수 없었던 시대임으로 현대인은 잘 분별하여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올바르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



<
Size Length: 5.8±0.3 mm, Width: 3.8±0.3 mm>

[백수오의 종자, 사진 출처: 한국야생식물종자은행]

백하수오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 310호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
백수오(白首烏)

[기원]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Hemsl.) 대근우피소(大根牛皮消: Cynanchum bungei Decne)의 뿌리이다. 국내에서는 하수오(何首烏)로 오용하고 있다.

[성미]
맛은 쓰고 달며 떫다. 약성은 약간 따뜻하다.

[효능주치]
자양(滋養), 강장(强壯), 보혈(補血)한다.

[임상응용]


1. 자양성(滋養性)이 많은 보혈제(補血劑)로 장기간 복용하면 정기(精氣)를 거두어들이고 흰머리가 검게 되며 성신경을 자극한다.

2. 병후허약과 사지관절무력동통과 시리고 연약한 증상 및 피부궤양 등에 유효하다.

3. 생것은 장관운동을 촉진시켜서 변비, 특히 노인성변비에 효과가 있다.

[임상연구]


황정(黃精), 사엽삼(四葉參), 자초(紫草)와 같이 복용하면 모종의 허약성 환자에게 강장효과를 나타내는데 하수오(何首烏)보다 우수하다고 한다.

[화학성분]
cynanchol, 강심배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백하수오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약사참고집>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은조롱 뿌리(백하수오=白何首烏: Radix Cynanchi wilfordii)

[기원]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은조롱(Cynanchum Wilfordii Wilfordii Hemsley)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이다.

[채취] 가을 또는 봄에 뿌리를 캐서 덩어리진 부분만 골라서 물에 씻고 겉껍질을 벗겨 버린 뒤 햇볕에 말린다.

[식물모양] 여러해살이 덩굴 짓는 풀이다. 뿌리는 덩어리를 이룬다. 줄기는 다른 풀에 감겨 오른다. 길이 1~3m이고 흰 즙액이 있다. 잎은 마주나게 붙고 긴 잎꼭지가 있는 달걀모양이다. 잎짬에서 작은 꽃대가 나오고 누른 풀색의 작은 꽃망울이 우산 꽃차례로 달리면서 핀다. 열매는 긴 실북모양이다.

[산지] 산과 들, 산기슭, 강기슭 등에서 자란다.

수직으로 100~1,00m까지 분포되고 집중분포 구역은 200~500m이다.

[비슷한 식물] 비슷한 식물로서 적하수오, 박주가리가 있다.

은조롱의 가르기

img1.jpg

[동약모양] 실북모양의 덩어리로서 뿌리의 두 끝은 보통 가늘다. 길이 10~15cm, 너비 1~3cm이다. 겉면은 연한 누른색 또는 누른 밤색이며 군데군데 검은 밤색의 겉껍질이 남아 있고 세로 또는 가로 간 주름이 있다. 질은 굳고 잘 꺽어지지 않는다. 꺽은 면은 평탄하나 약간 싸라 모양이고 색은 희다. 맛은 달고 쓰다.

[품질] 굵고 크며 겉면이 잿빛을 띤 흰색~누른 밤색이고 자름면에 가루가 일고 무거운 것이 좋다.

[성분] 레찌틴, 녹말, 조지방 등이 들어 있다.

[맞음증] 보약으로 앓고난 뒤, 신경쇠약에 쓴다.

[쓰는 법] 10~2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

황도연이 지은 <방약합편>에서는 <적 및 백하수오>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하수오

하수오는 맛이 단데

흰 머리 검게 하고

얼굴색 좋게 하네

그리고 정 불쿠어

자식 낳게 한다더라


간과 신을 보하는 약이다. 백하수오
에 들어가고 적하수오에 들어간다.]     


북한의 한의사 허창걸의 <북한동의보감>에서는 백하수오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백하수오(은조롱, 백하오, 하수오, 새박덩굴, 큰조롱, 구진)

박주가리과(Asclepiaceae)에 속하는 은조롱(새박풀)(Cynanchum Wilfordii)의 덩이뿌리를 말한다. 희고 굵으며 길게 뻗어 있다.

성분: 치난콜, 배당체, 레치틴, 아미노산, 당, 농마, 기름, 광물질

약효: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간, 신 경에 작용한다. 간과 신을 보하고  피와 정을 보하며 뼈와 힘줄을 튼튼하게 한다. 그리고 대변을 통하게 하고 헌데를 낫게 한다. 허약체질, 앓고난뒤, 가슴두근거림, 불면증, 신경쇠약, 흰머리 검게함, 학질, 치질, 결핵, 혈허증, 간신허로 허리와 무릎에 맥이 없는데, 피로회복, 강장작용등......

사용량: 하루 9~20그램.
]

백수오의 효능과 관련하여 중국의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격산소(隔山消)

Cynanchum wilfordii (Maxim. ) Hemsl. 中國植物志>> 第63卷 >> 蘿藦科 Asclepiadaceae >> 鵝絨藤屬 Cynanchum

43. 隔山消(全國中草藥彙編)過山飄、無梁藤、隔山撬(四川)圖版134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in Journ. Linn. Soc. Bot. 26: 109. 1889(" C. wilfordi Franch. et Sav."); Kitagawa, Lin. Fl. Mansh. 364. 1939; 中國高等植物圖鑒, 3: 484, 圖4922. 1974.——Cynoctonum wilfordi Maxim. in Bull. Acad. St. Petersb. 23: 369. 1877. ——Vincetoxicum wilfordi Franch. et Sav. Enum. Pl. Jap. 2: 445. 1879. ——Seutera wilfordii Pobed. in Komar. Fl. URSS. 18: 713. 1952.

多年生草質藤本;肉質根近紡錘形,灰褐色,長約10厘米,直徑2厘米;莖被單列毛。葉對生,薄紙質,卵形,長5-6厘米,寬2-4厘米,頂端短漸尖,基部耳狀心形,兩面被微柔毛,幹時葉面經常呈黑褐色,葉背淡綠色;基脈3-4條,放射狀;側脈4對。近傘房狀聚傘花序半球形,著花15-20朵;花序梗被單列毛,花長2毫米,直徑5毫米;花萼外面被柔毛,裂片長圓形;花冠淡黃色,輻狀,裂片長圓形,先端近鈍形,外面無毛,內面被長柔毛;副花冠比合蕊柱爲短,裂片近四方形,先端截形,基部緊狹;花粉塊每室1個,長圓形,下垂;花柱細長,柱頭略突起。蓇葖單生,披針形,向端部長漸尖,基部緊狹,長12厘米,直徑1厘米;種子暗褐色,卵形,長7毫米;種毛白色絹質,長2厘米。花期5-9月,果期7-10月。

產於遼寧、河南、山東、山西、陝西、甘肅、新疆、江蘇、安徽、湖南、湖北和四川等省區。生長於海拔800-1300米的山坡、山穀或灌木叢中或路邊草地。朝鮮、日本也有。模式標本采自日本。

地下塊根供藥用,用以건위(健胃)、소포창(消飽脹)、치일식(治噎食);외용치어구창독(外用治魚口瘡毒)。

東北延邊地區有稱本植物的塊根爲“白首烏”,唯與山東泰山地區所產的“白首烏”Cynanchum bungei Decne. 爲不同種植物.
]

[백수오, 하수오, 박주가리와 이엽우피소 구별법(인터넷 네이버 검색 자료)]


[백수오와 이엽우피소 비교, 사진 출처: 한국소비자원]



<왼쪽은 백수오, 오른쪽은 이엽우피소>


<왼쪽은 하수오(적하수오), 중간은 백수오(백하수오), 오른쪽은 이엽우피소>


<잎의 특징: 백수오, 하수오, 이엽우피소, 박주가리>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과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백수오 사진 감상: 1, 2, 3, 4, 5, 6, 7, 8, 9, 네이버+구글+다음+일본구글+대만구글: 1, 2, 3, 4, 5,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홈주소: http://jdm0777.com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이메일:
jdm0777@naver.com

참조: 아래에 비슷한 식물도 함께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나도하수오 무엇인가?
  2. 덩굴모밀(화탄모초) 무엇인가?
  3. 박주가리(라마) 무엇인가?
  4. 백수오-1(백하수오) 무엇인가?
  5. 백수오-2(대근우피소) 무엇인가?
  6. 삼도하수오 무엇인가?
  7. 이엽우피소(비래학) 무엇인가?
  8. 하수오(적하수오) 무엇인가?
  9. 홍약자 무엇인가?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