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쥐참외) 무엇인가?

3가지 식물 모두 왕과로 불리는 항암식물

 

 

 

 

 

 

 

 

 

 

 

 

[쥐참외의 잎, 오므린꽃, 밤에 피는 꽃, 푸른 열매, 선열매와 익은 열매, 붉게 익은 열매, 익은 열매 절개, 검은색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왕과의 무성하게 자라는 전체의 모습, 노란꽃이 핀 덩굴, 노란꽃잎 확대, 덜익은 푸른 열매, 솜털에 쌓인 붉게 익은 열매, 익은 열매와 속의 검은 종자, 검은색 종자, 작은 덩이 뿌리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대만/한국 구글 이미지 검색]

 

 


▶ 항암작용[비인암, 위암, 장암, 상인두암, 암증동통], 열을 내리게 하는데, 진액을 불려주며 어혈을 삭이는데, 통유(유즙불통, 유즙불하, 유즙부족, 젖이 잘 나오게 하는데), 이기, 활혈, 거담이습, 질타손상(타박상), 소종배농, 통경하유, 창독종통, 배농생기, 근골동통, 토산, 이질, 유방창통, 소갈, 황달, 무월경, 부스럼, 만성인후두염, 열병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르는 데, 열성 변비, 배뇨장애, 징가, 각혈, 장출혈, 강역리습, 화어, 전염성간염, 위산과다, 폐결핵으로 기침할 때에 피가 섞이는 증상, 소갈증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데, 반위로 인하여 토하는데, 상한 번갈이 멎지 않는 경우, 황달이 흑달로 변한 경우, 음주 과다로 인한 황달로서 쌀뜨물 같은 소변을 자리하는 증세, 소변불통, 관격(대변 및 소변의 불통), 대변불통, 대하, 월경불순, 하복부의 팽만 동통, 월경이 한 달에 두 번 있는 경우, 초기 옹저, 고환 부종, 풍화에 의한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급성 편도선염, 설사와 이질, 구강 파란,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지정, 화상, 독사에 물린 상처, 만성인후염(임상보고), 지통(임상보고), 절옹(부스럼과 악창)(임상보고), 심폐복열, 토혈, 비출혈, 황달위열이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는 경우, 대변 하혈, 근골 통련을 다스리는 왕과

왕과[王瓜=Trichosanthes cucumeroides (Ster.) Maxim.: 카라스우리=からすうり)] ; [쥐참외=적박=赤瓟: Thladiantha dubia: 오오스즈메우리=オオスズメウリ)]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지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굴성 다년초로 길이 2~3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잎과 더불어 털이 밀생하고 뿌리에 괴근이 달린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상 심형으로 길이 5~10㎝, 너비 4~9㎝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양쪽으로 오목한 심형이며 톱니가 있고 엽면은 까칠까칠하며 덩굴손과 대생하고 엽병이 있다. 꽃은 자웅이주이고 8월에 황색으로 피며 잎짬에서 화경이 나와 1개씩 달린다. 화관은 종형으로 털이 있고 5개로 깊이 갈라지며 지름이 3~4㎝이다.

수술은 5개이고 화사에 털이 있으며 자방은 장타원형으로 긴 견모(絹毛)가 밀생하고 암꽃에는 퇴화된 수술 5개가 있다. 과실은 육질로 난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4~5㎝이고 종자는 난형으로 검다. 본종은 뚜껑덩굴에 비해 잎이 난상 심형으로 까칠까칠하고 자웅이주이며 꽃이 종형으로 5개로 깊이 갈라지고 황색이다. 된장과 고추장에 쉬를 제거하는 데 쓴다.


중국산 덩굴식물로서 덩이뿌리가 있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왕과를 쥐참외, 주먹외, 큰새박 등으로 부른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 있다. 잎과 마주나는 덩굴손은 다른 물체를 감고 오른다. 네모진 줄기는 잎과 함께 털이 빽빽이 나고 덩굴손이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심장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암수딴그루로 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종 모양의 노란색 꽃이 1개씩 달린다.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열매는 크기가 작은 참외 모양, 공모양, 긴 타원형이며 다육질이고 길이는 5~10cm이다. 익으면 홍색이 된다. 7~8월에 꽃이 핀다. 결실기는 10월이다.

참고: 현재 왕과(王瓜)라는 약재로 쓰이는 3가지 종류는 아래와 같다.

1,
쥐참외[적박=赤瓟: Trichosanthes cucumeroides (Ster.) Maxim./Trichosanthes pilosa Loureiro/Trichosanthes ovigera Blume subsp. cucumeroides (Seringe) C. Jeffrey.<학명(学名): 카라스우리=からすうり=烏瓜, 唐朱瓜): Japanese snake gourd<영명(英名>]
중국, 한국, 일본에 분포되어 있다.

2,
왕과[王瓜: Thladiantha dubia: 오오스즈메우리=オオスズメウリ=大雀瓜, 키바나카라스우리:キバナカラスウリ=黄花烏瓜: Manchu tubergourd<영명(英名)=중국 북부, 한국 원산지>]
한국
,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 있다.

3,
광적박[光赤瓟: Thladiantha glabra Cogn. ex Oliv.]
산이나 길가의 관목 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감숙(甘肅), 섬서(陝西), 호북(湖北),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에 분포한다.


왕과 열매의 다른 이름은
왕과[王瓜=
wáng guā=꾸아, 토과:土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鉤, 규고:姑: 이아(爾雅)], 구루과[鉤婁瓜: 이아(爾雅), 곽박주(郭璞注)], 박과[雹瓜: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노아과[老鴉瓜: 본초도경(本草圖經)], 야첨과[野甛瓜, 마박아:馬雹兒: 단계찬요(丹溪纂要)], 마박아[馬剝兒: 의학입문(醫學入門)], 마박과[馬瓜, 공공수:公公鬚: 본초강목(本草綱目)], 두과[杜瓜, 합단과:鴿蛋瓜: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조과[弔瓜: 절강중약수책(浙江中藥手冊)], 산동과[山冬瓜, 수과:水瓜: 민동본초(東本草)], 고과연[苦瓜蓮, 소고두:小苦: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카라스우리[からすうり=烏瓜: Trichosanthes cucumeroides (Ster.) Maxim.=쥐참외: 일문명(日文名)], 오오스즈메우리[オオスズメウリ=大雀瓜, 키바나카라스우리:キバナカラスウリ=黄花烏瓜: Thladiantha dubia=왕과: 일문명(日文名)], 적박[瓟], 적파[赤爬], 서과[鼠瓜], 할아버지수염, 까마귀참외, 큰새박, 쥐참외, 주먹외, 주먹참외 등으로 부른다.

왕과 뿌리의 다른 이름은
왕과근[王瓜根: 명의별록(名醫別錄)], 토과근[土瓜根: 금궤요략(
金匱要略)], 도랍[堵拉, 모자침두:耗子枕頭: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토화분[土花粉: 민동본초(東本草)], 산고과[山苦瓜: 전전선편(全展選編), 종류(腫瘤)] 등으로 부른다.

왕과 종자의 다른 이름은
왕과자[王瓜者: 약성론(藥性論)], 적박자[赤雹子: 본초연의(本草衍義)], 마박아자[馬雹兒子: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토과인[土瓜仁: 본초휘언(本草彙言)] 등으로 부른다.  

[채취]


<뿌리>


<
중약대사전>: "여름부터 가을에 채취한다."

<종자>


<
중약대사전>: "가을, 성숙한 열매를 절반으로 쪼개어 종자를 꺼내고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약재(藥材)]


<뿌리>

<
중약대사전>: "덩이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거나 방추형으로서 백색이며 크고 다육질이다. 맛은 매우 쓰다."

<종자>

<
중약대사전>: "마른 종자는 당랑(螳螂: 사마귀)의 머리 부분과 비슷하고 길이는 약 1.5cm, 너비는 약 8~12mm이다.


[사마귀 머리를 닮은 쥐참외 종자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외면에는 갈색 또는 회백색의 반투명한 얇은 막이 있고 미세한 과립상 돌기가 밀생해 있다. 중앙 부분은 삼각형의 넓은 띠 모양을 이루고 있고 가장자리는 돌기해 있어 마름꼴 모양의 척추를 이루고 있다. 양단에는 각 1개의 둥글고 볼록한 부분이 있고 각각의 끝부분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있다. 씨 껍질은 두껍고 단단하다. 3실이 있고 양단(兩端)의 실내에는 종인(種仁)이 없으며 각각 한 개의 구멍이 있다. 중앙의 1실은 비교적 크고 내부에 종자의 조직이 있으며 편평한 삼각형 또는 장방원형을 이루고 있고 갈색의 얇은 내씨 껍질에 싸여 있다. 단면은 황갈색 또는 황백색이며 지방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산지는 중국의 절강(浙江)이다."


[성분]

<열매, 잎>


<
중약대사전>: "
과실에 β-carotene, lycopene, stigmast-7-en-3β-ol, α-spina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kaempferitrin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


<
중약대사전>: "
단백질, 알기닌, 전분, 콜린 등을 함유한다."


[쥐참외 덩이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종자>

<
중약대사전>: "
종자의 기름에는 비검화(非化) 부분이 1.4%, 총지방산이 94%이고 그중에 trichosanic acid가 29.3%, linolic acid가 42.1%, oleic acid 20%, 포화지방산이 8.6% 들어 있다.  

그 외에 Υ-guanidinobutyric acid, α-β-diaminopropionic acid, 다종의 유리 아미노산, pipeco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미]


<열매>


1, <
중약대사전>: "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거나 서늘하고 독이 없다."

2, <일용본초>: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고 서늘하며 독이 없다."

3, <의학입문>: "맛은 시다"

4, <의림찬요>: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뿌리>


1, <
중약대사전>: "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2, <신농본초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3, <명의별록>: "독이 없다."

4, <약성론>: "성질은 평하다."

5, <본초습유>: "독이 조금 있다."

<종자>

<본초강목>: "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귀경(歸經)]

<열매>


1, <본초재신>: "심(心), 신경(腎經)으로 들어간다."

2, <본초촬요>: "수족태음경(手足太陰經)으로 들어간다."

<뿌리>


1, <득배본초>: "수족양명경(手足陽明經)에 들어간다."

2, <회약의경>: "심(心), 폐(肺),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한다."

<종자>

<득배본초>: "수태음(手太陰), 수양명경(手陽明經)으로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열매>

1, <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진액을 생성하고 어혈을 제거하고 젖의 분비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소갈증, 황달, 일격반위, 월경불통, 유즙체소, 옹종, 만성 인후염을 치료한다."

2, <일용본초>: "열조대갈(熱燥大渴)을 멈추게 하고 종독을 제거하고 황달을 제거하며 유즙 분비를 촉진시키고 월경을 통하게 한다."

3, <의학입문>: "일격(
噎膈)을 치료한다."

<뿌리>


1, <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진액을 생성하며 혈을 깨뜨리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열병 번갈, 황달, 열에 의한 변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월경 폐경, 징벽(癥癖), 부스럼을 치료한다."

2, <신농본초경>: "주로 소갈에 의한 내비(內痺), 어혈로 인한 월경 중지, 한열산통(寒熱酸痛)을 치료하며 원기를 북돋우고 난청을 치료한다."

3, <명의별록>: "여러 가지 사기열결(邪氣熱結), 서루(鼠瘻)를 치료하고 옹종유혈(癰腫留血), 부인의 대하 불통을 풀어주며 젖을 나오게 한다. 소변의 빈삭과 실금을 멈추게 하고 사지 관절의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마골(馬骨)에 찔려 생긴 창(瘡)을 치료한다."

4, <당본초>: "황달을 치료하고 어혈을 잘 푼다."

5, <본초습유>: "주로 소아의
섬벽(閃癖), 비만(痞滿), 담학(痰瘧)을 치료하려면 뿌리와 잎을 찧어서 짠 즙을 복용한다."

6, <일화자제가본초>: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유행성 열질환, 주황병(酒黃病), 장열(壯熱)에 의한 심번민(心煩悶)을 치료한다. 농(膿)을 배출시키고 열노(熱勞)를 제거한다. 타박상을 치료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징벽(癥癖)을 파(破)하고 낙태시킨다."

7, <본초강목>: "대소변을 배출시킨다. 안면이 검은 증상과 안면 창양(瘡瘍)을 치료한다."

<종자>

1, <
중약대사전>: "
열을 내리고 혈분에서 열사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폐위(肺) 토혈, 황달, 이질, 장풍 하혈을 치료한다."

2, <약성론>: "빈뇨 및 요실금을 치료한다."

3, <일화자제가본초>: "심폐(心肺)를 촉촉하게 하고 황병(黃病)을 치료하려면 생것을 쓴다. 폐위토혈(肺
吐血), 장풍사혈(腸風瀉穴), 적백리(赤白痢)를 치료하려면 볶아서 쓴다."

4, <본초연의>: "만성 두통을 치료한다."

5, <본초강목>: "반위토식(反胃吐食)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
중약대사전>: "
내복: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우고 가루내어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찧어서 바른다." 

<뿌리>


<
중약대사전>: "
내복: 1.5~3돈(신선한 것은 2~3냥)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찧어서 즙을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갈아서 즙을 바른다."

<종자>

<
중약대사전>: "
내복: 1~3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주의사항)]

<열매>

1, <품휘정요>: "임신 중에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2, <본초종신>:
"조금이라도 허(虛) 즉 협허(挾虛)가 있을 경우에는 함부로 투약해서는 안된다."

<뿌리>

<
중약대사전>: "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환자 및 임산부는 복통에 주의한다."

왕과의 열매, 뿌리, 종자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왕과(王瓜) //주먹참외, 토과(土瓜)// [본초]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주먹참외(Thladiantha dubia Bunge)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들판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을에 열매를 따서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심경, 신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진액(津液)을 불려주며 어혈(瘀血)을 삭이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 소갈(消渴), 황달(黃疸), 무월경, 유즙부족, 부스럼, 만성인후두염 등에 쓴다. 하루 3~9g을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생것을 짓찧어 붙인다.

왕과근(王瓜根) //주먹참외뿌리, 토과근(土瓜根)// [본초]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주먹참외(Thladiantha dubia Bunge)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주먹 참외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들판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진액을 불러주며 어혈을 삭인다. 열병(熱病)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목이 마르는 데, 황달, 열성 변비, 배뇨장애, 무월경, 징가(
癥瘕), 부스럼 등에 쓴다. 하루 6~9g, 신선한 것은 60~90g을 물로 달여 먹거나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생것을 짓찧어 붙인다.

왕과자(王瓜子) //주먹참외씨, 왕과인(王瓜仁), 토과인(土瓜仁)// [본초]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풀인 주먹참외(Thladiantha dubia Bunge)의 여문씨를 말린 것이다. 주먹참외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들판이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을에 여문씨를 받아 햇볕에 말린다. 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폐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혈분(血分)의 열을 없앤다. 각혈(喀血), 황달, 이질, 장출혈 등에 쓴다. 하루 3~9g을 물로 달이거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



[왕과(쥐참외)의 세밀화, 사진출처:
백도백과(百度百科)]

쥐참외의 효능에 대해 안덕균의
《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적박(赤
)

[기원]
박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쥐참외(왕과: Thladiantha dubia Bunge)의 과실이다.

[성미]
맛은 시고 쓰며,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강역리습(降逆理濕), 화어(化瘀)한다.

[임상응용]
전염성간염, 황달을 치료하고, 위산과다와 이질에 효과가 있으며, 폐결핵으로 기침할 때에 피가 섞이는 증상에 쓰인다.]

왕과(적박)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2권 194면 861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적박(赤雹)

기원: 호로과(葫蘆科=박과: Curcubitaceae)식물인 적박(赤雹=왕과: Thladiantha dubia Bge.)의 과실(果實) 및 괴근(塊根)이다.

형태: 다년생의 덩굴성 초본이다. 괴근(塊根)은 방추상(紡錐狀)이다. 줄기는 굵고 단단하며 조모(粗毛)가 나있고 덩굴손은 분지하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난상(卵狀) 심장형(心臟形)이고, 엽저는 심장저(心臟底)이며 잎가장자리에 모두 작은 거치가 있고 잎 양면에는 조모(粗毛)가 있다. 꽃은 엽액(葉腋)에서 단생(單生)하며 단성이주(單性異株)이고 황색(黃色)이며, 꽃받침은 짧고 종모양이며, 화관(花冠)도 종모양인데 5개로 갈라지고 열편(裂片)은 바깥으로 벌어 있으며, 수술은 5개이고 자방은 장원형(長圓形)이다. 과실(果實)은 난상(卵狀) 장원형(長圓形)이고 홍색(紅色)이다.








[왕과의 전체, 익은 열매, 검은 종자, 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중국본초도록 및 구글 이미지 검색]

분포: 산비탈, 집주변에서 자라고 보통 재배한다. 중국의 동북(東北), 녕하(寧夏), 하북(河北), 강소(江蘇), 광동(廣東)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가을에 과실(果實)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뿌리는 가을에 캐내어 깨끗이 씻은 후 절편해서 햇볕에 말린다.

기미: 과실(果實)- 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괴근(塊根: 덩이 뿌리)-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과실(果實)- 이기(理氣), 활혈(活血), 거담이습(祛痰利濕). 괴근(塊根: 덩이뿌리)- 통유(通乳).

주치: 과실(果實)- 질타손상(跌打損傷: 타박상), 토산(吐酸), 황달(黃疸), 이질(痢疾) 괴근(塊根: 덩이뿌리)- 유즙불통(乳汁不通), 유방창통(乳房脹痛).

용량: 과실(果實)- 2-5. 괴근(塊根: 덩이뿌리)- 가루 3-6g.

참고문헌: 회편(滙編), 하권, 310면.]

왕과(광적박)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159면 3358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왕과근(王瓜根)

기원: 호로과(葫蘆科=박과: Cucurbitaceae)식물인 광적박(光赤瓟: Thladiantha glabra Cogn. ex Oliv.)의 뿌리이다.

형태: 덩굴식물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으며 덩굴손은 2회(回) 분차(分叉)한다. 잎은 넓은 난상(卵狀) 심장형(心臟形)으로 길이가 7∼20cm이고 잎끝은 점첨두(漸尖頭)이며 엽저는 거의 심장저(心臟底)이고 잎가장자리에는 작은 거치(鋸齒)가 있고 잎의 윗면에는 과립상(顆粒狀)의 작게 볼록 튀어나온 점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가 5∼15cm 이다. 자웅이주이며, 수꽃은 5∼10송이가 피며 총상화서(總狀花序)를 이루고, 꽃자루의 길이는 1∼3cm이며, 화탁(花托)은 넓은 종모양이고, 꽃받침잎은 선형(線形)이며 1개의 맥(脈)이 있고, 화관(花冠)은 황색(黃色)이고 열편(裂片)은 장원상(長圓狀) 난형(卵形)이며 5개의 맥(脈)이 있고, 수술은 5개이고, 암꽃은 단생하거나 혹은 쌍생(雙生)하며, 꽃자루의 길이는 2∼5cm이고, 자방은 난형(卵形)이며 매끈하고 광택이 있고 암술대는 길이가 4∼5mm이고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난구형(卵球形)이고, 종자는 여러개이다.



분포: 산이나 길가의 관목 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감숙(甘肅), 섬서(陝西), 호북(湖北),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에 캐내어 씻은 후에 햇볕에 말린다.

기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소종배농(消腫排膿), 통경하유(通經下乳).

주치: 창독종통(瘡毒腫痛), 배농생기(排膿生肌), 근골동통(筋骨疼痛), 유방창통(乳房脹痛), 유즙불하(乳汁不下).

용량: 6∼15g.

참고문헌: 아미산약용식물연구(峨嵋山藥用植物硏究), 1권, 94면.]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쥐참외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식물지(中國植物志)>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적박(赤瓟)

Thladiantha dubia Bunge 中國植物志>> 第73(1)卷 >> 葫蘆科 Cucurbitaceae >> 赤瓟屬 Thladiantha

11. 赤瓟

Thladiantha dubia Bunge, Enum. Pl. Chin. bor. 29. 1833, et in Mem. Sav. Etr. St. -Petersb. 2: 103. 1835; Cogn. in DC., Mon. Phan. 3: 422. 1881, et in Engl., Pflanzenr. 66 (IV. 275. 1): 42. 1916; Forb. et Hemsl. in Journ. Linn. Soc. Bot. 23: 316. 1887. 中國高等植物圖鑒4: 351, 圖6115. 1975.




[쥐참외 덩이뿌리의 모습, 사진 출처: 일본/대만/줄국 구글 이미지 검색]

攀援草質藤本,全株被黃白色的長柔毛狀硬毛;根塊狀;莖稍粗壯,有棱溝。葉柄稍粗,長2-6厘米;葉片寬卵狀心形,長5-8厘米,寬4-9厘米,邊緣淺波狀,有大小不等的細齒,先端急尖或短漸尖,基部心形,彎缺深,近圓形或半圓形,深1-1.5厘米,寬1.5-3厘米,兩面粗糙,脈上有長硬毛,最基部1對葉脈沿葉基彎缺邊緣向外展開。卷須纖細,被長柔毛,單一。雌雄異株;雄花單生或聚生於短枝的上端呈假總狀花序,有時2-3花生於總梗上,花梗細長,長1.5-3.5厘米,被柔軟的長柔毛;花萼筒極短,近輻狀,長約3-4毫米,上端徑7-8毫米,裂片披針形,向外反折,長12-13毫米,寬2-3毫米,具3脈,兩面有長柔毛;花冠黃色,裂片長圓形,長2-2.5厘米,寬0.8-1.2厘米,上部向外反折,先端稍急尖,具5條明顯的脈,外面被短柔毛,內面有極短的疣狀腺點;雄蕊5,著生在花萼筒簷部,其中1枚分離,其餘4枚兩兩稍靠合,花絲極短,有短柔毛,長2-2.5毫米,花藥卵形,長約2毫米;退化子房半球形。雌花單生,花梗細,長1-2厘米,有長柔毛;花萼和花冠雌雄花;退化雌蕊5,棒狀,長約2毫米;子房長圓形,長0.5-0.8厘米,外面密被淡黃色長柔毛,花柱無毛,自3-4毫米處分3叉,分叉部分長約3毫米,柱頭膨大,腎形,2裂。果實卵狀長圓形,長4-5厘米,徑2.8厘米,頂端有殘留的柱基,基部稍變狹,表面橙黃色或紅棕色,有光澤,被柔毛,具10條明顯的縱紋。種子卵形,黑色,平滑無毛,長4-4.3毫米,寬2.5-3毫米,厚1.5毫米。花期6-8月,果期8-10月。

產黑龍江、吉林、遼寧、河北、山西、山東、陝西、甘肅和寧夏。常生於海拔300-1800米的山坡、河穀及林緣濕處。
조선(朝鮮)、日本和歐洲有栽培。

這是本屬中分布最北的一個種,也是經濟用途較大的種。果實和根入藥,果實能
이기(理氣)、활혈(活血)、거담(祛痰)이습(利濕),根有활혈거어(活血去瘀)、청열해독(清熱解毒)、통유(通乳)之效.
]

왕과인 쥐참외의 항암작용에 대해 중의사 상민의가 쓴
<항암본초>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항암 약리

1, 박과 식물은 대부분 쿠쿠르비타친(Cucurbitacin)이 들어 있다. 쿠쿠르비타친은 엘릿히복수암세포의 호흡 및 분자내 호흡 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2, 엘릿히복수암세포, 육류(肉瘤)-180, JTC-26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사용방제

비인암(鼻咽癌): 왕과 뿌리 10g을 썰서 75% 에틸알콜 25cc에 넣고 여기에 다시 25cc의 증류수를 넣고 3일 후에 50cc의 증류수를 더 넣고 골고루 섞은 다음 무균 가-제를 써서 여과하고 여과액에 20cc의 글리세린을 넣으면 완성된다. 매일 코에다 3~6차 떨궈 넣는다.

이와 함께 아래의 달인액을 배합하여 쓴다. 지네 3마리, 구운 천산갑, 토별충(土鱉蟲: 바퀴벌레, 219), 지렁이 각 3g. 이것을 배건(焙乾) 즉 불에 쬐어 말려 가루를 낸 뒤 삼칠분(三七粉) 3g과 미주(米酒), 신이산(辛荑散)을 적당히 넣고 매일 3차례 달여 복용한다. [전국중초약신의료법전람회자료]

위암: 쥐참외 종자에 평위산(平胃散)가루를 배합한 것 6g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사천중약지]

장암 사혈(腸癌 瀉血): 왕과 열매 30g(소존성:燒存性), 지황 60g, 황련 15g, 가루로 만들고 졸인꿀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지어 미음과 같이 30알씩 먹는다. [지남방]

편자주해

본품의 단방은
암증동통에 일정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 1970년 <전국중초약신의료법전람회자료> 가운데 한 예를 소개한다. 복건성 용암현 의원에서 왕과 뿌리 절편을 성인이 0.5~1g씩 씹어 먹게하는 용법으로 외상동통, 수술동통, 위장동통 등 65례를 치료한 바 이 가운데서 48례가 통증이 멎었고 11례가 통증이 감소 되었다. 대부분 약 먹은 5~30분 뒤부터 효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30분~72시간 동안 효력이 지속되었다.]

왕과(쥐참외, 적박, 광적박)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열매>


1, 소갈증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 데
왕과의 열매 껍질을 제거하고 매번 식후에 75g~113g을 씹는다. 5~7회로 치료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2, 반위로 인하여 토하는 데
왕과 열매 3.75g을 램프불 위에서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우고 좋은 대추살과 평위산말(平胃散末)을 7.5g 넣어 술로 복용한다. [단계찬요(丹溪纂要)]

3, 대장하혈(장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운 왕과 열매 37.5g과 지황 75g, 황련 19g을 가루내고 벽오동씨 만한 크기로 꿀을 넣어 환을 만들어 미음으로 30알 복용한다. [지남방(指南方)]

<뿌리>


4, 상한 번갈이 멎지 않는 경우

왕과뿌리 1냥, 심을 제거한 맥문동 1냥, 감초(약간 빨갛게 될 때까지 구워서 썬 것) 반냥, 비파잎(볶아서 털을 제거하고 약간 누렇게 될 때까지 구운 것) 반냥을 거칠게 찧어 체로 쳐서 분말을 만들어 매회 4돈을 1중잔(中盞)의 물로 6할이 될 때가지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수시로 온복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토과근산(土瓜根散)]

5, 황달이 흑달로 변한 경우

왕과뿌리즙 1되(작은되)를 새벽에 돈복하는데 땀니 나고 소변이 나오면 병이 낫는다. 만약 낫지 않으면 다시 복용한다. [주후방(
肘後方)]

6, 음주 과다로 인한 황달로서 쌀뜨물 같은 소변을 자리(自利)하는 증세의 치료

왕과뿌리 1냥, 백석지(白石脂) 1냥, 계심(桂心) 1냥, 괄루근(
栝蔞根) 1냥, 토사자(絲子: 술에 1일 담근 다음 볕에 말려 따로 찧어 가루낸 것) 1냥, 모려(牡蠣: 태워서 가루낸 것) 1냥을 체로 쳐서 가루내어 매회 보리죽을 쑤어 2돈을 개어 복용한다. 1일 3~4회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토과근산(土瓜根散)]

7, 소변불통, 관격(關格: 대변 및 소변의 불통)

생왕과뿌리를 찧어 즙을 내서 소량의 물에 풀어 통(筒: 깔때기)으로 약물을 항문에 불어 넣어 변을 통하게 한다. [주후방(
肘後方)]

8, 대변불통

왕과 뿌리 찧은 즙을 소량의 물에 풀어 항문 안에 주입한다. 대소변이 통하지 않을 경우 요도와 항문에 불어 넣으면 통하게 된다. [주후방(
肘後方)]

9, 대하, 월경 불순, 하복부의 팽만 동통, 월경이 한 달에 두 번 있는 경우

왕과 뿌리 작약(芍藥), 계지(桂枝), 자충(
蟅蟲) 각 3푼을 절구공이로 찧어 가루를 만들어 1일 3회 1촌방비(촌방비)를 술로 복용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토과근산(土瓜根散)]

10, 초기 옹저(癰疽)

왕과덩이뿌리 2~4냥에 물을 적당량 가하여 반 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 1일 2회 복용하고 찌꺼기에 홍당(紅糖)을 가해서 짓찧어 가열하여 붙인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1, 고환 부종

왕과뿌리 2냥, 붉은돼지고기 4냥에 노주(老酒)를 적당량 넣어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민동본초(
閩東本草)]

12, 풍화에 의한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급성 편도선염의 치료

왕과뿌리를 햇볕에 말려서 고운 분말로 간다. 매회 소량을 환부에 불어 넣어 잠시 입에 물고 있다가 가래나 타액을 뱉어 버린다. 1일에 5~6회 불어 넣는다. [강서민간초약험방(江西民間草藥驗方)]

13, 설사와 이질

왕과뿌리 2~3돈, 십대공노근(十大功勞根) 1~2돈을 1회 물로 달여 나누어서 복용한다. 1일 1첩을 복용한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14, 구강 파란(破爛),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왕과뿌리 2~3돈을 썰어 편(片)으로 만들어 입에 물고 침이 흘러나오면 뱉는다. 1일 1~3회 입에 문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15, 지정(指
)
왕과 뿌리를 가루내어 소주를 가해서 풀상태로 개어 오리털에 묻혀서 바른다. 또는 섬소(
蟾酥) 적당량을 가하고 달걀 흰자 1개로 잘 개어 자주 환부에 바르면 치료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이미 터진 것은 뿌리를 갈아서 분말로 만들어 밀당(蜜糖)을 가해 떡 상태로 개어서 환부에 바르는데 1일 1회 바꾸어 준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16, 화상

신선한 왕과뿌리 적당량에 우물 물 또는 샘물을 가하여 갈아서 풀 모양으로 만들어 1일에 3~4회 바른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17, 독사에 물린 상처

왕과뿌리 적당량을 가루내어 우물 물 또는 샘물을 가하여 떡 모양으로 개어서 환부에 바른다. 또한 그 뿌리에 소주를 가하여 유상(乳狀)으로 갈아서 상처의 부은 곳에 자주 바른다.

내복:
왕과뿌리 6돈~1냥을 달여 1일 1회 복용한다. 혹은 뿌리를 가루내어 더운 물로 복용한다. [강서(江西), 초약수책(草藥手冊)]

18, 만성인후염
(임상보고)
이온 도입법을 응용하여 40여 례를 치료하였는데 상당한 효과를 보았으며 부작용이 없었다.

사용법: 산고과(山苦瓜)의 덩이 뿌리 75g을 잘 게 썰어 30%의 알코올 500ml에 2~5일 담가서 그 용액을 8X12cm의 깔개에 떨어뜨려 전경부(前頸部)에 대고 전원의 양극(陽極)을 연결하고 후경부에는 음극(陰極)을 연결하여 3~5mA의 전류를 통하게 한다. 이것을 1일 1회 매회 20분씩 며칠간 계속한다. [중약대사전]  

19, 지통(止痛)
(임상보고)
왕과의 뿌리를 얇게 썰어 성인은 매회 1~2푼을 잘 씹어서 복용하는데 병세에 근거하여 매일 복용하는 횟수를 결정한다.  외상통, 수술 후의 동통, 위장의 동통 등 65례를 치료하였는데 48례는 통증이 멎었고 11례는 통증이 경감되었다.  일반적으로 약을 써서 5~30분내에 효과가 나타났고 약효의 지속 시간은 30분~72시간이었다. [중약대사전]

20, 절옹(癤癰: 부스럼과 악창)
(임상보고)
왕과의 뿌리속에 있는 벌레로 절옹을 치료한다.  늦가을에 왕과의 덩이뿌리를 파내어 벌레 먹은 흔적이 있는 것을 골라서 껍질을 벗기고 벌레를 잡아 식초에 담가 둔다.

사용법: 환부를 소독한 후 충체(蟲體)를 상처와 주위에 놓고 다시 충체를 담근 액(식초)을 바른 다음 싸매어 고정한다. 1일 1회 약을 다시 바르고 증상이 호전되면 2일에 한 번씩 다시 바르고 싸맨다. 21례를 치료하였는데 효과가 상당히 좋았다. 천남성과 왕과의 뿌리 분말을 가하여 환부에 바르면 효과가 더욱 좋다. 왕과 뿌리로 만든 왕과뿌리액을 코에 떨어뜨리고 동시에 내복약을 복용하면 상인두암(上咽頭癌)을 치료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중약대사전]

21, 심폐복열(心肺伏熱), 토혈, 비출혈
왕과자를 약간 볶아서 곱게 갈아 빈속에 7.5g을 끓인 맹물에 복용한다. [
피심원가초(皮心垣家抄)]

22, 황달위열(黃疸胃熱)이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는 경우

왕과자를 약간 볶아서 물로 달여서 따뜻할 때 복용한다. [
피심원가초(皮心垣家抄)]

23, 대변 하혈

왕과자 37.5g, 생지황 75g(검게 될 때까지 볶은 것), 황련(구운 것) 19g을 함께 가루내어 꿀로 개어 벽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매회 100알을 미음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24, 반위 토식(反胃 土食: 위암)

왕과자, 평위산말(平胃散末) 7.5g을 합하여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25, 근골 통련(筋骨 痛攣)

왕과자를 터질 때까지 볶은 다음 분말로 갈아서 3.75g을 술로 복용한다. [빈호집간방(瀕湖集簡方)]

[각가(各家)의 논술(論述)]

<뿌리>


1,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토과근(土瓜根)은 습열과 열독을 제거하며 괄루(
栝樓: 하늘타리)와 성질 거의 비슷하다. 그러므로 그 주치는 내저소갈(內疽消渴), 사기열결(邪氣熱結), 서루(鼠瘻), 옹종(癰腫) 등으로서 모두 괄루(栝樓: 하늘타리)와 비슷하여 혈분(血分)에 들어가는 여러 가지 병이 많다."

2, <본초술(本草述)>:
"의경(醫經)에 한(寒)하여 피눈물을 흘리게 한다고 하였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의하면 왕과(王瓜)의 주치는 고한(苦寒)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먼저 소갈과 내비(內痺)를 말하고 이어서 어혈, 무월경을 말한 것으로 보아 이것이 주치하는 어혈은 열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밖에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 먼저 여러 가지 사기(邪氣)에 의한 열결(熱結)을 치료한다고 하였고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에서도 천행열질(天行熱疾)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 뜻은 더욱 명백하다. 그러나 그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전문적으로 통어(通瘀) 효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는 소변이 잦고 불금(不禁)한 증상을 낫게 하고 또 사지 골절(骨節) 중의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고 하였다. 소변과 사지 골절(骨節) 중의 수(水)는 인신(人身)의 혈(血)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장중경(張仲景)의 <금궤요략(金
匱要略)>이 경수불리(經水不利), 대하, 소복만(小腹滿), 월경이 한 달에 두 번씩 오는 증을 모두 왕과근산(王瓜根散)으로 치료하였다. 만약 그것이 전문적으로 통어(通瘀)만 한다면 어찌 양리(兩利)의 효능이 있을 수 있겠는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을 상세하게 보면 익기(益氣)의 두 글자가 바로 그 효능이다. 선철(先哲)은 기(氣)는 풀무와 같고 혈(血)은 물결과 같다고 말하였다."

3, <본경소증(本經疏證)>:
"토과근(土瓜根)은 괄루(
栝樓: 하늘타리)보다 더 고한(苦寒)하기 때문에 열결(열결)에 의한 어혈을 통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명의별록(名醫別錄)>의 루근(樓根)은 월수(월수)를 통하게 한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허부족(虛不足)으로 오는 비저(痺著), 어혈과 월폐(月閉)를 통치(通治)한다는 말은 아니다. 한열산통(寒熱酸痛)도 열이 심하고 혈액이 부족하여 생긴 산통(酸痛)이다. 익기(益氣)라는 것은 열이 기(氣)를 상할 수 있기에 열을 제거하면 바로 익기(益氣)하게 된다는 뜻이다. 이것이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말한 루근(
樓根)이 보허안중(補虛安中)한다는 뜻이다.

이 약은 이농(耳聾)을 치료할 수 있는데 이농(耳聾)은 반드시 귀속에 웅웅 소리가 나며 모두 기가 위로 솟아 오른 병으로서 고미(苦味)는 화(火)를 하강시키고 제거하여 귀속의 진동이 없어지기에 귀가 자연히 밝게 된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 사기열결(邪氣熱結)을 제거한다고 한 다섯 글자를 한 마디로 읽어야 하는 바 여기에서 사기(邪氣)라는 것은 바로 열사(熱邪)를 가리킨다. 서루옹종(鼠瘻癰腫)은 전부 열결(熱結)이 혈(血)에 멈춘 증상이다. 대하가 불통(不通)은 병의 증상이 전혀 다른 것 같지만 이 경우의 불통(不通)은 의연히 어열(瘀熱)을 말하는 것이다. 대하는 원래 습성열삭(
濕性熱爍), 즉 습이 성(盛)하고 뜨거워지면서 탁구(濁)가 이루어진 것이다. 그 열을 유도하여 제거하고 그 어혈을 없애면 대하는 저절로 멎고 소변 빈삭도 멎는다. 소변 빈삭을 멎게 하는 것도 괄루근(栝樓根)이 소변리(小便利)를 멎게 하는 것과 같은 효능이다."

<종자>


<본초휘언(本草彙言)>:
"토과자(土瓜子)는 폐를 촉촉하게 하고 담(痰)을 삭이고 화(火)를 내리며 지혈하는 약이다. 이 약은 한윤유리(寒潤流利)하기 때문에 <대씨방(大氏方)>에서 말하기를 윤심폐(潤心肺)하여 토혈과 폭열(暴熱)을 멎게 하며 간비(肝脾)를 서늘하게 하여 오래된 황달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비고(備考)]


1, <당본초(唐本草)>:
"왕과(王瓜)는 덩굴성이고 잎은 괄루(
栝樓: 하늘타리)와 비슷해서 둥글며 깊게 갈라짐이 없다. 종자는 치자(梔子)와 비슷하여 미숙할 때에는 푸르고 성숙되면 붉게 되나 모서리가 없다. 뿌리는 칡뿌리와 비슷하여 가늘고 근립(根粒)이 많다. 북방산(北方産)은 주렁주렁 서로 이어져 있고 과실은 대추 정도의 크기이며 껍질은 황색이고 과육은 백색으로서 싹과 열매가 비슷하지만 뿌리의 형태가 다르다."

2, <본초도경(本草圖經)>:
"왕과(王瓜)는 지금 도처에 다 있다. 잎은 괄루(
栝樓: 하늘타리)와 비슷하고 심열(深裂)이 없다. 털과 같은 가시가 있다. 5월에 노란 꽃이 피고 꽃 아래에 탄알과 같은 종자가 맺힌다. 미숙할 때에는 푸르지만 익으면 붉게 된다. 호북성(湖北省) 서북의 균현(均縣)과 방현(房縣)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노아과(老鴉瓜) 또는 토과(菟瓜)라고 부른다."

3, <본초연의(本草衍義)>:
"왕과(王瓜)는 체(體)가 괄루(
栝樓: 하늘타리)와 비슷하고 각(殼)의 지름이 1치, 길이는 2치 가량 되고 윗부분이 약간 둥글고 아랫 부분이 뾰족하고 길다. 7~8월에 익어 암적색으로 되고 껍질 속의 열매는 당랑(螳螂: 사마귀)의 머리 부분과 비슷해 지금 사람들은 이것을 적박자(赤雹子)라고도 한다. 그 뿌리는 토과근(土瓜根)과 같다. 가는 뿌리에 다시 연한 황색의 뿌리가 나고 혹 같은 것이 3~5개 서로 연결되어 엄지 손가락만큼 크게 된다. 뿌리와 종자 모두 약용으로 쓰인다. 붉은 열매는 백토자(白土子)와 함께 써서 만성 두통을 치료한다."

4, <본초강목(本草綱目)>:
"
토과(土瓜)는 뿌리가 토기(土氣)를 만들고 열매는 참외와 비슷하다. 어떤 사람은 '뿌리의 맛이 참외와 비슷하기 때문에 토과(土瓜)라고 한다'고 말하고 있다. '왕(王)'자는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다. 열매는 꽃봉오리와 비슷하며 익으면 붉어지며 까마귀가 잘 먹는다. 따라서 흔히 적박(赤雹), 노아과(老鴉瓜)라고도 한다. 한 개의 잎 밑에 한 개의 수염이 있기 때문에 시골 사람들은 할아버지 수염이라고 부른다. 왕과(王瓜)는 3월에 싹이 나고 덩굴에는 수염이 많다. 연할 때에는 먹을 수 있다. 그 잎은 말굽처럼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 윗면은 푸르고 밑면은 색이 연하고 수수하며 광택이 없다. 6~7월에 5개의 작고 노란 꽃이 총생한다. 주렁주렁 종자가 달리고 익으면 적, 황 두 가지 색깔로 변한다. 껍질은 거칠고 껄끄럽다. 뿌리는 칡뿌리와는 다른데 하늘타리 뿌리의 작은 것과 같아서 맑은 가루가 매우 희고 끈적끈적하다. 2~3자의 깊이로 파야만 정근(正根)을 얻을 수 있다. 강서(江西) 사람들은 이것을 옥토에서 재배하여 뿌리를 취하여 야채로 먹는다. 맛은 산약(山藥: 마)과 비슷하다."

5, <중약지(中藥誌)>:
"본초(本草)에 실린 왕과(王瓜)는 한 가지가 아니다.
구종석(寇宗奭)이 말하는 왕과(王瓜: 까마귀 참외) 외에 적박(赤雹: Thladi-anthadubia Bae)도 포함하는 것 같다.

예컨데 <증류본초(證類本草)>는 왕과(
王瓜)의 항목에서 <당본초(唐本草)>의 주(注)를 인용하여 '잎은 괄루(栝樓: 하늘타리)와 비슷하여 둥글고 심열(深裂)이 없으며 종자는 치자(梔子)와 비슷하여 미숙할 때에는 푸르고 성숙해지면 붉어진다.'고 하였다. 또 <본초도경(本草圖經)>에서도 '잎은 괄루(栝樓: 하늘타리)처럼 둥글고 깊게 갈라짐이 없으며 가시 같은 털이 있다. 5월에 노란 꽃이 피고 꽃 아래에 탄알 같은 종자가 맺히며 미숙할 때에는 푸르지만 성숙해지면 붉게 변한다.'고 하였다. 또 <증류본초(證類本草)>에 실린 균주(均州)의 왕과(王瓜)의 그림 및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에 실린 왕과(王瓜)의 그림을 보아도 잎은 모두 넓은 달걀 모양 심장형이고 결각이 없으며 왕과(王瓜: T. cucumeroides)와는 전혀 다르다. 위에 인용한 문장과 도면으로부터 보면 적박(赤雹: Thladi-anthadubia)의 엽형(葉形), 화색(花色), 과실 및 종자와 유사하다."

왕과의 종자를
적박자(赤雹子), 마박아자(馬雹兒子)라고 하는데, 한자로 하늘에서 떨어지는 우박 박(雹)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흥미롭다. 그 이유인즉 왕과의 종자를 가만히 살펴보면 사마귀의 머리 모습 같기도 하고 마치 여름철에 땅에 떨어진 우박의 모습과 대단히 닮아서 그렇게 붙여진 이름이다.

왕과, 쥐참외, 광적박 모두가 항암작용을 하는 동시에 암환자의 통증까지도 경감시킨다는 임상보고를 통해서 왕과가 가지고 있는 놀라운 성분에 그저 감탄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거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 신라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

왕과 사진 감상: 네이버+구글+다음+일본야후+일본구글+대만구굴: 1, 2, 3, 4, 5, 6,

쥐참외 상세 사진 웹사이트: 1,

문의 및 연락처: 010-2545-0777 ; 051-464-0307

주소: http://jdm0777.com ; http://www.eherb.kr

페이스북 주소: http://www.facebook.com/jdmsanyacho

메일: jdm0777@naver.com ; jdm0777@hanmail.net

박과에 속하는 다른 자료는 아래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가시박 무엇인가?
  2. 돌외(칠엽담) 무엇인가?
  3. 뚜껑덩굴(합자초) 무엇인가?
  4. 박(호리병박) 무엇인가?
  5. 수박 무엇인가?
  6. 수세미오이 무엇인가?
  7. 여주 무엇인가?
  8. 오이 무엇인가?
  9. 왕과(쥐참외) 무엇인가?
  10. 차요테(불수과, 하야토우리) 무엇인가?
  11. 참외 무엇인가?
  12. 하늘타리 무엇인가?
  13. 호박 무엇인가?

 

 

※ 아래에 jdm 필자가 찍은 왕과의 사진도 감상해 보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jdm0777.com 클릭하시면 홈으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