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무늬토기 (삿무늬)

목차
관련 정보
승문호
승문호
선사문화
유물
토기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가 시문되어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이칭
이칭
승석문토기(繩蓆文土器)
목차
정의
토기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가 시문되어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내용

만들 때 안으로는 자갈돌 같은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노끈을 감거나 노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방망이로 두드려 표면에 노끈무늬·격자무늬를 나타나게 한 다음 같은 간격의 평행선을 둘러 돗자리 비슷한 삿자리무늬를 만들고 있어 종래 승석문토기(繩蓆文土器)라고 불렀다. 최초의 보고서가 간행된 김해조개더미의 이름을 따서 흔히 김해토기라 부르기도 한다. 김해조개더미에서는 연질(軟質) 또는 경질(硬質)의 회색·적갈색 때린무늬토기 등 여러 민무늬토기가 나왔지만, 좁은 의미에서 김해토기는 삿무늬가 시문된 경질회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회색토기는 종래의 민무늬토기에 중국식 회도의 기법이 가미되어 생겨난 토기로 보고 있다.

이 토기에 보이는 새로운 기법으로는 정선된 바탕흙[胎土]의 사용과 더불어 기존의 노천요(露天窯)와는 다른 폐쇄요(閉塞窯), 즉 지붕을 가진 실요(室窯) 또는 터널식 요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산소의 공급이 많은 노천요에서 토기를 구우면 흙 속의 철분이 산화되어 산화제이철(Fe₂O₃)로 변해 색상이 적갈색이 된다. 그러나 산소공급을 제한한 폐쇄요에서는 철분에 들어 있던 산소가 빠져나가(還元) 철은 산화제일철(FeO)로 돼 색상이 회색 내지는 회청색이 된다.

따라서 이 토기는 노천·개방요식 소성법(酸化焰)에서 폐쇄식 소성법(還元焰)으로 발전하면서 색상이 적갈색에서 회색으로 변해간 것이다.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물레의 사용 흔적은 보이나 발로 차서 돌리는 정식 물레가 사용된 적극적인 증거는 없고, 손으로 돌리는 간단한 돌림판(turn-table)을 써서 구연부 따위를 마무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토기는 종래의 적갈색토기에서 회색토기로, 즉 물기가 스며드는 토기에서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석기로 발전한 토기혁명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토기를 신라토기의 기원으로 보기도 하며,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 전기로의 전환을 기록하는 하나의 지표로 삼기도 한다.

기형의 종류로는 납작 밑의 넓은 입[廣口]항아리, 화분형 항아리, 둥근 밑의 넓은 입항아리, 굽다리 대야형 그릇, 굽다리접시[高杯], 시루 등이 있다.

삿무늬가 시문된 토기에는 이처럼 김해식 토기로 통칭되는 회청색경질토기 외에도 적갈색연질토기·회백색연질토기 등이 있다. 또 토기에 따라서는 한 토기 내에 삿무늬 외에 문살무늬가 부분적으로 시문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설』(김원룡, 일지사, 1983)
「한국 경질토기의 기원고찰」(고유정, 『호남고고학보』32, 2009)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