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약용버섯 이야기(21): 떡버섯

default_news_ad1

떡버섯은 맛좋은 식용버섯이자 항암, 기침에 좋은 약용버섯이며, 화학 염색공장 폐수를 여과 정화하는 지구 다시 살리기 버섯이기도 하다.

 

www.jadam.kr 2013-02-24 [ 최종수 ]
떡버섯 유균의 갓 모습

 

떡버섯 Ischnoderma resinosum(Schrad.) P. Karst. 떡버섯은 늦가을에 돋기 때문에 보통 영어 속명(俗名)으로 Late Fall Polypore라고 부른다. 중형-대형 크기를 가진 버섯으로 콩팥꼴을 가지고 있고 어릴 때는 가장자리가 흰 갈색이다가 노균이 되어 가면서 자실체 위쪽 표면이 짙은 갈색으로 되고 우단처럼 보인다. 유균일 때 자실체 표면에서 누르스름한 수액(水液)을 분비하기 때문에 종명(種名) resinosum 이라는 이름이 생겼고“수액이 많은”(resinous)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또 다른 영어속명으로 Resinous Polypore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버섯 유균일 때 균사체에서 아니스(anise) 냄새가 나며 식용할 수 있고, 또 약성도 있다하여 주목받기 시작한 버섯이다.

 

 

www.jadam.kr 2013-02-24 [ 최종수 ]
유균 여기저기 물방울 같은 수액을 볼 수 있다. 우리가 힘들게 일할 때 땀이 나는 것처럼 왕성한 성장기에 대사작용 때문에 수액을 분비한다.

 

떡버섯은 늦가을 죽은 활엽수와 침엽수 통나무 위에 돋는데 돋아도 아주 많이 돋는다. 미국 동부지역에서는 주로 죽은 자작나무 통나무 위에 다량 돋는다. 멀리서 얼핏 보면 마치 잔나비불로초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버섯은 노균이 되어 마르기 전에는 자실체가 말랑말랑하다. 잔나비불로초처럼 포자를 생산하는 하얀 자실층을 건드리면 갈색으로 변한다. 포자색은 흰색이다. 영어로 된 버섯 도감 가운데 이 떡버섯을 식용버섯이라고 하는 도감은 없고 대체로 식용불명 또는 식용불가하다고 적혀 있다.

 

 

www.jadam.kr 2013-02-24 [ 최종수 ]

 

그러나 Michael Kuo의 “100가지 식용버섯”(100 Edible Mushrooms)이라는 책에 보면 이 떡버섯은 유균일 때 그 맛이 의외로 좋다고 한다. 덕다리버섯이나 붉은덕다리버섯을 요리할 때처럼 천천히 조리해야 하는데 저며서 튀겨 먹거나 볶아 먹을 수 있는데, 닭고기나 채소보다는 소고기와 함께 조리하면 좋다고 한다. 이 떡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이 없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게 채취하여 식용할 수 있다. 이 글을 쓰는 사람은 해마다 많이 만나지만 버섯을 식용하는 일에 별 관심이 없어서인지 아직 시식해 보지는 않았다.

 

 

www.jadam.kr 2013-02-24 [ 최종수 ]
떡버섯은 죽은 자작나무 위에 많이 돋는다.

 

전통 의약으로 북미 서북부 지역의 Dene 인디언 부족을 포함한 북방림 지역의 인디언 부족들은 이 떡버섯을 물에 30분간 달여 기침이 날 때 1/3컵씩 음용한다고 한다.

 

현대 의학적으로 중국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떡버섯이 sarcoma 180 암은 70%, Ehrlich 복수암은 80%의 억제율을 보여 준다고 한다. 또 1995년 일본의 Kawagishi 등은 이 떡버섯에서 beta galactosyl-specific lectin 성분은 처음으로 분리해 내었다. 그런데 이 lectin 성분은 일찍이 버섯에서 추출한 최초의 lectin 성분이었다고 한다. 또 1945년 Robbins는 떡버섯이 황색포도상구균을 억제한다고 하였다.

 

 

www.jadam.kr 2013-02-24 [ 최종수 ]
떡버섯 자실층은 흰색이다.

 

또 이 떡버섯은 그 laccase 때문에 오렌지 C 색깔과 레마졸 빛나는 청색 R을 탈색한다(decolorize). 따라서 이러한 색깔을 사용하는 화학 염색공장과 산업체에서 나오는 폐수를 여과 정화하는 데 이용할 수 있어서 환경정화용, 그러니까 지구다시살리기용 버섯이기도 하다. @

 

 

www.jadam.kr 2013-02-24 [ 최종수 ]
떡버섯 노균의 갓 모습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 243.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680쪽.

 

기사입력시간 : 2013-02-24 23:30:55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자닮,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최종수#버섯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