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2012

Page 1

TRAJECTORY OF EWHA ACHITECTURE

T E A

EWHA WOMANS UNIVERSITY ARCHITECTURE PROJECTS REVIEW 2012




TEA 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 Projects Review 2012


CONTENTS 학과장 인사말 Department Chair’s Statement 전체 교과목 이수체계 EA Curriculum 교수진 Faculty

7 9 10

STUDENT WORKS Space, Form and Structure / Foundatio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Other Works

12 24 36 56 76 96 116 148 202 216

INTERVIEW 졸업생 - 전숙희 Alumni: Sook Hee Chun 교수 - 김현대 Prof. Hyundai Kim 교수 - 국형걸 Prof. Hyoung-gul Kook

232 236 238

TIMELINE

240

학생성과 Student Achievements 학생활동 Student Organizations 후기 Epilogue: Pick-EA-up!

250 252 254



Department Chair's Statement 학과장 인사말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전공은 1994년 신설되어 이제 스무 살에 접어들었습니 다. 이제까지가 주변의 도움과 사랑으로 열심히 성장했던 시기였다면 이제는 성 인으로서 한 번 크게 도약해야 함을 느낍니다. 2003년 5년제 건축학전공으로 큰 변신을 하였고 2011년 초 5년의 건축학교육인증을 받았습니다. 건축학 전공 에서는 그 동안 쌓아온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여성이 지닌 특유의 섬세함을 개 발함으로써 전문설계 인력 및 유능한 여성 건축가의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 다. 또한 '가치 창출자로서의 여성 건축가 교육'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알찬 교 육 프로그램을 구축해왔습니다. 특히 2012년은 건축학전공이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한다'라는 주제로 제12 회 김옥길기념강좌를 개최하여 강좌, 포럼, 출판, 동영상제작 등의 다양한 프로 그램을 통해 한국건축계에 큰 화두를 던졌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특강, 타학 교 연합 워크샵 등을 통해 이화여대 건축학전공의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2012년을 마무리하면서 건축학전공 창설 이후 첫 학생작품집을 발간하게 되어 매우 기쁘면서도 또한 걱정이 앞섭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고 어설프지만 그래도 남들 앞에 우리의 성과를 조심스럽게 내놓습니다. 작품집의 발간을 통해 2012 년 한 해를 돌아보고 우리 전공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발전해나갈 기회가 되 었으면 합니다. 2012년은 이화여대 건축학전공의 큰 터닝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좋은 작품을 만들어낸 학생과 교수진에게 감사드립니다. 특히 편집부를 맡아 수고하신 유다은 교수님, 작품집을 제작하느라 방학기간 많 은 부분을 통째로 내어 준 편집부 학생들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2013. 1.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주임 강미선

6 7



EA Curriculum 전체교과목 이수체계

8 9


Faculty 교수진

건축학전공 겸임교수

건축공학전공 전임교수

EA Visiting Professors

EA Engineering Department Professors

김정주 JeongJoo Kim

신영수 YeongSoo Shin

제공건축 소장 Ecole d'architecture de Paris La Villette, Diploma 프랑스건축사 건축설계

정교수 Professor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건축구조공학

김태균 TaeGune Kim

송승영 SeungYeong Song

TKA 소장 Yale University, M.Arch 한국건축사(KIRA),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정교수 Professor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건축환경 및 설비, 친환경건축

최종문 JongMoon Choi

이준성 JuneSeong Yi

이담건축사사무소 소장 Stuttgart University, Diploma 독일건축사 건축설계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박사 건설경영관리(CM), 건축시공

최교식 KyoSic Choi

임재한 JaeHan Lim

오우재건축사사무소 소장 서울대학교 석사 한국건축사(KIRA) 건축설계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건축환경 및 설비

권경은 KyoungEun Kwon

김희선 HeeSun Kim

KyuSungWooArchitects, Inc. Me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rch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Georgia Institute Tech. 박사 건축구조공학

전숙희 SookHee Chun

손정욱 JeongWook Son

와이즈건축 소장 Princeton University, M.Arch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조교수 Assistnat rofessor University of Washington 박사 건설경영관리(CM), 건축시공

이소진 SoJin Lee Ateliers Lion Seoul 소장 Ecole d'architecture de Paris Tolbiac 프랑스건축사 건축설계

이치훈 ChiHoon Lee Society of Architecture 소장 연세대학교 석사 건축설계


10 11

건축학전공 전임교수 EA Full-time Faculty

임석재 SokChae Im 정교수 Professor Univ. of Pennsylvania 박사 건축역사 및 의장

윤재신 ChaeShin Yoon 정교수 Professor M.I.T 박사 건축설계이론과 방법론 및 한국전통건축

강미선 MiSeon Kang 정교수 Professor 서울대학교 박사 건축계획 및 건축설계

김광수 KwangSoo Kim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Yale University, M.Arch 한국건축사(KIRA) 건축설계

이윤희 YoonHie Lee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Yale University, M.Arch 건축설계

류창수 ChangSu Ryu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AA School of Architecture, M.Arch 영국건축사(ARB, RIBA) 건축설계 및 디지털건축설계

이동훈 TongHoon Lee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M.I.T, SMArchS 한국건축사(KIRA),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유다은 DaUn Yoo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Havard University, M.Arch. MAUD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및 도시설계

김현대 HyunDai Kim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Princeton University, M.Arch 미국건축사(AIA), LEED AP 건축설계 및 디지털건축설계

국형걸 Hyong-gul Kook 조교수 Assistant Professor Columbia University, M.Arch 미국건축사(AIA) 건축설계 및 디지털건축설계



SPACE, FORM AND STRUCTURE 건축설계의 기본이 되는 조형적 구성원리를 이해함과 함께 조형의식과 건축물 구축의 근간이 되는 기하원리를 탐구하고 응용한다. 또한 조형 형식과 구축, 구조의 상관성을 이해하고 이에 입각한 조형제작물을 수 행한다. 이와 함께 이론적 측면에서 건축물 구성의 기본요소 및 건축조 형의식의 변천과정을 이해한다.

STUDIO TUTORS: Kwangsoo Kim Miseon Kang Sookhee Chun Hyundai Kim

FOUNDATION STUDIO 본 교과목은 Pre-studio 과목으로 설계스튜디오를 시작하기 전 건축공 간의 기본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건축도면의 이해 및 작성방법, 모형의 제작 등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네 단계로 나뉘진 과정을 통해, 건축도 면의 의미는 건물의 사실적 묘사가 아니라 건축적 사고의 전개 및 표 현수단임을 배우며, 설계초기의 개념의 설정과 이의 발전 그리고 건축 공간의 구축을 경험하며, 기능적, 심미적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공간 을 사고하고 구축하며 이를 표현할 것인가에 강의의 초점을 두고 있다.

STUDIO TUTORS: Kwangsoo Kim Tonghoon Lee Jongmoon Choi Kyosik Choi


Power Strip Organizer 멀티탭 정리 케이스 이미성 Meesung Lee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멀티탭 사용의 불편함을 줄임과 동시에 효율적이고 실내에 놓았을 때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 도록 디자인했다. 불필요한 공간 사용을 줄이고 투박함을 없애기 위해 새집 모양으로 제작하였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열 수 있는 2단 뚜껑으로 만들었다. 뚜껑에 픽토그램을 그려 넣어 사용법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도록 하며 전선이 나가는 구멍을 양쪽으로 내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 용 가능하게 하였다.

This organizer is design to remove inconvenience and to use existing power strip effectively as interior decorations. Designed as a birdhouse to remove unnecessary space and roughness. A double-hinged lid can be opened for demand.Pictograms are painted on top of the lid to present how-to-use. Designed with cord outlets either side of the organizer for demand.

How to use 1 2 3 4 5

뚜껑을 열고 멀티탭을 넣는다. 고리가 달린 부분을 편다. 고리 몸통 부분에 전선을 감아준 후 고리 머리 부분에 코드를 걸어 고정시킨다. 고리가 달린 부분을 닫고 전선은 케이스 구멍으로 뺀다. 코드를 멀티탭에 꼽고 고리 머리 부분에 이름표를 달아 가전제품을 표시해준다. 케이스의 뚜껑을 닫는다.

1 Open the lid of organizer to place a power strip. 2 Spread out the folding wall. 3 Coil up cables around cord anchors; Fix cords through cord anchors one-by-one. 4 Fold the wall and pull out the end of each cord through outlets. 5 Plug in cords into sockets of power strip and tag on each cord anchors to indicate certain appliances. Close the lid of the organizer.


Paper Tower 기하원리의 설정과 반복

SPACE, FORM AND STRUCTURE

14 15

강소리 김수진 홍희원 손기연

Sori Kang Sujin Kim Huiwon Hong Kiyoun Son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페이퍼 타워의 단위체를 접착제 없이 안정적으로 쌓아 올리기 위하여 단위요소 간 결합이 강하고 쉬운 형태를 고안하였다. 따라서 손을 서로 깍지 꼈을 때 안정적이 고 쉽게 풀리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게 되었다. 한 층은 여섯 개의 유닛을 하나의 기본단위로 하여 서로 지탱해주도록 했다. 또한 층을 구성하는 유닛들이 하나 건너 하나씩 위로 돌출되어 있어 한 층씩 끼워서 쌓을 수 있었다. 층의 크기와 모양은 기본단위에 유닛을 더하 면서 변화시켰다. 전체적인 모양은 세 층마다 눈송이 모 양과 육각형 모양을 반복하며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 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 버즈 칼리파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반쪽씩 엇갈리게 좁아지는 형태를 취해 정형적일 수 있는 탑 모양에 변화를 주었다.

We devised a unit to build a stable ‘Paper tower’ without using adhesive bonds. Thus, it required a strong and simple conjunction between units. So, we made the unit from the idea of folding hands that is bound tightly together. Each layer of the tower is consisted of several modules so they support each other. Every other unit of the layer is projected out, so we can put the layers one by one. The size and the shape of each layer are formed by adding units to the modules. The overall figure is tapered, repeating hexagon layer and snow crystal-shaped layer for every 3 floors. Also, half layers are alternatively tapered, conceived in the figure of Burj Khalifa.


Contents&Container 공산품 케이스 디자인

1

1 2 3 4 5

와인 잔 케이스 | 손기연 | 강미선 스튜디오 양말 걸이 | 정자영 | 김현대 스튜디오 와인 병 케이스 | 정한아 정수진 | 전숙희 스튜디오 우산꽂이 | 이슬 정재영 | 전숙희 스튜디오 휴대용 분필통 | 양효실 최수진 | 전숙희 스튜디오

2

3


SPACE, FORM AND STRUCTURE

4

16 17

5


Repetition of Geometry 기하원리의 설정과 반복

1

2

3


SPACE, FORM AND STRUCTURE

1 2 3 4 5 6

김여진 이주영 김새롬 양효실 최수진 정수진

18 19

윤아름 조성은 | 김현대 스튜디오 주현선 김혜원 | 김현대 스튜디오 김혜원 이혜나 함현지 | 김현대 스튜디오 유 경 이경민 유성은 | 전숙희 스튜디오 김산하 김명선 류호언 | 전숙희 스튜디오 정한아 김희주 | 전숙희 스튜디오

4

5

6


Volume and Space 미술관 설계 프로젝트 김예지 Yeji Kim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Model 건물외관은 큰 직육면체에서 동선과 내부구조에 맞춰서 작은 직육면체를 도려내고 창을 내어 디자인하였다. 건물 안은 1층과 2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내부공간을 나누고 있고 계단을 오르고 내리면서도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 2층에서 1층의 설치작 품들을 감상할 수 있으며 건물의 내부구조도 살펴볼 수 있다.

I designed exterior by cutting out little cubes which are connected with circulation and internal structure from the large cube. Inside of museum is divided by stairs which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floors. You can see the artworks while you move up and down.

Plan

3 1

4

2

5

1Lounge 2Restroom 3Lobby 0

1

4Paintings 5Torso 6Installation

6 3M

0

1

3M

이미성 Miseong Lee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Sketch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느낌으로 대형 조각을 다양한 레벨에서 감상할 수 있는 구조에 중점을 두었고, 만들어진 레벨 차이에 따라 공간을 구별했다. 1층에는 조각품, 2층에는 그림을 전시하고 만들어진 레벨 중 높은 곳에 휴식 공간을 만들어 휴식 공간의 쾌적함을 차별화 시켰다. 2층 휴식 공간 에 위치한 중정을 1층 입구의 오픈된 부분과 연결시켜 내부에서 바라볼 수 있는 view를 다양하게 했다.

대형 창이 있고 높은 레벨에 위치해 밝고 쾌적한 휴식공간. 채광차이를 이용한 공간 차별.

레벨 차이가 드러나는 외관 형태.

Located in the highest level of the building with light and comfortable resting space. Brightness of lighting to differentiate each space.

Arrangement of crude exteriors and scale down of skylights

Entire Stability: Place emphasis on building structure that can provide various levels for appreciations. From the height differences for each level, gain spatial distinctions of the building. Place sculptures on the 1st floor and paintings on the 2nd floor and create the highest level of the building as resting space to provide differentiated comfortableness. A Courtyard located in resting space on the 2nd floor is connected to the part of open space of entrance on the 1st floor. This connecting structure creates various points of view through inside of the building.


FOUNDATION STUDIO

20 21

권채윤 Chaeyoon Kwon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1층엔 리셉션공간과 휴게공간과 대형 설치 작품이 전시 되어있다. 1층과 2 층을 연결하는 계단으로 올라가게 되면 2층에 토르소와 그림을 전시하는 공 간이 있다. 그림을 전시하는 공간을 지나가게 되면 휴게공간으로 이어지는 투명 유리문으로 나갈 수 있는 야외 공간이 마련되어있다. 2층 야외공간을 나가는 쪽의 방향에서도 투명 유리창을 통해 토르소 전시를 볼 수 있다. 2 층의 야외 공간을 지나 내려가는 계단으로 내려가 라운지로 이어지는 쪽으 로 내려가게 되면 1층에 있는 휴게공간으로 나올 수 있다.

Model

The first floor consists of the exhibition space, reception area and the resting area. When you go up the stairs which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floor, you can find the torso and the paintings exhibited at the exhibition space on the second floor. When you go through the exhibition space for paintings, the transparent glass door leads you to the seating area and then to the outdoor space. From the second floor outdoor space, you can see the torso through the window. When you go down the stair after passing the outdoor space, you can go back to the lounge on the first floor.

Plan 3

6

5

1Torso 2Paintings 3Terrace

2 1

0

1

4Reception 5Restroom 6Lounge

4

3M

0

1

3M

Model

Plan 1

1Toilet 2Reception 2 0

1

3M

0

1

3M


VOLUME AND SPACE

박일형 Ilhyung Park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Franz West의 작품 <Sisyphos IX>.(의미: 제우스를 속인 죄로 지옥에 떨어져 바위를 산 위로 밀어 올리는 벌을 받은 코린트의 왕’Sisyphos’.)에서 착안 한 ‘산위에 밀어올려진 바위’를 감상하는 전시장. 산에 오는 등산객들이 산 정상에서 경치와 함께 작품을 즐길수 있도록 작품 을 감싸는 벽을 두고 경치가 좋은쪽을 틔었다. 이 벽은 산정상에 오른 관람객 들이 반갑게 맞이할 수 있는 순백의 또 다른 산이다. 작은 입구를 통해 전시 장으로 들어가면 시야를 가린 계단의 밑을 지나 펼쳐진 경치를 뒤로 한 작품 이 눈에 들어온다. 벽 사이에는 회화 감상을 위한 좁은 복도가 2층 높이에 위 치하는데 이층으로 이어지는 계단은 작품감상은 물론 관람객들의 휴식을 위 한 공간이기도 하다.

The museum exhibits ‘Rock pushed up on the mountain’ based on the ideas of Franz West’s artwork <Sisyphos IX>. There is wall covering artwork and the museum is opened to good sightseeing so climbers can enjoy views and artwork. This wall is another snow white mountain welcoming visitors. After enter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small entrance and stairs blocked some view, you can see the artwork which had great scenary. Between walls, there is narrow corridor for paintings on the second floor level. The stairs to the second floor is for exhibition and relaxation.

Model

최정윤 Jeongyoon Choi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이 프로젝트의 컨셉은 TV이다. 전체적인 느낌뿐만 아니라 우리가 TV를 볼 때 의 그 편안함, 휴식하는 듯 한 분위기를 최대한 살리고자 했다. TV안에 또 다 른 TV가 있고 또 다른 TV로 연결되는 형식으로 공간을 계획해보았다. 전시장 1층에는 전시장으로 들어오는 입구와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대형설 치작품과 화장실이 있다. 전시장 2층에는 두 개의 회화작품과 한 개의 조각 품이 전시되어있고 1층의 대형설치작품을 내려다볼 수 있도록 복층형 구조 로 되어있다. 문이 없는 개방적인 형태이지만, 각 각의 공간이 가진 독립성이 존재한다. 2 층의 두 개의 암실 공간에는 색채가 화려한 회화작품들이 전시되어있는데, 이 는 마치 TV를 보고 있는 듯 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Plan

Model

Concept is TV. I emphasize not only general impression but also comfortable image when we watching TV and losing mood. I designed the space like one TV in another TV and connected the others. There is entrance, large art piece and toilet in the first floor. Second floor exhibits two paintings and one torso. You can look down the large art piece in the second floor. There is no door inside but each space have individual image. Brilliantly colored paintings in two darkrooms on the second floor display image like watching TV.


FOUNDATION STUDIO

22 23

최수진 Soojin Choi 최교식 스튜디오 Kyoshik Choi Studio 외부계단으로만 연결된 설치미술과 회화를 위한 두 개의 중첩된 전시공간 이 이 프로젝트의 개념적 특징이다. 실내에서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두 공간이지만 외부공간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어 관람자들에게 외부로 나 왔다가 다시 내부로 들어가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였다. 토르소를 위한 전 시공간은 사방이 유리로 개방되어 있어 편안하고 개방된 전시공간으로 인 접한 휴게공간의 확장된 영역이다.

Model

Conceptual characteristic of this project is overlapping two exhibition rooms, one for installation and the other for paintings. There is a visual connection between two rooms, but visitors can move to one of them by the outside stairs. It makes visitors have experience of getting out of and getting into the building. The torso exhibition room, which is formed by all glass walls, is an open and comfortable space which is extension of rest area.

Plan

Reference Model | 르꼬르뷔제 「라로쉬-잔네르 주택」

홍희원 Hewon Hong 최교식 스튜디오 Kyoshik Choi Studio 폐쇄적 진입로는 미술관에 입장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긴장감과 기대감을 조성하게 한다. Light hall 을 통하여 떨어지는 빛은 리셉션 공간에서 신비감 을 조성한다. 1층에서 1.5층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외부에서 1.5층까지 연 결되는 벤치기능의 계단은 서로 연속되도록 설계되어 1.5층 벽에 뚫린 낮 은 창을 통해 관람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람객은 대형설치작품 을 중심으로 순환하며 다른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야외 휴식공간의 통 유 리 창은 북쪽을 향하고 있어 설치미술에 일정한 빛을 주는 역할을 하며 전 시공간에 개방감을 준다.

Model

The entrance way closed by walls makes visitors feel tension and expectation. The light falling down from the light hall makes the reception room mystical. There are two stairways, inside one and outside one. The inside stairway is for going to mezzanine floor and the outside stairway has another function as bench outside. Visitors can realize the stairs are continuous through the low level windows. Visitors can view paintings and torso while go around the large installation artwork. The artworks can get constant light through the huge windows of the outdoor rest space facing north side, and it makes the exhibition space.

Plan

Reference Model | 리차드마이어 「스미스 하우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SINGLE FAMILY HOUSE & RETAIL DESIGN 주택을 사례조사하고 도면 및 모형 연구를 통해 그 상호관계를 이해한 후, 2개의 소규모 건축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연면적 200㎡ 내외의 작가 작업실 겸 거주공간 디자인이며 두 번째 프로젝트로 연면적 400㎡ 내외의 소형상 업시설을 디자인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건축설계개념이 공간으로 전환되는 과정 을 탐구하고 건축적 구성요소가 공간생성논리와 구축논리로 체계화되는 과정을 학 습한다. 또한 건축공간과 사용자간의 행태상관성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위한 건축공간을 디자인한다. 디자인과정에서 다이어그램 및 도면의 작도와 모형스터 디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STUDIO TUTORS: Daun Yoo Jeongjoo Kim Taegune Kim


Tube Stair 경험과 연결의 통로, 계단 김영주 Youngjoo Kim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가게들이 빽빽하게 들어선 이대 앞의 상업지구에서는 목적지 가 중요해지고 이동과정에서의 경험은 경시된다. 때문에 계단 실은 도시와 공간을 경험하는 과정 속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계단은 목적지로 사람들을 이끄는 통로일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공간으로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In commercial districts around Ewha University main gate, the space for vertical circulation is minimized to provide the maximum rentable space. However, the project focuses on the design of space associated with stairs, the spatial experience for visitors can be enriched.

전면에 최소한의 창을 배치하여 ㄷ자 매스 형태가 잘 읽히고, 비워낸 매스의 외부 공간이 강조되어 보인다.

Scenario

먼저 건물의 입구에 다가서면 매력적인 보이드 공간을 느낄 수 있다.

건물을 대각선으로 관통하며 계단 으로 들어서게 되면,

하늘이 보이며 실내에서 외부로 통하는 계단을 오르는 흥미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Design Development Schematic Model

Mass Development

1

4F Basic form

Delete

1 Cafe

Penetrate

Plan Development 2

1

3F Flat Slab

Tube stair + Different step slabs

Two different Programs

1 Cafe 2 Terrace

1

2

2F 1 Shop 2 Restaurant

1 2

1F 1 Shop 2 Restaurant

Section


26 27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llure 誘 유혹할 유

박일형 Ilhyung Park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비움, 열림, 그리고 다시 숨김. 이러한 공간적 농담이 상상을 증가시키고 공간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간판이 아닌, 공 간 그 자체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이화여대길 근린생활시설 을 디자인하고자 했다. 건물의 한 면만 가로에 접해 깊이가 깊 어 보행자를 끌어들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Leave space empty. Then open it and conceal it again. This spatial progression will increase people’s imagination and eventually lead people deep into the building. Through designing this commercial building without too much signs, but with more expectation of spatial experience will attract people and let them enjoy while navigating the interior space.

Perspective View

Design Development

거리의 휴먼스케일에 따 라 쇼윈도가 중요시되는 샵을 1층에, 카페는 2층 에, 레스토랑을 3,4층에 두었다.

2,3층으로 연결하는 계 단을 과장하고 외부로 노 출시켜 한눈에 보이는 쉬 운 동선을 만들었다.

1,2층의 매스를 비워 보 행자를 자연스럽게 끌어 들일 수 있는 공간을 만 들었다.

매스를 작은 단위로 분절 하여 상가로 활용하는 이 대앞 다른 건물들에 어울 리도록 파사드 스케일을 맞추고자 했다.

4 2

1 N

분절된 매스의 레벨과 전 후로 크기를 조정하여 다 양한 용도와 크기의 공간 을 만들어냈다.

1

1

1

1 2 1

2

3 1

1

3 4

1

4

B1

1 Shop

Elevation

1F

1 Kitchen 2 Cafe 3 Toilet 4 Terrace

Section

2F

1 Kitchen 2 Restaurant 3 Toilet 4 Terrace

3F

호기심을 자극하는 건물 입구

1 Terrace 2 Restaurant

4F

복층의 레스토랑


Rest Above the Clouds 구름 위에서의 휴식 여수진 Sujin Yeo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20대 여성 싱어송라이터를 위한 주택 프로젝트이다. 클라 이언트가 좋아하는 ‘하늘과 구름’이라는 주제로 입면과 내부공간을 구체화하였다. 입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구름 과 같이 떠있는 듯한 창들은 내부적으로도 풍부한 공간경 험을 만들어준다.

This is the house for a female sing-a-song writer in her twenties. The concept of the façade and the interior space is ‘sky and cloud’, the client’s favourite element in nature. Various size and shape of windows are designed to remind the clouds in the sky and the view to the sky from the interior are enriched by these variations.

Perspective View

Concept 구름의 형상을 본따 입면의 창문과 내부의 가구를 디자인했다.

1

3F

Scenario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큰 창들은 내부에서도 여러 역할을 한다.

2

3

1 Bedroom 2 Bathroom 3 Garden 4 Composition room

4

3

Seating

Standing

Putting something 2

1F 1 Livingroom 2 Kitchen & Dining 3 Toilet

Ventilation

1 N

Stairs

Section

Final Model


28 2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INstability 규칙 속 불규칙

염인영 Inyoung Yeom 김정주 스튜디오 Jeongjoo Kim Studio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의 원천은 엄청난 불안이다. 그로부터 글을 쓰 고, 쓰면서 안정감을 찾는다는 작가에게 그 만의 집을 만들어주고 싶었다. 규 칙적이면서도, 불규칙한 판들이 들어가 불안함이 느껴지도록 구성하고, 투명 한 유리로 감싸면서 안정감이 느껴진다.

The source of imagination of Bernard Werber is a tremendous anxiety. He writes from it, and he finds stablity from that writing. I want to make his own house. Regular and irregular plates are configured for discomfortness and its being wrapped by transparent glass gives him comfortness.

1

Design Development 3F

2

1 Private library 2 Work room

1 2 3

정육면체를 대각선으로 나누어 공간을 4등분

3개의 층으로 공간 분리 2F 1 Bedroom 2 Dress room 3 Livingroom

1

벽이 없어지거나 슬 라브가 계단이 되기 도 한다

공간의 특징에 따라 벽의 모양과 형태가 변하고, 용 도에 따라 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2

1F 3

1 Kitchen 2 Livingroom 3 Bathroom

STAIR - special space

책을 읽기도 하고 작품을 구상 하기도 하고 쉬기도 하는 작가 만의 공간. 계단이 책꽂이, 소파, 작업대의 역할을 한다.

Circulation

Perspective View


The Three Blocks 세 블록 민슬기 Seulki Min 김정주 스튜디오 Jeongjoo Kim Studio 사이트는 이대 앞 번화가의 녹지공간과 열린공간이 족한 곳에 있다. 거리에 길게 맞닿은 건물의 입면을 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입면과 매스에 화를 주어 열린 외부공간과 녹지공간으로 활용되는 적을 늘렸다.

부 외 변 면

The building is located in the site where the green space and open space fall short. The long façade of the building along the street is deleted so it is able to use it as outer space. Diversity in elevation and mass increases the area used as green space, open space.

Site Model

Design Development

ㄷ자의 기본 매스 형성 기본매스가 별다른 변화 없이 3층을 형성 Section 1

중간매스를 180도 회전, 3개의 매스를 비틀어 새로운 공간 생성 비튼 매스들 사이에 내외부 계단이 위치

비튼 매스사이에 생긴 중정 공간을 정원으로 활용 매스의 양끝과 중정을 큰 창을 이용해 외부를 향해 오픈 Section 2 0

1

3

6M

Program 1층에는 이대 앞 상권의 특징인 포장마차의 느낌을 활용 한 레스토랑을, 2층에는 대학생 위주의 오픈 갤러리를, 3 층에는 카페를 계획하였다.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번잡한 거리의 느낌으로부터 점차 벗어나 휴식할 수 있는 공간 을 계획하였다.

Perspective Vie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Linking Stairs 연결되는 계단

30 31

양지현 Jihyun Yang 김정주 스튜디오 Jeongjoo Kim Studio 머무는 시간에 비하여 공간이 부족한 이대 앞에 머물 수 있는 샌드위치가게 와 북카페를 계획한다. 복잡한 주변을 고려하여 박스형을 유지하지만, 입면 의 변화로 단순함을 완화시킨다. 또한 긴 공간에 내벽 대신 계단을 이용하 여 공간을 구분한다. 따라서 공간 내에서는 높이 차로 인한 용도 간의 위계 가 생기며, 각 공간은 층으로 인해 경계가 허물어 진다.

Design Development

A stay-able shop is planned on the site where have few spaces for staying. Considering complex surroundings, building mass should be in box form while the elevation has changes. Moreover, spaces are divided by stairs instead of walls. Finally, it has various use by different height and breaks up borders among different spaces.

가늘고 긴 공간의 나눔

Site Model

계단과 복층구조로 경계가 허물어진 공간

4F Book cafe

화장실

기타

북카페

입구

레스토랑

아웃도어

층에 관계 없이 용도 별로 공간이 나누어지는 Honey comb 구조

2F Restaurant

방문객과 학생의 머무를 공간 부족 프로그램은 방문객을 위한 샌드위치숍, 학생들을 위한 북카페로 이루어져 있다. 가늘고 긴 두 공간의 결합을 위해서 내벽의 사용을 최소화 시키고, 계단을 사용하여 공간 을 구분하거나 공간을 연결하도록 한다. 하나의 공간 내에서는 높이 차로 인해 용도 간의 위계가 생기며, 서로 다른 공간 사이에서는 층의 경계가 허물어진다.

1F Restaurant

Section


Veiled House 감춰진 집 박슬기 Seulki Park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공사구분이 명확하며 사생활을 중요시하는 건축주인 서태지를 고 려하여 용도별로 공간을 분리시켰다. 사적인 공간으로 갈수록 복 도 폭이 좁아져 사적인 느낌을 극대화시키며 꺾인 복도 다음에 나 타날 공간을 예상할 수 없다. 주택 전체는 이런 복도로 이어지며 각 공간 사이에 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This house is for Taeji Seo, a musician who respects his own private life. So, the rooms are classified by each use and a private-public concern. The corridors become gradually narrow to private room, so that it increases privacy. And we can’t anticipate the next space after zigzag shaped corridor. The whole house is connected by those corridors and there is no door between the rooms.

Concept

Design Development Mass & Plan

Living Room Dining Room

Bed Room Dress Room

Working Room

공적 공간에서 사적 공간으로의 동선

공간의 용도에 따른 3개의 매스 매스의 높이와 넓이를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배치

Working Room

Corridor

Bed Room

Living Room

거실과 작업실은 가깝지만 이동하기에는 먼 거 리. 가까우면서도 멀리 있는 대중가수의 이미지 를 형상화

사적인 공간으로 이동시 좁아지는 복도 → 공간의 특성 극대화 통로 이자 문의 역할

Windows

사적인 공간 : 내부를 향하는 창문 공적인 공간 : 외부를 향하는 창문 내부의 연못이 사적인 공간에 휴식처를 제공

South Elevation

Axonometric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atrium-STAGE-nature 자연을 배경으로 한 무대

32 33

신혜지 Hyeji Sheen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이 집은 발레리나 강수진을 위한 집이다. 스튜디오 공간과 주거 공간은 가운데에 아트리움을 가짐으로써 직간접적으 로 영향을 주며 공존한다. 스튜디오 공간은 주거공간으로 둘 러싸여있으며 스튜디오는 무대가, 주거공간은 관객석이 된 다. 자연을 스튜디오-무대의 배경이 되도록 끌어온다.

This house is for a ballerina, and is composed of two main spaces. One is the studio for the working and others are living spaces. So, the working space and living space coexist and affect each other. The studio is surrounded by living spaces. And sometimes, it becomes a stage and the part of living spaces become the seats for the audience. The outside nature is brought as the background of stage.

Design Development Mass Study B

A

C

D

Idea Sketch

A 중정확보를 위한 매스 분리 B 스튜디오(스테이지)와 거주공간(관람석)을 구분하기 위한 매스 분리 C 거실, 손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원형의 광장 D 동선이 나누어지는 곳, 원사이의 틈새로 새로운 공간 암시

Program Diagram

Studio Atrium

Residential Area

Stage Atrium

Audience

Studio Atrium Bathroom

Bedroom

Private Studio Public

Studio

Atrium

Atrium

Entrance L

D

K

Bed room Studio Living room

Isometric Section View


Cross Building 교차하는 공간, 크로스 윤혜진 Hyejin Yoon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이화여자대학교 앞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유동인구 대 부분이 여대생이라는 것이다. 여성들의 대부분이 관심을 갖는 의류매장과 대학생들이 학교 앞에서 가장 많이 찾는 카페를 프로그램으로 갖는 건물을 제공한다. 의류매장공 간과 카페 공간이 서로 크로스하며 개성 있고 다이나믹한 공간의 연속성을 창출한다.

The one big character of area near by Ewha Womans University is that most of floating population are female students. So I suggest two main programs, a fashion store and a cafe, in which they can shop and enjoy coffee and drinks. The fashion store and cafe are crossed each other, so that it is unique and dynamic sequences of space are created. 건물의 전체적인 모습

Site Analysis

대지의 두 면은 인근 건물과 매우 근접해있어서 사람 의 이동이 아예 없고, 나머지 두 면 모두 자동차와 사 람 모두 접근 가능한 길과 인접하지만 그 중 하나는 비 교적 좁아서 두 길의 유동인구의 차가 크다.

Concept

기존 건물들의 구획 방식은 한정된 평면 또는 한정된 입면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그것들을 벗어나 공간과 공간이 서로 교차하는 새로운 구획방식을 제안한다. North Elevation

1F

2F

3F

4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1

Jenga Building 거리에서 볼륨을 느끼다

34 35

임한솔 Hansol Lim 김태균 스튜디오 Taegune Kim Studio 대지가 가지고 있는 모서리라는 특징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래서 컨셉은 젠가게임처럼 매스가 다양한 방향으로 겹치면서 생기는 공간이다. 이를 통해 거리에서 쉽게 읽히고 볼륨을 느낄 수 있도 록 하였다. 프로그램인 상점과 레스토랑은 다이어그램에서도 볼 수 있듯이 서로 맞물리도록 계획하였다.

I focus on that the site is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streets. Various spaces are made by piling several masses up in diverse directions like Jenga game. Through this kind of massing, volume and spaces are easily recognizable by pedestrians from the both streets. Shops and restaurant are interlocked to each other, as you can see in diagram.

Final Model

Concept 젠가처럼 매스가 불규칙적으로 쌓이면서 생기는 볼륨을 통 한 공간 구성

Study Models

Program

Interior view

Shop Resturant Extra Space

0

1

3

6M

Section

Shop Circulation

Restaurant Circul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ART MUSEUM 문화시설의 건축적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배경과 건축공간의 상관 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사회의 문화예술 활동에 필요한 복합문 화시설을 설계한다. 문화시설이 갖는 특수한 건축형식의 설계를 위해 경사진 대지 에 1500㎡미만의 복합적인 문화시설을 계획하고 이에 대한 구조 및 구축형식을 연구, 발전시킨다. 사회문화 프로그램과 공간과의 관계, 환경과 형태의 관계를 이해 하고 대지의 자연적 조건들을 창의적으로 분석하고 설계에 반영하는 능력을 함양 한다. 나아가 개별 건축물의 디자인을 넘어 사회문화건축담론에 대한 사고를 확장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STUDIO TUTORS: Hyundai Kim Kyungeun Kwon Sookhee Chun


Walking Through the Cubes 큐브 사이로 걷기 양지현 Jihyun Yang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Different levels of cubes Inflow outside through a corridor Two circulation started from the lobby

콘크리트 큐브를 배치하여 부암동 주변에 위치한 주택들을 표현하고, 큐브 중간 중간에 있는 복도와 창을 통하여 외부공간을 실내로 유입하도록 한다. 미술관 외부는 두 가지로 나누고 내부에는 중정을 두어 세 가지 다른 형태 의 외부 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메인 출입구의 우측으로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하게 하여 동적이고 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좌측으로는 나무 데크로 이루어진 계단과 램프, 조각품 등으로 동적이지만 가공된 분위 기를 연출한다. 콘크리트 벽 사이에 위치한 중정은 외부 공간이지만 정적이 고 가공된 분위기가 연출된다.

Concrete cubes are the representation of the low and small houses of the site. Between the cubes, outside flows in the inside through windows and corridors. Secondly, the museum has three different parts of outdoor spaces. Outside of the museum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presents natural and active ambience by its untouched nature, and the other presents active but artificial atmosphere by sculptures and stairs and ramps made of wooden deck. Finally, the courtyard surrounded by concrete walls offers silent, directed ambience.

Concept Extentionfrom of inner space by courtyard Courtyard cafe Convenient circulation by the openned middle part

Diagram 1

Concept DiagramDiagram 1

EWHA WOMAN’S UNIVERSITY 1005038 Ji Hyun Yang

Site Plan

Library Director’s Office Plan a space with several cubes whose size are different each other

Give variety to the shape by pulling some edges of adhered cubes

Plan a space with several cubes whose size are different each other

Concept Diagram 2

Lobby

Site Plan

Concept Diagram 3

N 0 1 2 3

Design outdoor space to comporse two different ambience,

and plan a courtyard inside the museum. Design outdoor space It offers spatially diverse experience to users. to comporse Design outdoor space to comporse two different ambience, two dierent ambience, and plan a and plan a courtyard inside the museum. It offers spatially diverse experience to users. 1. Natural & Active space the museum. courtyard inside

Auditorium

Maintain untouched ground and plant trees

Cafe

Storage

1. Natural Active space make people&feel the nature.

Maintain untouched ground and plant trees

2. Artificial & Active space make people feel the nature. Plan gentle stairs and ramps

2. Artificial & Active made by wooden decksspace to connect

Permanent Exhibition

The shape of the cubes is more emphasized,

Concept Diagram 3

Concept Diagram 2

Temporary Exhibition

The shape of the cubes is more emphasized, and outdoor space is drawn into the inside.

The shape of the cubes is more emphasized, and outdoor isinto drawn and outdoorspace space is drawn the inside. into the inside.

Temporary Exhibition Office

Give variety to the shape by pulling some edges of adhered cubes

Lobby

Study Model

outside and inside of the site. gentleform stairsa and ramps InPlan addition, neutral ambience by made by wooden to connect some sculptures anddecks rest places and inside of the site. atoutside openned space. In addition, form a neutral ambience by some sculptures and rest places 3. Artificial &space. Inactive space at openned

The height of the museum is It is the place surrounded by concrete walls, 3. & Inactive space butArtificial openned towards upside. similar with near houses. In other wards, it is outdoor but closed. is the another place surrounded concrete walls, It It shapes ambienceby with other two parts. butaopenned upside.of the courtyard And sculpturetowards in the middle

Mass Model

In museum other wards, it is outdoor closed. road are The andbutmain embosses it. It shapes another ambience with other two parts. And a sculptureby in thethe middlewooden of the courtyarddeck. connected

5

Seperating ocers Seperating circulationcirculation for officers and visitors byfor two lobbies. and visitors by two lobbies. Seperating circulation for officers and visitors by two lobbies.

For visitors,

Visitors who come on foot use the main lobby that is Fortovisitors, close the main street. Visitors who come on foot use the main lobby that is

For visitors withstreet. a car, close to the main

Visitors who come by a car should arrive at the parking lot For visitors a car, which is behind with the museum. And then to enter the inside of museum, they need to come who come by a car shouldthe arrive at thedeck. parking lot toVisitors the main lobby passing through wooden which is behind the museum. And then to enter the inside of museum, they need to come For offcers, to the main lobby passing through the wooden deck.

Mass Model

There is another entrance for officers and a director. offcers, It For is placed behind part of the museum. So the circulation is seperated from visitors, There is be another entrance for and a place director. but it can still connected by officers the common It isas placed part ofroom. the museum. such a cafebehind and a resting So the circulation is seperated from visitors, but it can be still connected by the common place such as a cafe and a resting room.

embosses it.

E/M

EWHA WOMAN’S UNIVERSITY 1005038 Ji Hyun Yang EWHA WOMAN’S UNIVERSITY 1005038 Ji Hyun Yang

Storage

Exploded Diagram The height of the museum is similar with near houses.


38 3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Exterior View

N

Design Concept 4

6 3

6

7 Put the features of Buam-dong into1 the site that is 292, Buam-dong, Jongno-gu, Seoul. 5

1. Use concrete cubes like near2 houses whose scales are not big. 9 1 It makes the museum2 not to be disparate.

8

6 6

2. Plan three different types of outside to offer diverse sceneries to visitors. It is simillar to Buam-dong that has many1Fspectacles. PLAN However, in here,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reversed. 1F So, peopl enjoy the sceneries ‘in’ the museum. N

0

01

3

1

2

3

5

6M

The museum becomes interchanging with the very Buam-dong.

2F PLAN

N

0

5

1

2

3

2F

1 Lobby 2 Permanent Exhibition 3 Shop 4 Auditorium 5 Cafe 6 Temporary Exhibition 7 Terrace 8 Restroom 9 Office 10 Director’s Room 11 Storage 12 Library 13 E/M

2

10

9

1

8 5

6

2

6

6

2

4

EWHA WOMAN’S UNIVERSITY 1005038 Ji Hyun Yang 11

0 1

3

6M

11

A-A’ Section

13

B-B’ Section


Museum of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현대 설치 미술 박물관 임한솔 Hansol Lim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Lounge

Library

Office Gallery

Terrace

Black Room

Reception Cafe/ Shop

Model

DESIGN PROCESS

Design Process Main Gallery

Exploded Diagram

Curvilinear MassMASS CURVILINEAR FROM BOUNDARY From SiteSITE Boundary

SECTION A - A’

Interlocking Masses INTERLOCKING MASSES

SECTION B - B’

1 Gallery (Permanent Exihibition) 2 Main Gallery (Temporary Exhibition) 3 Office 4 Cafe 5 Storage

1

Separate Volume SEPARATE VOLUME By separating upper By separating upper volume, volthe surrounding beautiful views ume,are available surrounding views in various directions are available in various directions

1

3

2

4

2

5

0 1

3

6M

A-A’ Section

B-B’ Section


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 2

이 프로젝트는 부암동에 뮤지엄을 설계하는 것으로, 설치 미술을 주로 전시하는 아트뮤지엄을 디자인했다. 사이트분 석을 하면서 거리에서 사이트를 보았을 때 느껴지는 긴 선 형의 축이 인상적이었고, 이를 건물 외부와 내부에서도 느 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설치미술을 주로 전시하는 뮤 지엄이기 때문에 설치미술의 특징을 살려 사이트에서 만들 어지는 오브제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였다. 사이트의 경 계에서 생기는 곡선에서 시작해서, 곡선형의 매스를 서로 엮고 또 분절시켰다. 각 매스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열려있 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뷰를 제공해 준다.

5

4

3

6

2F

This project is to design a museum inBuamdong. I designed a contemporary art museum that exhibits installation art mainly.When I visited the site, a long linear axis viewed from the street was impressive.So, I wanted to make visitors feel this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Also,I had to make this museum feel like an object that is created on the sit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art.So starting from the curves ofthe boundary of the site, I made each curvilinear mass interlocked.And by separating upper volume, the surrounding beautiful views are available in various INSTALLATION ARTWORK directions. INSTALLATION ARTWORK

ND

M

7 9

8

10

12

11

13

Installation Art

1F 1

INTERLOCKING MASSES

Y

INTERLOCKING MASSES

1 Lounge 2 Exterior Exhibition 3 Library By separating upper volume, 4 Office the surrounding beautiful views 5 Gallery are available in various 2 directions 6 Terrace 7 Restroom 8 Reception SEPARATE VOLUME 9 Black Room 10 Museum Shop By separating upper volume, Cafe the surrounding beautiful11views 12 Entrance are available in various directions 13 Main Gallery 14 Storage 15 Maintenance Room

SEPARATE VOLUME

N

3 This museum exhibits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In this 1 Entrance 2 Lounge 3 Exterior Exhibition museum, there are two main galleries and three sub galleries. Main galleries are divided by temporary and permanent exhibition. And the other galler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media. So visitors can see and enjoy various

0 1

3

6M

14

15

B1

40 41


Contrast in the Harmony 조화 속 대조 주하나 Hana Joo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Model

최병훈 작가의 아트퍼니처 작품에서 다른 물성이 서로 대비되고 있다는 점과 또 가구 하나하나가 독립적 으로 떨어져있다는 느낌에서 대조와 독립성을 컨셉으로 하였다. 따라서 외관의 재질적으로 대조를 풀어 내어 어둡고 거친 돌과 투명하고 매끄러운 유리가 대비되어 발생하는 시각적인 효과에 대해서 고민하였 다. 그리고 3개의 건물이 독립적으로 서 있는 듯 보이도록 그러나 한편으로는 유기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서로 밀어내는 긴장감이 아닌 조화로움을 느낄 수 있는 형태를 유도하였다.

The concept ‘contrast’ and ‘independence’ was derived from the work of designer Choi ByeongHoon: His Art Furniture has features that different materials contrast and each furniturestands alone. The visual effect for the exterior is presented with contrast dark and rough stone with transparent and smooth glass. And the whole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offers not the tension but the harmony of three independent masses.

Design Process

아트 퍼니처 작품의 특징

외관의 재질적 대조

Program

Staff Area

Public Area

Exhibition Area Exploded Diagra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2 43

1

3

Permanent Exhibition

2

2F

1

4

Temporary Exihibition

5

12

9 6

13

7 10 8

N

1F

0 1

3

6M

11

B1

1 Permanent Exihibition 2 Temparary Exihibition 3 Terrace 4 Cafe/Shop 5 Lobby 6 Library 7 Seminar Room 8 Auditorium 9 Machine Room 10 Stock Room 11 Storage 12 Director Room 13 Office

0 1

3

6M

Section


LEg GOdt 레고 미술관 김은영 Eunyoung Kim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Concept 1 관람객 편의 영역

2 전시영역

3 교육/체험영역

전시영역3

CAFE

전시영역2

체험영역

수장영역 전시영역1 교육영역 연구/관리 영역 4 연구/관리영역

5 수장영역

6 유지관리영역

유지관리 영역

LOBBY

Program Diagram

Interior View

Exterior vie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4 45

The main goal of the project is to translate “LEGO” architecturally in a building design process, experimenting two main characteristics of LEGO. Firstly, the method of combining LEGO bricks was transformed to intrusive views through spaces. It was adopted from horizontal and vertical interlocking of LEGO bricks. Secondly, interior spaces have specific color codes in each areas, resembling the palette of LEGO-red, blue, yellow, and green. Using this vocabulary, particular colors were assigned on selected walls.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한 것은 레고이다. 먼저 레고의 조합방식에서는 레고를 사용하여 수평적인 조합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조합을 통해 생긴 공간들을 통해서 시선의 관입을 볼 수 있다. 이런 조 합방식에 의해 실외에서 본 모습은 여러 매스들이 결합된 모습이고 실 내에서 본 모습에서도 매스가 관입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레고 의 대표 색인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초록색 등을 사용하여 각 영역 별 로 색을 지정하였으며, 건물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특정 벽에 색을 입 히는 어휘를 사용하였다.

3 1

1

5 1 4 3

2

2 2 4

N

1F 0 1

3

1 Exhibition1 2 Lobby 3 Machinary room 4 Storage

1 Exhibition2 2 Office 3 Mini lobby 4 Education 5 Experience

2F

3F

1 Exhibition3 2 Cafe

6M

레고의 접합 방식

Circulaions

2

7

2

3

4

1

1

3 1 Exhibition1 2 Exhibition2 3 Experience 4 Machinary room

4

5

6

1 Exhibition2 2 Exhibition3 3 Education 4 Education 5 Storage 6 Machinary room 7 Cafe

Section


Along and into the Closed 내향적: 안으로 향하는 이승원 Seungwon Lee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산 큰 도로에서 산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주변 대지의 성격은 ‘외 향적’에서 ‘내향적’으로 변해간다. 대지 자체만 보더라도 아래 쪽은 트여있어 외향적인 반면 위로 올라갈수록 산에 품어져 있어 내향적이다. ‘외향적’이라는 것과 ‘내향적’이라는 것은 안과 밖에 존재하는 사람들 간에 시선이나 활동이 소통하는 정도에 의 해 구분될 수 있다고 보았다. 미술관의 디자인 방향은 “외향적인 공간에서 점점 내향적인 공간으로 변화한다. 궁극적으로 내향적인 공간을 경험한다.”라는 문장으로 정리된다. 원이라는 기하학적 형 태가 갖는 특징을 통해 외향적인 공간과 내향적인 공간이 표현되 고, 내향적인 공간은 외부와 소통하지는 않지만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중정’을 통해 나타난다.

This project was initiated with the notion of changing characteristics of Buamdong, which becomes “introverted” from “extroverted” as approaching the mountain. This kind of shift repeats between the boundaries and the core of the site. The program of this project, galleries and artist residence, are generated by this aspect, because being “extroverted” and “introverted” can be defined as the way people communicate between building inside and outside. The concept of the design is to make a transitional sequence from extroverted spaces to introverted ones, which ends at the most private space of residence. Utilizing circular geometries in order to concretize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the introverted spaces are defined as the ‘courtyards’ which are close to the outside of building, but open to the nature.

1 Lobby 2 Gallery A 3 Gallery B 4 Gallery C 5 Gallery D 6 Auditorium 7 Office 8 Cafe 9 Terrace 10 Residency

7 3

10

10

10 4

5

0 1

3

6M

4

6

3

Section

4

1

Section

View from the Stree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6

46 47

10

5

9 3

4

1

2

8 7

2F

1F N 0 1

3

1 Lobby 2 Gallery A 3 Gallery B 4 Gallery C 5 Gallery D 6 Auditorium 7 Office 8 Cafe 9 Terrace 10 Residency

6M

Concept

외향적인 공간과 내향적인 공간

내향적인 공간 외부와 소통하지는 않지만 외부를 향해 열려있는 중정 Front View

Structure

구조 모형

구조 도면

Back View


Connected Winding Paths 골목길 속 골목길 이하람 Haram Lee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Exterior View

Program 골목길의 경험

이 미술관은 삽화 미술관이다. 사이트로 가는 구불구불한 길의 특성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구불구불한 길의 개념 은 소박하면서 작고 아기자기한 특성의 내용이 미술관과 어울린다고 생각하였다. 사용자 편의 시설과 전시관들은 유리매스 안에 구성이 되는데 유리박스는 실외같은 실내를 경험하기 위한 것이다. 여러 개의 매스가 배치되면서 형성되는 공간은 골목길이 된다. 유리박스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기 위해 나무 모양의 구조물을 사용하게 되 었다. 구조물이지만 구조물에 그치지 않고 마치 길에 위치한 나무의 느낌을 주기 위해 나무의 형상을 갖게 되었다.

2 그 외 공간 1 전시 및 편의

그 외 공간

To house small illustration works in this gallery, it was intended to make narrow winding allies-like spaces adopted from Buamdong area. With this concept, path program spaces are shaped in solid boxes within a large glass box, which makes indoor allies with outdoor atmosphere. The profiles of main vertical structures for the glass envelope came from images of tre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ense of outdoor.

전시/편의

1 전시실 2 전시실 3 세미나실샺 4 카페테리아 5 기념품샵 6 로비

3

3

4

4

2 1

2

1 6

5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48 49

8

6

5 4

7

3

2 1 1 도서/자료실 2 강당 3 세미나실 4 사무실 5 학예연구실 6 관장실 7 카페테리아 8 유지 관리

2F

N 01

3

6M

Final Model

1

5

2

3 4

1 전시실 2 전시실 3 전시실 4 뮤지엄샵샺 5 수장고

Study Model

1F

Structure Plan

Structure Model


The Axis Gallery 벋음 미술관 김영주 Youngjoo Kim 전숙희 스튜디오 Sookhee Chun Studio

인왕산의 치마바위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얻어, 얇고 형태가 쉽 게 변하는 천과 돌의 대비를 통해 부암동 대지에 변화를 이끌 어 내려고 하였다. 미술관에 전시될 예술의 장르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로 정하였다. 형태의 올록볼록한 부분을 따라 10 개의 축이 형성되는데, 이 축은 형태, 공간의 짜임, 구조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여 변화의 축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축의 끝에 는 타원의 공간들이 형성되며 외벽에 둘러싸여 어둠의 공간이 된다. 이 공간은 미디어아트에 꼭 필요한 암실 공간이 된다. 마 지막으로 건물이 들어간 곳을 따라 자연스럽게 창을 낸 부분은 빛의 공간이 되어 빛과 어둠의 대비공간이 형성되었고 이 공간 을 통해 관람객들은 변화를 갤러리 내부에서도 느낄 수 있다.

I tried to make changes on the site by contrasting thin cloth which can easily change its shape and rocks. The motive comes from the story of skirt rock in Inwang mountain. Genre of art exhibited at the gallery was defined as the interactive media art. The 10 axis are formed along swaying shape. These axis are playing a significant part not only in shape, but in organization of spaces and structure. At the end of axis, ellipse spaces are formed. These are necessary for media art that needs darkroom. Lastly, windows that makes spaces of light were derived from recess of shape. Formation of contrast of light and darkness makes audiences feel changes in gallery.

동선

선 자동

차량

보행

Site Plan

Diagrams

치마폭 모티브

10개의 축

타원의 공간들

빛과 어둠에 의한 변화

Mode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10

50 51

8

7 9

6

4

12

13

5 3 1 Gallery1 2 Gallery2 3 Gallery3 4 Atrium 5 Administer's office 6 Powder room 7 Curator's office 8 Courtyard 9 Cafe 10 Toilet 11 Museum shop 12 Mechanical room 13 Storage 14 Digital media archive 15 Lobby

15 2

11

1

1F N

0 1

3

14

GF

6M

Interior View

Exterior view

Section


Circle&Connection 강익중 미술관 박정민 Jungmin Park 전숙희 스튜디오 Sookhee Chun Studio

Exterior View

강익중 작가의 작품을 만드는 대표적인 방식에서 미술관의 컨셉을 가져왔다. 3x3인치의 작은 작품을 여 러 개 이어 붙여 전체를 만든 것처럼, 미술관은 지름 4m의 원이 여러 개 이어 붙여져 구성되었다. ‘연 결’은 강익중 작가에게 중요한 주제다.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도 그의 작품 속에서는 부드럽게 이어진 다. 그가 추구한 ‘연결’을 미술관 속에 들여왔다. 미술관 각각의 실은 서로 단절되지 않으며, 복도는 모든 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Concept of this project is from the way how artist Kang Ik Joong creates his works. Like the art project which is made by connecting the small 3 x 3 inch works, the gallery is formed by connecting the several 4m diameter circles. ‘Connection’ is important topic for him. Past, present and future are smoothly connected in his works. The connection he wanted is applied to the gallery. Each space is connected and the hall faces every directions.

Concept Diagram

Unit

Expanded View

Assemblage

Fit to Site

Variation

Interior Vie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Model

52 53

Site Plan

4

5

5

9 3

1 2

1 7

2

4 N

0 1

3

6M

1 reception 2 lobby 3 auditorium 4 main entry 5 freigh elev 6 souvenir shop 7 t.w 8 t.m 9 e.v

8

6

1F

3 6

7

1 offce 2 director's room 3 cafe 4 freigh elev 5 e.v 6 t.w 7 t.m

2F

Section


Circular Museum 순환 미술관 이현정 Hyunjung Lee 전숙희 스튜디오 Sookhee Chun Studio

Section

저의 미술관을 한마디로 정의 하면 '하나의 흐름을 가진 미술관'입니다. 하나 의 큰 전시동선이 있고 그 외 다른 공간들은 전시동선의 흐름과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동선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평면적으로 순환하는 전시동선 을 가지고, 전시공간을 분절하고 비틀어 틈을 만들어서 그 공간을 창과 출 입구 등으로 활용하였습니다. 단면적으로도 열린 공간을 만들어서 빛이 들 어오는 쾌적한 전시실을 만들었습니다. 전시실은 바닥이 평평한 전시실, 램 프 형식의 전시실, 램프와 바닥이 함께 있는 전시실 등 하나의 전시를 관람 하면서 다양한 공간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This museum has ‘one watching movement’. There is one circulation for exhibition and other space connected exhibition space conveniently. In plane, this museum has circulation and exhibition spaces are divided into several room. As moving each room, museum makes gaps that used entrance and window and so on. There are many windows in section, so exhibition space is pleasant. Exhibition room’s bottom is different each other: flat floor, ramp.

Diagrams

평면적으로 하나의 이어지는 전시동선 개념에서 시작하고, 전체 동선의 입구 쪽 면을 열 어 관람객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전시공간이 전시 외 공간을 품는 구조로 하여 이 동이 편리한 동선을 만든다. 이 외의 면적은 녹지공간으로 활용하여, 관람객들이 편안하 게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Site Plan

단면적으로는 각각의 매스를 계단식으로 하여 매스와 매스 사이에 수직적으로 열린 공간 을 만들어 창으로 활용한다. 천장은 올라가는 경사와 반대로 하여 경사를 따라 올라가는 동선과 열린 공간을 강조한다.

Study Model

Final Mode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2

54 55

Elevation

N

17 16

6

1 입구 2 매표소 3 안내데스크 4 제 1전시실 5 제 2전시실 6 제 3전시실 7 제 4전시실 8 제 5전시실 9 도서관 10 강당 11 진입마당 12 편의영역

5

7

4 9 13

13 관장실 14 주차 출입구 15 화장실 16 하역장 17 하역 출입구 18 지하 로비 19 강당 20 관리영역 21 기계실 22 수장고 23 주차장

3

10

2

8

22

15 20

1

18 12

14

19

11

0 1

3

6M

23

21

1F

01 3

6M

2F

Interior Vie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SMALL URBAN SCHOOL 연면적 5,000㎡ 내외의 교육시설 설계를 통하여 대지의 지형적/환경적 요인과 프로그램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축 및 외부공간을 종합적으로 디자인한다. 먼 저 교육시설에 대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과 사회문화, 그리 고 건축공간의 상관성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적, 지리적, 역사적 문맥(Context) 에 맞는 교육 및 연계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구성하기위한 다 양한 구축방법(Tectonics)에 대해 연구하여 최종 설계안으로 발전시킨다. 마지 막으로 내/외부공간의 무장애설계(Barrier-free Design)을 설계에 적용하고 주 요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심화발전시킨다. 건축디자인의 내용적 측면과 더불 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건축적 재현(Representation)방법을 탐구하고 개 념의 창의적 전달방법을 습득한다. 2014년 완공될 새로운 서울교동초등학교의 프로그램을 정의함에 있어 역사적 이고 전통적인 요소를 존중함과 동시에 새로운 Pedagogy를 담을 수 있는 창 의적인 건축 프로그램을 제안하도록 한다. 특히, 뉴 서울 교동초등학교가 가 지고 있는 서울 도심에서의 특별한 장소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움직임에 대 한 고려, 통제되어야 할 동선에 대한 분석 또한 프로그램에 반영되도록 한다.

STUDIO TUTORS: Yoonhie Lee Hyundai Kim Hyoung-gul Kook


Walking in the Clouds 구름 위를 걷다 고주연 Juyeon Ko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The front view of a building

Diagram

Site Analysis Location : 2, kyungun-dong, jongro-gu, Seoul

Anchor masses and axis

Break masses

Break axis

아이들이 주로 이동하는 공간을 2층으로 올려 1층, 주변시설과 분리해 확실한 안전과 자유를 제공한다. Procrustean Space Procrustean Lifestyle Prosrustean Think Procrustean: 지나치게 획일적인, 개인 차를 고려하지 않는

Design Process

공적인 공간

Break procrustean space

사적인 공간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58 59

종로구에 위치한 도시의 소규모 학교인 교동초등학교의 아이들에게 ‘Walking in the clouds’를 제안한다. 현재 서울시 종로구는 거의 모든 면적이 상업지역이다. 종로구의 초등학교의 많은 부분이 모든 주 민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과 학생들만이 사용하는 공간이 서로 충 돌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을 정확하게 구분 하고, 공간감에도 확실한 차이를 둔다. 이는 획일적인 공간만 경험하 고 있는 아이들에게 꿈의 공간으로 다가갈 것이다. 아이들은 좀 더 안 으로 좀 더 위로 올라갈수록 자신들만의 공간을 경험하고 그 곳에 추 억을 기록한다.

I suggest ‘Walking in the clouds’ as a small urban school to children of Kyo-Dong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Jongno-gu. Currently, jongno-gu is composed of commercial area. At school in jongno, there are many parts making conflicts between public space that all residents use and private space that children use. Therefore I divide into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certainly and make people feel different space sense depending on space. This space comes to be a place of dream while children who experienced standardized space. Children experience their own space and memorize their thinks there as they go more inside and more upstairs.

The whole view

22 21

3

19

17 18

1 1 Little theater 2 Gym 3 Refectory 4 Schoolmater’s room 5 Resting room 6 Teacher’s room 7 Conference room 8 Teacher’s room 9 Toilet 10 Printing room 11 Lobby1 12 Nursing room 13 Administration office 14 Resting room 15 Lobby2 16 Music classroom 17 Art classroom 18 Small exhibition 19 English classroom 20 Science room 21 Cooking lab. 22 Machine room

20

15 16

1

14

12

13

2

4 8 6 5 10 7 9 11

1

1

1

3 2 1

1

1 Class room 2 Disabled’s class room 3 Library & free space

1F

2F

0

5

0

10

10

20

20 M

N 30 M

Section


Touch the School 맨발의 꿈 박소영 Soyoung Park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The whole view from main street

Concept Diagram 교동초등학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 최초의 초등학교라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학 교이다. 이 학교에 다니는 많은 초등학생들은 통학 과 도시의 일상에서 지쳐있을 것이다. 하루의 대부 분의 시간을 보내는 이 교동 초등학교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주고자 했다. 인간이 편안함을 느끼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 표적으로 '맨발'과 '자연'을 컨셉으로 잡았다. 건물 안 에서 맨발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느낄 수 있는 " 바닥"의 재료들과 공간의 변화를 통해 따뜻함과 편 안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학생들을 위한 학교를 만들어 보았다.

Kyo-dong Elementry school which is located at JongRo-Gu, Seoul. Most of students who goes Kyo-dong elementary school might be exhausted with commuting and city’s daily life. I tried to design this school where students can relax because school is the space where students spend most of the time. Conditions that people can relax is various, but I choose the keyword ‘barefoot’ and ‘green’. I designed the school for the students that they can feel warmth and comfortable through floor’s materials that they can step on the floor with barefoot in person and changing of the space.

A

B A. Material B. Floor that people can feel

View from play ground

Bird’s eye view

1F

View from play ground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학생들이 건물 자체에서도 위압감을 느끼지 않게 하려고 단층으로 만들었 다. 또한, 적은 학생수를 가진 학교의 특징을 살려 학년간의 교류 또한 활 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실 사이의 두껍고 꽉 막힌 벽을 최소화하고, 대신 컨셉을 살리기 위해 재료가 바뀌면서 저절로 생기는 경계를 통해 실 과 실 사이를 나누거나, 유리 벽을 통해서 공간을 정의해주었다. 각 실들의 바닥은 따뜻함, 편안함, 물에 젖어도 가능함 세 가지로 재료와 각 실의 특징 을 점수화해 각각의 점수와 가장 근접한 재료와 실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실들의 바닥을 정의했다.

60 61

I didn’t want to kids get nervous with appearance of the school building, so I made it a one-storied building. Also, minimize the heavy wall for exchange of the students. Instead, I divided between the classes and the space with glass wall or boundary which is naturally made through changing of the floor’s materials. Every floor is defined through scoring every materials and classes characteristics.

Developed Concept Diagram

Tile

Cement

Vinyl Tile

Wood

Carpet

Grass

Material Diagram

Warm Comfortable Washable

Warm Comfortable Washable

Applied program - 로비 -

체육관 고학년 교실 영재교실 컴퓨터실

- 음악실 - 복도

- 과학실 - 식당

-

돌봄교실 방송실 보건실 행정실 음악실

-

저학년교실 - 화장실 교무실 - 미술실 교장실 - 실과실 교사연구실 방과후교실

- 기계실

7 7

6

5

5 5

5

1

5 5 5

5

1

5

5

5 4

2

7

1F

7 3

N

Site plan

0

3

6

1 2 3 4 5 6 7

교무실 강당 식당 로비 교실 기계실 화장실

15M

Program section diagram


Making Story With Wall's Memories 담소-담과 이야기하며 걷는 등교길 전소현 Sohyun Jeon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View from the ground

Design Process

A-1 운현궁의 기억 운현궁의 담이 교동초등학교 까지 이어지며 운현궁의 기억. 연속되는 담 에 의해 운현궁 관람객과 보행자들의 이동방향 제시.

A. Wall’s Memories 현 교동초등학교의 담의 기억을 가져간 담 구축

A-2 공간나눔의 기억 경운학교와 교동초등학교의 영 역을 나누는 기존 담의 역할 의 기억.

A-5 주변반응의 기억 주변 건물과의 반응으로 인한 담 높이의 기억.

B. New Wall 새로운 담 구축에 의한 route 형성 A-3 높은 담, 뒷 공간의 기억 현 교동초등학교의 뒷공간을 삭 막하게 만든 높은 담의 기억.

C-1 Mass 새로운 담에 반응하는 mass를 구축

A-6 주택담의 기억 주택 facade가 담의 입면을 형성 하는 기억.

A-4 골목길 담의 기억 골목길을 형성하는 담이 현 교동초등학교의 담으로 이용되는 기억. 인근 낙 원상가, 상웝권 골목과 연관되는 부분, 커뮤니티와의 연결되는 담의 역할.

C. Mass Design 새로운 담 안쪽 학교 mass 구축

C-2 Zoning 경운학교와 접한 입구부분을 School, 골목길과 접한 입구부분을 Community

C-3 Devide mass 학교와 커뮤니티 space의 접근 부분에 의해 mass 분절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Currently, kyodong’s site wall has various features. In response, made various space between present’s wall and new wall which is novelty suggestion by reaction the present’s wall. Also made 2 layer community route and school by locate school mass inside the new wall. Based on the school program, adjusting the new wall’s height and making windows and etc. suggest new wall design. So community route and a new school a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y this, school and community route are separated and communicated each other is expected.

N

교동초등학교는 스몰 어반 스쿨로, 아침마다 교장선생님과 동네 한 바퀴를 도는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학교자체가 하나의 루트 가 되는 컨셉을 잡았다. 사이트에 현재 담이 쭉 둘러져 있는데 위치마다 다 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담과 반응하여 공간을 만드는 하나의 새 로운 담을 구축하여 커뮤니티 루트를 제시한다. 또한 새로운 담 안쪽에 학교 를 배치하여 두 개의 레이어(커뮤니티 루트&스쿨)를 형성한다. 커뮤니티 루 트와 학교건물 사이에 위치한 새로운 담은 학교 프로그램에 따라 담의 높이 조절과 창 뚫음 등의 방법으로 공간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루트와 학교의 분리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학교를 기대한다.

62 63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1/400 G.L +5500

1/400 G,L +1500

Site plan 0 5

10

1F

2F

20M

Views from Community Route

교동초등학교 입구

교동초등학교 부출입구

지붕이 덮이는 공간; 학교 후문 과 보건실과의 공간

주택입면과 도서실 공간

교동초등학교&커뮤니티 입구

커뮤니티, 도서관, 카페, 식당과 돌봄교실, 보육교실

4m 높은 담 공간, 다양한 입면 이 있는 작은 길과의 공간

커뮤니티와 학교의 연결 공간, 공간너비로 자연스럽게 연결

Design New Wall

A. 교실 아이들이 수업을 할 때는 보이지 않는 높이 이동하거나 서게 되면 보이는 높이 입면의 다양한 높낮이를 형성

B. 창 커뮤니티 루트와 교실과의 소통을 위한 창 실 프로그램을 통해 정해진 높이

C. 난간 1층 벽과 담을 역할과 동시에 옥상난간과 계단 난간의 역할을 함

Elevation plan 1/200 [B - B’]

Section


Beyond Boundary 경계를 넘어 김수경 Sukyung Kim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Perspective view

도심 중심에 있는 Urban School로서 기존의 학교가 가지고 있는 기능에 더해 지역에 Pavillion을 제공한다. 학교와 도시가 서로 다른기능을 하는 Pavillion을 통해 소통하고 그 사이의 경계가 없어지면서 Urban School 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학교 내 학생들 사이에서도 기존의 배치방식과 다른 배치를 통해 좀 더 가까워지고 소통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Circulation 1-6 Classes Special

Interior Circulation Spiral Circulation connect 1-6 Classes and Special Classes exist thorough the circulation. Make Connection between students.

School provide pavilion, a new program, to people to work as urban school in its region. School and city coexist at regular intervals by pavilion and the boundary between them become ambiguous. Also, inside the school, arrangement of class is different from its usual style for making place where students can get close and communicate.

Site Analysis

Public Student

Outdoor Circulation People can approach pavillions and other school space from all the ways the site face.

The sit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Seoul, surrounded by historical sites like Kyungbok-Palace and culture spot, Insa-dong. Also, the site is seperated from culture spot by the road and it has its differant urban factors. So I would like to make real connection with residential district where lots of old people stay and need a place to rest.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64 65

Concept

Visual connection Visual connection blurs the boundary between classes

Make school to work as Urban School, propose a pavillion. Different function of pavillions are mixed with school program.

Space where different grade can be connected Like Pixels gathering and making their form and meaning, A Box which work as different function gather and make the Urban School. PUBLIC

Pavillion

SEMI-PUBLIC

Afterclass, Clubzone, Auditorium

PRIVATE

Classes, Special Classes

Share semi-public place with people. Public and Students are mixed naturally

Class

1F

Each classes’ zone Zone of class

2F

Every class encounters central hall and through this hall, students communicate to each other.

3F

Section


Rethinking Monumentality 기념비성에 대한 고찰 김현지 Hyunji Kim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남동쪽 길 위에서‘Cave’를 바라본 모습

교동초등학교는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학교로 역사적 가치가 있다. 주어진 사이트 주변으로 넓게는 경복궁, 인사동, 삼청동, 종묘 등이 있지만 인접한 프로그램들은 초등학교 주변이라고 하기에는 학 생들을 위한 요소가 많이 부족하다. 주변의 모텔촌이나 바로 앞의 뷰를 가로막는 종교 빌딩, 낙원 상가 주변의 술집과 뒷골목 등을 부정적인 요소라고 판단했다. 이번 교동초등학교 프로젝트에 공통적으로 주어진 주제가 있는데,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을 넣으라는 것이었다.

Gyo-dong, South Korea’s first elementary school to elementary historical value. Gyeongbokgung Palace, Insa-dong, Samcheong, gardeners widely around a given site, but the adjacent program elements for students elementary school around too much lack. B around the village, such as religious buildings, obstructing the view of the front of the paradise of shopping around pubs and backstreets or negative factors were considered.

사이트를 중심으로 넓게 봤을 때와는 상반되게 근접한 여건은 매우 열악함을 알 수 있다.

Design Process

ㄱ. 대로변에 위치한 사이트와 운현궁

ㄴ. 다수의 유동인구를 확보하는 운현궁

ㄷ. 연결하는 길을 내주어 사람들을 끌어들임

ㄹ. 길을 중김으로 매스와 공원을 배치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66 67

Master Plan

Mass는 길의 역동성,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곡선어휘를 사용 하였고, 대지에 길을 내준만큼 mass 반대편에는 public을 위 한 공원을 배치하였다.

3F 0

2

6

N

12 M

Landscape

1F

비정형의 mass와 대지의 이질감을 상쇄시키기 위해 대지 의 shape을 조절하였다.

공원에서 건물을 본 모습. 공원에는 구(久) 교동초등학교 건 물의 구조물이 남아 이곳이 우리나라 제 1호 초등학교임을 기념한다.

Circulation 이러한 열악한 조건 속에서 학교가 그 자체만으로 지역 주민을 끌어들이고 활발하게 소통하기 에는 무리가 있을거라고 생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 효과 적으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방법을 선택했고 , 그 프로그램으로 운현궁을 선택했다. 운현궁은 현재 주중마다 관람객들을 확보하고 있고, 동덕여대 대학원이 위치하고 있어 유동 인구가 많다. 아래 다이어그램은 대로변에 위치한 교동초등학교와 운현궁 사이를 길로 연결하여 사람들을 끌 어들임을 나타낸다. 길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배치하였다.

Given the topic of this project in Jiaodong elementary common community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to communicate with, which was to insert. In these harsh conditions, the school itself, actively attracting local residents flock to communicate would have thought. To solve this problem effectively engages people around actively use the program, and how to select the program Unhyeongung. Weekdays every Unhyeongung currently ensure the visitors and, often located Dongduk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population.Indraught people by the roadside located in Kyodong elementary and Unhyeongung connection between the way the diagram below represents Centered programs in place.

동선은 대지를 가로지르는 길의 연장으로, 건물의 외피를 따라 연결되도록 하였다. Section A는 이를 잘 보여주는 단면이다.

Section A

0

4

12 M


Behaviorscape 변화하는 학교 이예주 Yeju Lee 김현대 스튜디오 Hyundai Kim Studio

Perspective view

Publicscape

Privatescape Scenario

서울교동초등학교는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학교로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학교이다. 하지만 학교가 위치한 종로구는 관광면으로 발달하여 많은 사 람들이 오고간다. 교동초등학교에서는 이와 같은 관광문화가 학생들에게 좋지 않다고 판단하여 물리적으로 강하게 차단하려 하고 있다. 학교와 지역사회간의 커뮤니티를 조성이 목표인 ‘스몰 어반 스쿨’ 프로젝트 를 통해 학교와 주변과의 경계를 느슨하게 하고자 한다. 커뮤니티로 인해 학교 주변과 학교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학교풍경을 ‘BEHAVIOR SCAPE’에서 담아내고자 한다.

Site Analysis

Gyo-dong elementary school, south korea’s first elementary school is in the necessity of preserving. However, Jongno where school is located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because of developing for tourlism. Gyo-dong elementary school judges that such tourism and attempts to block physically. Through ‘Small urban school’ project which aims to community composition between school and local society. This plan makes the boundaries loose. As harmony between the school and surroundings due to community. I’m going to express the landscape of school including in ‘BEHAVIORSCAPE’

Design Concept Commercial Insa-dong, Jongno, Samcheongdong Historical site the Changdeok palace, Changgyeonggung, Jongmyo Shrine

The site of Kyo-dong elementary school is located in historically meaningful site

Resicential Area Bukchon Hanok Village

Break wall Break wall for communication

Two zone Site is devided activezone for outsider, inactivezone for insider

Curve Safty & Activity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Design Process

1

9

8

2

7

4

3

Accept people Accept outside and inside people

5 6 10 1 Music room 2 Art room 3 Computer room 4 Science room 5 Nurse’s office 6 Administration office 7 Auditorium 8 Storage 9 Security office 10 School yard 11 Restaurant 12 Kitchen 13 Nutritionist’s office 14 Parking 15 Toilet

11

13 12

Arranging program Arranging program depending on activity

N 0

5

10

20 M

1F

Circulation Enviroment Consider KYUNG WOON school with daylight

Jungle The place of play Zoning Programs are arranged by zone

Approach void The place of communicate

Approach Make space For each people and program, the grid of zone is splited

pilotis The place of rest

68 69


City in City 도시 속 도시 신지혜 Jihye Shin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Site

Specify the road

Building the Scale

Study adapting scales

Bird’s eye view

Module Type

Design Process

A. Plan module Type 1

Type 2

B. 3D Module type Type3

Type 1. Module 1-1. Module with large open space

Grid

Axis

Programming

1-2. Module with one program 1-3. Module with two progra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노년층의 증가와 유소년층의 감소에 따른 문제와 세대간의 소통문제에 대해 학교라는 프로그램 안에서 도시적 관점에서 접근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지금 까지 교동 초동학교는 경운동에 위치한 사이트에서 도시의 흐름을 단절해왔 다. 주변지역은 상업, 주거, 교육, 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지만 학교의 경계로서 단절되어 있다. 과거 도시의 ‘길’의 복원과 작은 건물들 로 이루어진 주변 컨텍스트의 반영을 통해 학교의 경계를 흩트리고 주변지 역과 적극적으로 연결하였다. 학교 내에 함께 위치하는 문화 및 스포츠 시설 은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되어 학교를 일상의 도시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이다.

70 71

B1 Horizontal circulation B1 Vertical circulation F1 Horizontal circulation F1 Vertical circulation F2 Horizontal circulation F2 Vertical circulation

Facing with the problem of aging society and low birth rate which makes generational conflicts, the project is intended to design a new concept of school with community on urban context. Kyodong elementary school has disconnected the flow of urban context around the site so far. The boundary of school has separated the school area which is filled with various programs such as commercial and residential, and cultural programs. Thus, through restoration of ‘path’ on the site and the refection of local context, the project is intended to blur the boundary and connect the site to surrounding areas. The sport and cultural facilities included in school open to the public, which changes the school to daily urban space. N

Circulation and program diagram 1

1

SECTION

2

1F PLAN F1 2

View from play ground

3

AN F2 0 5

10

20 M

PLAN F2

2F

Interior perspective

PLAN F


School With Trail 학교 따라 걷는 등산로 전은경 Eunkyung Jeon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Perspective view

서울교동초등학교를 설계하는 ‘스몰어번스쿨’ 프로젝 트. 학생 수가 줄고 있어 교육시설이외의 지역사회와 연 계된 문화시설을 학교와 함께 계획함으로써 학교의 효율 성과 지역 커뮤니티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대지인 종로구 의 체육문화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육시설과 체육문 화시설로 수영장, 헬스장, 도서관을 계획하였다. 특히 외 부 공간에 ‘등산로’의 개념을 도입하여 각 시설들의 개 방성과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 의 체육문화시설들과 교육시설들로단계적인 목표점들로 설정되었고, 이를 향한 ‘등산로’는 건물의 외부 동선과 내부 동선을 구성하며 서로 공유하면서 혹은 분리되면서 공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Site Analysis

Design of Seoul KyodongElementary School as ‘Small Urban School’ projects. Because of reduced the number of students todays, planning educational facilities requires to embracesports and culturalfacilities to increasespatial efficiency at school and satisfy the needs of local communities. Because of the lack of sports facilities at the site Jongno-gu, this plan was intended for school with swimming pool and gym, and community library. Particularly, the familiar spatial concept as ‘Trail’ was used for the openness and public uses in designing outdoor space. In this point of view, each cultural-sports facility and school program was positioned at the gradual check point following the trail. ‘Trail’ composes of the inside circulation for school and outside circulation for public faciliti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share and separate various spaces as they need.

Design Concept

N

4

6

5

7

Lack of sports Facilities

School and sports center stay together while creating climbiing trails with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1

7 7 8

3

The population Aging

School + Sportscenter

Room (or space) is Goal for visitor at building

2

Trail become Circulation to sport center 0

5

10

20 M

1 Sport Field 2 Swimming Pool 3 Auditorium 4 Art 5 Music 6 Lab 7 Classroom 8 Housekeeping

2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72 73

Program Diagram

1

2

3

4 1 Library 2 Lounge 3 Gym 4 Swimming pool

CAFETERIA

PARK

LIBRARY

HEALTH CLUB

PARK

SWIMMING POOL

PARK

SMALL PLAZA

o

CLASSROOM

AUDITORIUM

ENTRANCE

SCHOOL GATE

Section

1

3

5m


Getting Dyed 물들다 조유진 Yujin Jo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물들다

CONC

SITE

물들다는 것을 상할 수 없는 우 교동초등학교는 녹지가 부족한 종로구 도심에 위치해 있다. 러가지 실험을 했 농사에 대한 경험이 없는 도시 아이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학습을 하게 해주고 주민들이 물을 미시적으로 이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형성할수 있는 스쿨팜이라는 프로그램이 Small urban 주변 건물에서 shcool project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로수에서 끌어온 Farm이 학교 건물에 자연스럽게 물듬으로서 Farm 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학교와 주변 주 Bird’s eye view어뜨린 후 학교의 민의 커뮤니티가 만나게 된다. 해서 그것을 두 았다. plan상 만이 의 섞임을 의도했 Farm Community

School

Community

Farm School

Community

School

지역사회와 학교를 이어주는 Farm 이라는 매개체가 학교에 물듦으로써 지역사 회 커뮤니티가 학교와 결합된다.

학교 건물과 Farm이 단계적으로 물들도록 Farm-잔디-흙-나무 재질을 이용하였고 외부 공간과 지형으로 자연스럽게 접근 가능하도록 한 학교 건물 위 공간과 그로 인해 생성된 경사지들을 여러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MATE

Design Process

PLAN 1:500

Small urban school인 교동초등학교를 설계하는 이 프로젝트는 지역주민에게 제공 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 하나를 넣도록 요구되었다. 이에녹지와 농경지를 공급 하고 동시에 농사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도시 아이들에게 여러 체험학습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지역주민도 이용 가능한 ‘Urban Farm’ 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리고 SITE ‘물듦’이라는 개념을 통해 자연과 건물, 그리고 주변지역이 서로 자연스럽게 엮 일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이를 위해 단계적인 Material Study 와 분석 및 건축 공간 화를 시도하였고, 프로젝트의 동선과 프로그램을 디자인 하였다.

Small urban school Kyodong. This project is a design of elementary school required to put one of the special programs for neighborhoods. As a special program, ‘Urban Farm’ is used for providing green space and farmland with giving chances students to have agricultural experiences and local neighborhoods to have actual farming opportunities. Through the notion of ‘Dyeing’, it was intended to interweave naturally not only nature and buildings, but neighboring area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3

자연스러운 물듦을 표현하기 위해 다른 분 야와 건축을 연결하는 실험을 하게 되었 다. 물감을 똑똑 떨어뜨리 듯이 자연(Farm 프로그램)과 건물(학교 프로그램)을 대지에 떨어뜨린 후, 길을 두어 두 프로그램이 서 로 물드는 흐름을 잡았다. 이 과정에서 실 험 결과로 나온 Material study를 거시적,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도입했다.

Diagrams

Farm + Green

Path

1F

School Program

N

Topography

B1 0

2

6

12 M

74 75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HOUSING PROJECT 동시대 거주문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집합주거공간의 단지설계, 건축설 계 및 인테리어설계의 통합적 설계능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집합주거 공간 및 관련시설들의 성격 및 관계를 체계화하고 이를 프로그래밍(연면적 5,000㎡-10,000㎡)으로 조직한다. 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단위공간의 구 성 및 조합논리를 탐구하고 설계한다. 또한 프로그램과 공간의 시스템적 접 근과 구축형식을 탐구하고 디자인한다. 동시에 거주단위공간에 대한 인테리 어스페이스를 디자인하고 전체공간에 대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여 일관성 있 는 건축프로젝트를 완성한다.

STUDIO TUTORS: Miseon Kang Yoonhie Lee Tonghoon Lee


Housing on Slope 옥인동, 그곳에서 어우르다 김태연 Taeyeon Kim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마스터플랜을 계획할 때 원활한 커뮤니티 연결을 위 하여 옥인동 대지 중앙에 한옥 커뮤니티 마당을 두 었다. 한옥은 기존 옥인동에 있는 낡은 한옥으로서, 개보수하여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 다. 또 인왕산 끝자락에 위치한 옥인동은 경사가 심 한 대지인데, 중앙 커뮤니티 마당으로 들어와 인왕 산까지의 자연스러운 시야 확보를 위한 방향으로 경 사가 높은 지역을 설계하고자 했다. 동선의 편리성을 위해 전반적으로 데크를 두었고, 건물 매스는 적층적 으로 올라간다. 큰 한옥 커뮤니티 마당으로부터 주 거동과 주거동 사이에 작은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하 여 주거동과 커뮤니티 시설사이의 자연스러운 관계 를 조성하였다. 주거동의 유닛은 2bed부터 3, 4bed 로 구성되어있다.

When our team create a master plan for the first time placed, we set Hanok community yard in the center of Okin-dong for smoothly community connection. Hanok existing in Okin-dong and being old, the plan was to take advantage of the renovation to the community facilities. Okin-dong locates on the edge of Mountain Inwang, the land is steeply. I want to design for natural visibility from community yard to Mountain Inwang. Circula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deck as a whole kept up the building mass lamination. A large hanok community yard to housing and placing small community facilities between housings compose the natural relationship between housings and community facilities. The housing units consist of 2, 3, and 4bed.

Perspective view

Circulation diagrams

데크

데크

데크

공방

데크

데크

데크

Up

Up

Up

Up

Up

Up

하부카페

하부 스튜디오

Up

Up

하부 스튜디오

데크

데크

Up

데크

데크

Up

한옥 경로당

한옥 경로당

Up

커뮤니티 마당

필로티

필로티

한옥 주민센터시설

한옥 주민센터시설

차랑동선

커뮤니티 마당

커뮤니티 마당

커뮤니티 마당 필로티

커뮤니티 마당

한옥 경로당 Up

Up

Up

한옥 주민센터시설

데크 Up

Up

Up

한옥 경로당

필로티

Up

하부카페

하부 스튜디오

데크

데크

Up

Up

하부카페

하부 스튜디오 데크

Up

데크 놀이터

Up

Up

하부카페

Up

놀이터

Up

Up

데크

데크

Up

놀이터

놀이터 Up

공방

Up

Up

Up

데크

Up

데크

공방

공방

데크

커뮤니티 마당

커뮤니티 마당

보행동선

비상차랑동선

한옥 주민센터시설

커뮤니티 마당

커뮤니티의 연결

Circulation

Community Circulation

차량은 대지앞쪽까지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고 외곽쪽으로 주차를 위해 돌아간다. 차량동선을 집중화하고 최소화하여 보행동선이 최대한 확보된다. 비상차량은 보행동 선 외곽을 따라 각주동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보행자 동선은 각 주동과

커뮤니티 마당의 원활한 활용위해 단지 중앙에 배치한다. 단지 내부의 보행동선이 이 루어지는 곳에서 커뮤니티를 배치하여 각 주동간의 자연스러운 커뮤니티가 이루어지 도록 하였다. 커뮤니티 시설 종류로는 한옥 경로당, 주민센터, 카페, 공방, 하부 스튜디

주동사이를 연결하는 커뮤니티를 따라 각 주동으로 분산된다.

오, 산책로 등이 있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78 79

Unit Plans

Master Plan

A. 2 bed unit

B. 3 bed unit

C. 3 bed unit

D. 4 bed unit

E. 3 bed unit

F. 3 bed unit

G. 3 bed unit

H. 3 bed unit

N

7

7

1

7

7 5

5

7

2

7

7 7

7 4

3 7

5

7 6

7 7

7

7

1 2 3 4 5 6 7 8

8

7

6

8

공방 놀이터 까페 스튜디오 데크 한옥 주민센터시설 주거 커뮤니티 마당

Ground Level Site Plan 0 3

0 3

공원

6

15M

Elevations

6M

데크 +76m 놀이터 +70m 까페

데크 +58m 하부 스튜디오 +61m

한옥

커뮤니티 마당 +55m

지하 통합 주차장 +51m

까페 상업공간 +50m

Section Section


Looks and Looking 보다, 보여지다 김현지 Hyunji Kim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건축물이 경관을 이루는 요소임과 동시에, 그 안에서 사람들은 건축가가 의도한 경관을 경험한다. 사이트는 남서사면으로, 서쪽에는 인왕산 봉우리 가 위치하고 남동쪽으로는 도시 경관이 위치하여 거주자로 하여금 두 가 지 view를 모두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건물의 배치는 남동향으로 하여 건 물 내에서 도시 경관을 즐길 수 있고, 외부공간은 배치된 건물이 경관을 잡 아주는 하나의 선이 되어 사람들로 하여금 인왕산의 경관을 즐길 수 있도 록 한다. 외부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linear한 배치에 변화를 주었 고, 이를 통해 기존의 공동주택이 갖는 획일적인 외부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The house is landscape facto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rovider of landscape. People can experience view which is intended by the architect in their own house. Inwang mountain peaks are located on the west of the site, and city view on the south of the site. Residents of the house can enjoy two kind of view. Layout of the building makes kind of frame, so people who is in outer space can enjoy inwang mountain view. For the efficient use of outer space, gave it changes to the linear placement. I expect this can be a new solutions for the uniform with the existing public housing in outer space.

DESIGN PROCESS I Main View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을 수 있었다.

SITE ANALYSIS

기존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을 수 있었다.

18 :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Site

Facade Design

DESIGN CONSEPT

단지계획을 바탕으로 시작한 이번 프로젝트는 Warming up Projext 의 분석과 종합을 토대로 내가 작업하고자 하는 집합주거의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이에 다른 거주의 건축적 유형을 제시하였 다. 유닛의 타입은 존재하는 프로그램과 이에 대한 설계와 유닛의 조합에 집중하였다. 급격하게 변하는 거주환경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과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형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의 가파른 경사의

또,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높이가 순응적으로 변하도록 하였다.

쾌적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 경사의 옥인 제 1 재개발 구역은 급격한 경사 단을 정리하였다. 와 좁은 길로 인해 비상차량조차 들어 오지 못하는 열약한 환경을 갖고 있다. < 단지 사진 > 이는 단지 가옥’때문이다. 이러한 경사의 남향 단을 내‘윤씨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뒤에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 경관을 즐 이러한 단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윤 길 수 있도록 하였다. 씨가옥은 역사적 의미를 갖도록 개발하 여 외부인들을 위한 공간으로 구획하였 고 그 주변의 커뮤니티 시설을 시작으 로 단지를 구성하게 되었다.

주거 형식을 제시하였다. 옥인 제 1 재개발 구역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인식을 시작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또,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높이가 순응적으로 변하도록 하였다.

옥인 제 1 재개발 구역은 급격한 경사와 좁은 길로 인해 비상차량조차 들어오지 못하는 열약한 환경을 갖고 있다. 서울시 시장이 바뀌며 재개발이 단속되면서 주민들의 불만은 늘어만 가는 실정 이다. 이는 단지 내‘윤씨 가옥’때문이다. 이러한 단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윤씨가옥은 역사적 의미를 갖도록 개발하여 외부인들을 위한 공간으로 구획하였고 그 주변의 커뮤니티 시설을 시 작으로 단지를 구성하게 되었다.

을 배치하므로써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부공간에서는 인왕

도시 경관을 즐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동선 >

< 외부인 동선 >

인이 되어 인왕산의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부분에 데크 주차장, 지하 주차장 1층과 2층으로 구분되어있다.

경사로를 따라 들어오는 사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는 것을 일부 차단하고 중간의 Public한 성격이 강한 외부공간으로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부공간에서는 인왕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 자동차 동선 >

1. 건물의 배치는 남동향으로 하여 건물 내에서 도시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고

2. 자동차 동선은 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메인 도로를 따라 들어오는 차를 지하 주차

3. 거주자 동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메인 도로를

4. 외부인 동선은 옥인동 내에 위치하는 ‘윤씨 가옥’을 염두하였다. 그와 가까이

외벽은 하얀 노출 콘크리트로 마감하였고, Tower 형 같은 경우, 나무 마감을 덧대었다.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외부인들은 그 곳에서 인왕산의 경관을 즐길 수 있다.

N

0

5

15

N

30 M

Site Plan Horizontal Idea Linear한 배치에서 수평적 요철을 줌으로써 단지 내의 open space를 제공하였다. Vertical Idea 남향의 경관을 즐기기 위한 배치로 linear한 facade에서, 대지에 순응하는 형태로 변 화하였다.

0 5

15

30 M

4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Concept

80 81

Unit Plan 건물의 배치는 남동향으로 하여 건물 내에서 도시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하 였고, 외부에서는 건물의 배치가 하나 의 라인이 되어 인왕산의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SS IDESIGN PROCESS I Design Process PROCESS I SS IDESIGN SS IDESIGN PROCESS I

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A-1. 기존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18 :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Type A-1

기존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을 수 있었다.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을 수 있었다.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

18 :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기존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18 :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B-1.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

을 얻을 수 있었다.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을 수 있었다. 기존의 대지는 남서 경사로로 쾌적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또,경사의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높이가 순응적으로 18 :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단을 정리하였다. 변하도록 하였다.

남향의 단 정리를 통해 도시 경관을 얻 또,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쾌적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또,경사의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높이가 순응적으로 단을 정리하였다. 변하도록 하였다.

또,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Type A-2

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 경사의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높이가 순응적으로 쾌적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또,경사의

또,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의

정리하였다. 한 경사의 남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변하도록 하였다. 단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경사의 남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부공간에서는 인왕

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가파른 도시 경관을 위해 기존의 경사의즐 단을 정 있도록 하였다. 리하였다. 한 경사의 남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뒤에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즐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건물의 높이가 순응적으로 변하도록도시 경관을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 경사의 105 의 경사도를 갖는다. 정리하였다.

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가파른 경사의

정리하였다.

A-2. 쾌적한 거주 환경을 조성하기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 경관을 즐

있도록 하였다. 한 경사의 남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 경관을 즐

있도록 하였다.

B-2. 또, 경사의 서향 단을 정리하여

길 수 있도록 하였다. 하였다. 이러한 경사의 남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부공간에서는 인왕 뒤에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 경관을 즐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부공간에서는 인왕 이러한 경사의 남향 단을 정리하여 건물을 배치하므로써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뒤에 위치하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 경관을 즐

변하도록 하였다.

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건물의 배치로 인해 생기는 외

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길 수 있도록 하였다.

A-3. 이를 통해 뒤에 위치하는 건물 에 거주하는 사람들도 도시 경관을 즐 길 수 있다.

B-3. 이로 인해 생기는 외부공간에서 는 인왕산의 봉우리를 즐길 수 있다.

5F

0 1

3

6M

Type A-3

6F


Terrace-Net 빛그물하우스 전은경 Eunkyung Jeon 강미선 스튜디오 Miseon Kang Studio

테라스의 다채로운 입면

대지는 도심과 거리가 있고, 뒷면은 숲으로 이루어져 전원주 택구역으로 계획한다. 특히, 경사가 매우 가파르고 허용면적 의 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테라스 하우스 형태의 주거로 계획 한다. 대지의 경사를 이용해 각 세대에게 개별의 외부 마당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것이 테라스 하우스의 장점이다. 그러나 땅 위에 눕는 형태를 이루면서 주거의 뒷면, 즉 주거를 연결하 는 복도가 폐쇄적인 형태가 되면서 불쾌한 복도 환경을 야기 한다. 따라서, 테라스 하우스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쾌적 한 복도를 확보하며, 더 나아가 복도가 단순한 복도 공간을 넘 어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이 되는 것이 이 설계의 목표이다.

The site has a distance from down town and a forest at back. So we plan country house at this place. In particular, very steep slope and very narrow width of the area allowed the form of terrace house plans to residential. The problem of terrace house is the closed rear corridor that connects the residence causes unpleasant corridor environment, though the advantage of terrace house is you can give an individual outside yard to each house in multiplex house using the slope of the site. Therefore, the goal of this design is securing the pleasant corridor environment while preserving the advantages of terrace house as much as possible as making the corridor to a community space for residents beyond mere corridor space.

Concept Vertical Void ㄱ자 유닛의 집합으로 생기는 수 직적 열림은 주동 복도에 자연채광 을 끌어들이고 환기가 원활하도록 하여 쾌적한 복도공간을 형성한다.

Community 쾌적한 복도 환경은 복도 공간의 활동성을 높이고 복도 공간에 여 러 주민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하 여 활발한 공간으로서의 활용성을 높여준다. Vertical Void

수직적 열림으로 인해 및들이 유입되어 쾌적한 복도 공간을 형성하는 모습들


82 8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CORE

PARKING

PARKING

ENT

Site plan

Programs

N

Residence TYPE A 2 BED, 77 m2, 9세대 TYPE B 2 BED, 78 m2, 13세대 TYPE C STUDIO, 59 m2 , 5세대 총 세대 수: 27 세대

Community 1 산책로 카페 2 주민 회관 3 공동 세탁실 4 게스트 룸 5 놀이방 6 놀이터 7 주민 도서관 8 미팅룸 9 로비/ 우편함

0

3

6M

1F

Section

Green 지붕은 테라스와 그린 루프를 배치하여 테라스에서의 시선과 동선을 제한하면서 그린루프는 주거동이 자연스럽게 산에 녹아 들도록 한다.

0

3

6M


Flowing Way and the Yard 흐르는 길 그리고 마당 마다솜 Dasom Ma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Perspective view

Concept

Suggestion 마당은 다양한 스케일을 으며 다양한 커뮤니티를 들어 낸다. 마당은 모든 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어야 한다.

갖 만 사 있

마당

1 단지 커뮤니티

Master plan

2 블럭 커뮤니티

Block Community

3 소규모 커뮤니티

Large community


84 85

현재의 옥인동은 소규모 단독 주택들이 밀집하여있다. 밀집된 집들 사이의 공간들 로 집들을 이어주는 길이 지나가기도 하고, 그 사이 공간이 사적인 공간 또는 커뮤 니티 공간을 형성한다. 현재 옥인동의 모습을 담도록 집들을 밀집하여 배치하고 그 사이에 마당을 형성하였다. 집들이 놓여 생겨나는 사이공간은 집으로 가는 길을 형 성하고 사람들 간 교류가 일어나는 마당을 제공한다. 다양한 스케일의 마당은 집으 로 들어가는 길을 통해서 자연히 연결되기 때문에 각자의 집으로 가는 과정에서 마 당을 접해서 사람들 간의 교류는 많아진다.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집들 간의 높이차 가 생기게 되므로 이를 주거동 안에 위치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높이의 마 당들을 연결해줌으로써 해결한다.

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Current Okin-dong has high density of small scale-family homes. The space between densely located homes provides a way to the houses. Or forms private yard of each house and the Community between households. So as to maintain the Current appearance of Okin-dong, houses are densely deployed and spaces between homes forms yards. The yard forms a way to the houses and promotes the exchange of neighbors. Exchanges between people are promoted in the course of going home, because a way to the houses and the yard are connected. The different height between houses is solved by connecting different levels of the yard with an elevator located inside the housing.

Unit Plans 다양한 유닛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주택 A. 2층 주택 유닛

1F

2F

0 3

10 M

Site plan B. 3층 주택 유닛

1F

2F

3F-1

3F-2 0

Section 0

3

6M

3

6M


VA House 활유-생동하는 주거, 여유로운 삶 백장미 Jangmi Baek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N

Keymap

0

5

15

30 M

Site Plan

Suggestion

Planting 계곡에서는 인왕산에서 내려오는 자연 을 받고, 언덕부분에서는 단지로 자연 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Axis 주거 동의 외부는 등고선에 평행한 수 평동선, 내부에서는 등고선과 수직인 동선으로 설계한다.

View 매스는 모두 남향으로 배치되었지만, 네 개의 축이 모두 달라 서로의 조망을 방해하지 않는다.

Circulation 주 동선은 사이트 경계의 길로 들어와 서 주거동 뒤쪽 출입구로 진입하여 프 라이버시를 보호한다.

주민들은 중앙광장을 거쳐 단지로 진입하고, 자연스럽게 광장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주택단지와 인왕산의 사이에 위치한 내 구역이 완충지로서 작용하여, 녹지 를 주택단지로 이끄는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 곳 지형의 특성은 인왕산의 연속으로서 경사가 매우 급하고 폭이 좁다는 점이다. 처음 답사를 갔을 때 산지지형을 생각하여 다이나믹하고 활발한 활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했 지만 실제로 주택 단지 내부는 골목길이 좁고 경치가 좋아서 걸음의 속도를 늦추며 느긋하게 걸어 다녔다. 이렇게 동적인 형태를 취하지만 그 속에서 벌 어지는 일들은 정적이라는 특징을 컨셉으로 삼아 설계를 하였다. 주거동 안 에서는 동적이고 활기찬 활동, 외부에서는 천천히 여가를 즐기는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거동 사이에 형성된 마당이 인왕산의 녹지를 받아들 이고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녹지는 주민들의 쉼터로 작용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쓰인다.

86 87

My site which is buffer zone located between Inwang Mountain and housing led green into housing complex. The characteristic of the terrain is a continuation of the Inwang mt. Therefore it is very steep and narrow. When I first visit the site, I thought there will be the dynamic and vigorous activities because of mountainous terrain. But I slow downed the pace and leisurely walked around. Because alleyways were so narrow and scenery was good. ‘static happening in dynamic mass’ I take this character as concept. Resident will be able to live dynamic and lively in housing, enjoy slowly free time outside. Also, Yard accepts and exports the green of Inwang mt. Two different yard act as the shelter of residence and community spaces.

Concept

블록 사이의 커뮤니티는 인왕산의 녹지를 받고, 내 보내는 두 가지의 성격을 가진다. 이는 지형 특성을 최대한 살리며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주거와 녹지 의 완충지로서 역할을 한다. 1F

5F

N

지붕을 활용하여 외부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계단은 두 집 사이의 공용공간을 활용하게 한다.

0 1

3

6M

Typical Block Plan

0

1

3

6M

Section


Embrace the Ma-dang 옥인동 마당을 품다 이지수 Jeesoo Lee 이윤희 스튜디오 Yoonhie Lee Studio

N

Concept

Block Diagram 각 블락 내에서 생성되는 마당 이 어우러져 전체 블락내의 4 개의 마당을 만들어 내고 이는 중앙의 광장과 맞물려 각자의 위계를 가지게 된다.

현재 옥인동에 존재하고 있는 작은 골목길과 삼거리, 사거리, 협소한 공간과 막혀있는 공간 을 '마당' 이라는 매개로 스케일의 증감을 시도 하며 풀어낸다.

Masterplan

Diagram

각집으로 이어지는 매개 공간을 하는 마당

길과 대화하는 마당

Main Ma – dang

스케일의 변화를 시도하는 마당

0

2

6

12 M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옥인동 제 1 구역 재개발 지역을 부지로 하여 집합 주거 형태를 연구한 다. 현재의 옥인동에서 존재하는 골목길은 다양한 스케일의 ‘마당’으 로 변화되고, 이것이 중심이 되어 주거 공간이 마련된다. 마당은 3가지 의 원칙을 가진다. 1. 마당은 길과 대화하며 스케일의 증감을 시도한다. 2. 마당은 각집으로 이어지는 매개공간 역할과 커뮤니티 시설을 제공한다. 3. 마당은 집과 사람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88 89

Alleys located in Oak-in dong are changed into various scales of ‘Ma dang- Yard’ in this project. Living places surround the ’ Ma dang - yard ’. There are 3 principles in Ma dang. 1. Ma dangs attempt to change its scale by talking with alleys. 2. Ma dangs provide community facility through the houses. 3. Ma dangs can be access by the house and people.

N

0 2

6

12 M

Typical Block Plan

Unit Plan 1 Balcony 2 침실 3 화장실 4 거실 5 서재

1

1 2

3

2

2

4

3

3 4

4

1

마을 전경

2F

5 2 1 4

5

4

3

2 3

4

2

1

1

3

0

중앙광장 너머의 모습

2

6

12 M

1F


Weave Okin-dong 옥인동을 엮다 고주연 Juyeon Ko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View from community plaza

사이트는 옥인동 제1주택재개발지역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한다. 이 곳은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이 총 20m 차이가 나는 가파른 대지이다. 이 곳은 인왕산과 접하고 있으나 동시에 옥인동 재개 발지역의 동쪽 큰 도로와는 연결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사이 트는 다른 구역보다 외부인의 접근이 차단된다. 때문에 사람들의 소통의 공간을 실내가 아닌 공원·플라자 등 실외 공간으로 제 안한다. 또한 그 공간들을 단지 내부를 지나는 길과 엮어, 단지 내부의 길이 선적인 요소가 아닌 공간들의 연결이 되도록 만들었 다.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그 공간으로 모이고, 다음 공간으로 넘 어가면서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The project site is located in the north of the first residential redevelopment district of Okgin-dong. This is a steep area where is 20m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portion. However this place adjoins the Mountain Inwang, it is nonadjacent to the main road of the east of redevelopment area of Okin-dong. Therefore this area is completely blocked visitor access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 I suggest that outer place such as park, plaza for communication space, instead of inner place. Also these spaces are connected up with the road through the inside, and it made a connection of spaces - just the road of the inside is not linear composition.

Site Analysis and Apply North. Mountain Inwang 녹지에 접한 북쪽은 커뮤니티 공 간을 실외로 두어 단지 주민들의 자연스런 만남을 유도했다.

South. Housing 주거 지역에 접한 남쪽은 커뮤니 티 공간을 실내로 두어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했다.


90 9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N

Street Diagram 옥인동을 엮다

3 2

1. 단지 주변의 메인 도로

1 Site plan 1. Community Plaza : 단지 내로 사람들의 유입을 유도하는 플라자 2. Community Facility : 단지 내 중심에 위치한 커뮤니티시설 3. Community Garden : 인왕산의 자연을 담아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커뮤니티를 마련

2.교통을 고려한 도로

Concept 집에가는 길

방향성과 속도감만 느껴지는 선적인 길

공간들이 연속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발걸음을 유도해 내는 길

3. 커뮤니티형성을 위한 길

Unit Plans

0

3

6M

Semi-public Private

1인주거 35m2

2인주거 46m2

3인주거 70m2

4인주거 90m2

Section 0

3

6M


Inter-n-Est 서로의 마당사이에서 김예슬 Yeseul K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Perspective View N

Process

Circulation Diagram

기존 대지 위에

차량진입 보행집입

건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지형에 순응하도록

대지를 파내고 그곳에 앉힌다

Site Plan 0

0

2

6

12 M

5

15

물길

30 M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주변 지형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고민한다.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기존 산지의 형태를 따르는 건물 모양은 마치 인왕산의 품안에 자리한 하나의 둥지를 닮았다. 건물을 대지 안쪽으로 밀어 수직적 으로 쌓은 결과로 전면부의 여유공간을 단지 내 주민들을 위해 내어줄 수 있게 되며 이웃 블럭으 로부터의 동선을 열어 줄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도로에서 남동쪽으로의 조망을 해치지 않으며 주 거 내부에서도 인왕산 자락의 경관을 확보한다. 대지내부로 깊이 들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옹벽 은 그 자체가 쾌적한 디자인 요소로 다가올 수 있도록 연출한다. 진입부인 야외 데크에서 개인 마 당으로 이르는 영역의 경계는 공공적 성격에서 사적 성격으로 전이된다. 이 마당은 각 층에서 수직적으로 엇갈려 형성되며 거주자가 각각의 정원 공간을 가지게 된다. 개 인주택을 차별화하는 것은 주거와 외부공간과의 관계이며, 확장공간으로서의 정원이 그것을 가 능하게 한다.

Circulation

Block Plan

92 93

The shape which follows around the mountain resembles a nest. The apartment pulled back, so we will free up extra space area of the front part and secure a clear view from the back side and inside of housing. Their yards crossed vertically, all households have personal outdoor spaces each of them. The key characteristic of a house is its relationship with the exterior, its garden as extension that allows multiple purposes.

Unit Plan

N

Unit C

1 3

2 1 4 2

5

3

1 2 3 4 5

주방 화장실 방 복도 정원

3

4F Unit B

5 7

7

3F 6

5

1 2 3 4 5 6 7 4

3

진입계단 야외데크 식당 주방 화장실 거실 방

1

2

2F Unit A 4

3

5

2

2

1

4

0 1

단지의 차량동선을 입구에서 주차 장으로 바로 연결시켜 주거동 안쪽 은 보행자 전용이 되도록 하였다. 주 민들은 지상 1층에 마련된 로비를 통해 4층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물 길과 함께 연결된 산책로를 통해 단 지 밖 주민들도 커뮤니티 시설을 함 께 이용할 수 있다.

6

3

4

1 2 3 4 5 6

현관진입로 화장실 주방 방 거실 마당

6M

1F 0

5

15

30 M

Unit A의 거실에서 마당 쪽을 조망


Daily; Come Across on the Route 길에서 만나다 전소현 Sohyun Jeon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on

현관과 길

Diagram

N

단면도

Layer 겹침으로 길로 길 형성

조경, 길

Keymap

주거동

Core

0

5

15

30 M

Site Plan

0 1

3

6M

주차장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4

주거단지는 개별생활 공간인 동시에 이웃들과 커뮤니티를 이루 는 생활공간이다. 그러나 현재 단지계획은 단위주거 공간을 중 심으로 계획되어 공동생활 공간계획이 소홀해 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계단과 복도는 최소화 되며 필요악적인 존재로 취급되어 졌다. 코어공간과 개인공간 사이에 공용공간을 두어 새로운 공 간을 제시한다. 글라스박스로 처리된 이 공간은 테라스하우스 의 단점인 먹방을 해결함과 동시에 유닛 사이의 커뮤니티를 증 진시킨다. 이 공간들은 일상생활 동선인 길과 엮여 만남의 기 회가 많아진다.

Residential development is not only the private space but also a community space that I use with neighborhood. However, recently Residential development is designed as individual unit. It causes the public spaces are been indifferent. Therefore the public spaces ,stairs and corridors, are minimized and have been treated as a unnecessary beings. So I suggest new public space located in between core and private space, Those spaces which are treated as a glass box upstep community between unit and unit and solve the lighttight room shortcoming of terrace house. As those spaces are involved in the route of everyday life, an opportunity to meet by chance will increase.

Unit Plan

Concept

94 95

Section Diagram

Unit Type Plan A ( 1인가구, 4인가구 )

Type A ( 1인가구, 4인가구 )

Block 길에 현관들을 마주보게 배치

Unit 계단코어와 유닛 사이의 공용공간을 주어 유닛 간 커뮤니티 기회를 제공 (ex.예술가 작업실대여, 금요일 장 들어서기 등등)

N

Type A

Type B

Type C

A Type Unit Plan

LAN

2F

0

5

15

30 M

Typical Block Plan

주거동 정면 뷰

0

1

3

6M

1F

도로와 주거동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RENOVATION PROJECT 본 교과목은 증개축 과제를 통한 인테리어 특화과정이다. 기존 건축물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구조적, 경제적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공간성격 및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기존건축물의 외부공간 및 외장개선, 용도변경, 내부공간의 변경 및 확장 등을 통하여 증축과 개축과정에서 요구되는 설계기술을 습득한다. 아울 러 증개축을 통해 새로 조성되는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설계과정을 통해 구조 와 내외장 그리고 이에 대한 좀 더 디테일한 측면을 탐구한다.

STUDIO TUTORS: Jongmoon Choi Kwangsoo Kim Sojin Lee


Through the Wall 게스트 하우스에서 갤러리로 김선아 Seona Kim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Concept

두개의 공간으로 사용

Rotating Wall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

기존의 건물에 새로운 수직의 레이어가 대지 내 땅을 품는 형태로 추가되 어 대지 내의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의 '켜'를 형성한다. 두 개의 '켜' 사 이에 완충공간을 삽입하여 두 개의 '켜'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완충공간의 벽이 두 개의 '켜'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현실화 시켜주는 역 할을 한다. 이것이 바로 '회전벽'이다. 회전벽이 열리면 두 공간을 하나의 공 간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 new vertical layer is added to the building. The layer surrounds land in that site, so the exterior space is center of the ‘new layer’. As inserting a buffer space between two layers, I suggest a possibility to mix them. A possibility is actualized through the wall of a buffer space. This is the ‘rotating wall’. By turning the rotating wall, we can combine two spaces in a one space.

리노베이션 이전 건물 사진

맞은 편 주차장에서 건물 정면을 바라 본 모습. 카페와 게스트 하우스의 출입구가 있다.

Cafe 0

2

6

12 M

Cafe

Guest House


98 99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 Guest House 2 Gallery 3 Guest House 4 Gallery 5 Cafe 6 Sunken 7 기계실 8 Enterance(+5200) 9 Terrace N

Sunken

Diagram

+5400

8

7

9

a 출입의 다양성

b 수직의‘켜’삽입

c 추가로‘켜’삽입 하여 완충공간 제시

6 5

d 4층 증측부 옥상의 시 야 확보

+7250

Program

4 3

3F(+7010)

+3850

Cafe 주도로와 접해서 접근이 가장 용 이하고, 계단을 타고 올라오는 부 분에 새로운 출입구를 형성한다.

Gallery 건물의 뒤쪽 도로와 접해서 기존 출입구를 살려 메인 출입구를 형 성한다.

Guest House 건물을 밖으로 둘러싸는 방향에 게스트 하우스가 위치한다. 메인 출입구는 1층의 기존 건물 갤러 리 출입구를 사용한다.

Space Usages

2F_1

2F_2

2F_3

2 1

3F_1

3F_2

Cafe

3F_3

0

2

6

2F(+3620)

12 M

Gallery Elevation


Cir-Culation 싸일로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백초롱 Cholong Baek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Incheon Marine Natural History Museum

Renovation Criteria

Transformed, Added 기존 건물 : 제분공장(Silos) 대한제분 북성동 1가 3-12번지

기존건물 Vertical space

증개축 이후 Variety space

증개축을 시작할때 두 가지 기준을 세웠다. 첫째, 기 존 건물을 최대한 살리면서 최소한의 것을 제거 한다. 둘째 기존 구조체에 최소한의 부분을 추가하여 건물의 특성을 보완, 대비시킨다. 싸이로의 절반 부분이 위 다 이어그램과 같이 부분적으로 최소한의 상태로 제거되 었고 기존 구조체를 바탕으로 Main core가 되는 blue color는 더했다. main core인 램프를 통해 기존 구조 체의 단절을 보완하고 싸이로의 제거를 통해 강한 수 직성에 대비되는 수평성을 강조했다.

Mass Process

a Vertical Space Present building

b Horizontal Slice Connecting space

c Horizontal Shift Variety path

d Vertical Shift Dynamic space

b 보통의, 일반적 공간 Connecting space

c 벽을 통해 규정되는 공간 Variety path

d 동선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 Dynamic space

Concept

a 고립적 공간 A spac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싸일로는 건물자체가 콘크리트 구조체인 원형 공간이다. 기존의 구조체의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여 곡면벽을 통해 인천해양박물관이라는 새로운 프로 그램에 맞는 전시의 흐름을 제안한다. 곡률있는 공간의 굴곡을 통해 공간의 내 외부가 규정되고 곡면벽을 따라서 전시동선 간의 흐름이 나타난다. 인테 리어 벽체는 바닥-벽-천장을 순환하며 동선의 흐름을 유도하고 바닥, 의자, 탁자, 전시부스, 조명이 되기도 한다. 수직, 수평축을 따라 시대, 테마별 전시 가 이루어지고 4개의 램프를 지닌 코어는 박물관의 주된 흐름을 형성한다. 총 8개층의 건물로서 1층 로비에서 아쿠아리움 엘리베이터를 타고 7층 전시 관에 내려서 램프와 곡면벽을 따라 순환하며 관람을 시작한다.

100 101

The exhibition is controlled by circling curved walls. By curving the walls, space manipulates itself to define boundaries of exterior and interior. Through its curved walls, the exhibition route defines a natural circulation. The interior space is defined by a single element that configures itself into different functions. The wall redefines itself into multiple forms as it travels through the circular space; the wall becomes the slab, seating area, leaning desk, exhibition booth, lighting area, and acoustic systems.

Program The four different themes of Incheon marine history

Geology Biology Incheon sea Animal, shore history plant life

4 main cores

Age

수직코어 축은 시대순으로 전시되고 수평바닥 축은 인천 해양 역사와 관련한 4가지의 다른 테마로 구성된다.

각 층은 시대순으로 구성되고 7층부터 3층까지 현재, 5년 전, 10년 전, 30년 전, 50 년 전의 역사순으로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전시공간을 내려가면서 타임캡슐을 타고 탐험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1 2

3

4

1

5

1

1

01 3 6M

6F - Permanent Exhibition(The present)

코어는 커튼월 구조로 롤수평차양을 통해 열환경을 조절한다.

1 2

3

4

1

5

1

1

3F - Permanent Exhibition(Prior to 100 years)

N

8

1 6

7

9

8

6

1

6

7

1

9

1

1F - Lobby and cafeteria 박물관의 저층부에서는 콘형 천장과 기둥을 통해 싸일로의 독특한 공간을 체험할수 있 으며 박물관의 모든 공간은 굴곡있는 벽체를 통해 공간과 동선이 자연스럽게 규정된다.

Elevation

1 Aquarium elevator 2 Geology 3 Biology

4 Incheon sea shore history 5 Animal, plant life 6 Cafeteria

7 Office 8 Souvenir shop 9 Restaurant

Section


The Layer 연희동 주택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서성은 Seongeun Seo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Gallery and Archive cafe 이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는 기존 주택의 공간적 특성인 가로방향 의 긴 벽체들로 인해 형성된 선형공간에서 시작되었다. 가로방향 의 긴 벽체들이 중첩되고, 그 사이의 켜에 기존의 주택건물과 증 축된 공간이 존재하도록 하였다. 기존 주택의 건축재료인 벽돌 과 시멘트판넬로 구성된 벽체는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투영 도로 인하여 기존 건물을 가리지 않고 드러냄으로써 기존 건물 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동시에 기존 건물과 증축된 공간이 하나 로 융합되도록 한다.

This renovation Project start to a house’s space characteristics. It is a linear space which is made up of long horizontal wall. The objective of the design is to make an extended space with an orginal space between long horizontal walls. We can show the house through the layer in the walls. Because the walls are composed of bricks and cement panels as the original. The merged space of the original and the new space is an unified architecture of their characters and qualities and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the building.

Concept

a 가로방향 벽체의 증축 흙을 걷어내 지상으로 지하층을 드러냄

b 벽체 켜 사이에 끼워져 형성되는 사잇공간

c 기존건물을 드러내는 투영성을 지닌 벽체 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벽 공간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투영도로 인해 기존건물이 필터링된다. 입체적인 파사드의 느낌을 연출할수 있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02 103

N

Renovation Criteria 1

1 2

1 2 3 4 5 6

2

사무실 전시실 옥외 조각전시 아카이브 카페 로비

3 3

0 1

3

6M

3F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132-32번지, 단독주택

기존의 주택 앞으로 증축된 벽체들의 켜에 형성 된 공간은 아카이브 기능을 가진 카페로, 투영 성을 지닌 루버형식의 벽이 구조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자료를 보관할 수 있는 선반이 된다. 갤 러리 공간의 3층과 아카이브 카페 공간의 옥상 은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어 야외조각전시를 감 상하는 공간이 된다.

2

5 4

2F

2

2

6

2

1층은 기존의 지하층의 흙바닥과 시멘트 벽돌 벽이 그대로 남아있어 시간의 흐름을 시각 만이 아닌 촉각과 후각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전시공간이 된다.

1F

증축된 벽체들의 켜에 형성된 공간은 아카이브 카페로서 내외부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다.

Section


Diagonal Building 대학교육연합 회관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이선경 Shunkyung Lee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Library , cafe and bookstore

도로에 면하는 파사드의 사선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Mass Design Process

기존 용도 : 복합용도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25

일반적인 건물의 입면

선정건물의 기존입면

a 모서리각도 조정

Mass Study

b 모서리각도 연장

c 일정 모듈반복 및 규칙성 부여

Program Passive Space Library

Mixed Space Cafe Active Circulation 건물의 끝 부분에서 시작되는 예각의 사선을 안으로 연장하고 변화를 주어 사선의 각도 차이를 통해 입체적인 파사 드를 강조한다. 파사드의 사선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공간감을 유도할 수 있다.

Active Space Bookstore

Active Circulation

정적인 도서관을 고층부분에 배치하고 저층부분에는 사이 트의 동적인 동선을 끌어들일 수 있는 서점과 카페를 배치 하여 상층부로 동선이 연결될수 있도록 계획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기존 건물의 특징인 예각 모서리에 주목하여 건물의 끝 부분에서 시작되는 예각의 사선을 안으로 연장하 고 그 사선의 가장 적합한 각도와 내부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정도를 스터디한다. 또한 일정 모듈의 반복 요소 를 두어 규칙성을 부여하고 각 모듈내에서도 사선의 각도 차이를 주어 입체감을 더해 파사드를 강조한다.

104 105

By focusing on the features of the acute angle of the existing building, The diagonal the of acute angle that starts at the end of the building extended into the building. So it could study the most suitable angle and ability to attract into the building. And puts the repeating elements of the certain module to give regularity for the existing building. Also, giving the difference in the angle of the diagonal could make more dimensional depth to emphasis the facade of the building.

N

3

1

2

4

1 Storage 2 Bookstore 3 Staff room 4 Library

Existing Plan

01 3

6M

1F

도서관의 중앙 중정을 통해 개방감과 채광을 유도한다.

Existing Elevation

Elevation

01

3

6M

5F

전면 파사드의 각도와 다양한 판들의 어우러짐을 통해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Section


In Between 틈 왕주희 Juhui Wang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Renovation Process

증축 전(기둥 삭제)

증축 후

증축은 틈을 밀고 들어가는 방식으로 매스를 돌아 올라와서 5층에 기존 건물과 틈을 형성하 면서 새로운 켜로 성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직적으로는 한 개층, 높이로는 5.6m를 증축하 게 되고 수평적으로는 두 모듈, 8.3m를 증축하게 된다. 건물의 북쪽 길 쪽으로 증축하면서 기 존 모듈을 그대로 확장하여 기둥을 세워 헬렌관의 좁은 모듈을 밖으로 드러냈다. 동쪽으로는 기계실 위로 건물이 증축되므로 새로운 접근성과 입구성이 만들어졌다.

Extension in a way of pushing back the gap makes a new gap sharing the gap with the existing building. Consequently 5.6m extension of height, 8.3m extension of length makes this building stand out well. At the same time, new way between Helen building and main library makes us much comfortable with good accessibility. 메인 계단실. 각기 다른 레벨을 이어준다

틈을 확장시키면서 생긴 오픈 스페이스가 5층 증축부에서 큰 아트리움으로 발전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Concept

틈의 확장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건물 사이의 틈. 건물 과 땅 사이의 틈. 이러한 사이공간을 확장시 켜서 단계적 Open Space를 만들고 이를 통 해서 ‘틈’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그 공간 들이 확장하는 방향을 따라 건물이 성장하여 새로운 켜로써 건물과 공간을 감싸게 된다.

106 107

EXTENTSION OF GAP

Extension of gap between building to building and building to ground. We can experience ‘gap’ by extending interspace to make OPEN SPACE also this building grow following the space extending to make new layer that’s covering the building with covering the space as well.

Program N

Library Cafe Study Room Seminar Room 혼자보다 여럿이 같이 오도록 하는 게 더 많은 사 람들의 접근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곳에 모임 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 주기로 한다.

Circulation

Open Space

5F

Circulation 메인 동선은 증축부와 본관이 맞닿는 부분에 위치 한 큰 계단실이 담당하여 건물의 모든 레벨에 접근 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증축부의 동선은 따로 두 어서 void에 생긴 계단이 외부공간을 옆에 끼고 움 직이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0

0

3

9

18 M

3

9

18 M

Section

1F

Elevation


Go Around 거닐다 이영은 Youngeun Lee 최종문 스튜디오 Jongmoon Choi Studio

Renovation Process 1

2

3

4

1) 기존 건물의 2)중앙도서관 쪽 대지로부터 헬렌관 입 구까지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판을 만들고 기존의 구 조를 거스르지 않는 mass가 존재한다. 3)이 기울어진

판은 다양한 레벨에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접근이 가 능하게 한다. 4)또한 판이 찢어지는 부분을 통해 건물 내부로 빛과 공기가 통하게 되며 헬렌관은 더욱 쾌적 한 환경의 건물이 된다.

중앙도서관으로 향하는 길에서 바라본 건물, 루버를 통해 빛을 건물 내부로 받아들인다.

0

3

9

18 M

Section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헬렌관은 이화여대 교내에 위치한 건물로 처음에는 도서관으로 계획 되었다. 이후 한번의 증축으로 서고 부분이 지어졌고 1986년 5월 뒤쪽에 중앙도서 관이 지어지면서 헬렌관은 주로 간호학과가 사용하는 건물이 되었다. 기존 건물 부분은 4.2m의 층고로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증축된 부분은 2.8m의 낮은 층고로 4개층으로 이루어져있어 서로 층이 어긋나는 부분이 생긴다. 따 라서 기존 건물과 증축된 부분은 서로 붙어있음에도 불구하고 1층과 4층에 서만 연결이 되어있고 2,3층에서는 연결 되어있지 않다.

108 109

At first, Hellen building located on the Ehwa Women’s University campus was planned as a library. After extension work, stack room was built. To the rear of the building, central library was built in 1986 May. Hellen building became the building which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uses mainly. The existing building of 4.2m height is a 3 story building, and the extended building of 2.8m height is a 4 story building, so two buildings cross each other vertically.

Structure 1

2

3

N

기본구조에서 맞닿은 부분은 2)건물에 빛이 잘 통할 수 있도록 제거하고 3)기계실 위쪽으로 새 로운 증축부분이 생겨나고 계단실의 수평증축 부분이 생겨났다.

1)

Program

0

3

9

18 M

4F

학생들을 위한 전시 공간과 자신들의 물건을 사 고파는 벼룩시장을 계획했다. 이 두가지 프로그 램을 통해 학생들 간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장 소를 제공하고자 했다.

3F

건물의 3층 내부, 왼쪽으로 매스와 매스를 연결하는 bridge가 보인다.

1F

사람들은 중앙도서관 쪽에서 자유롭게 판을 가로질러 이동한다.


Massing in Gallery 효문화진흥원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김예은 Yeeun Kim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효문화 진흥원

구 재동파출소와 북촌면옥의 다른 두 대지를 갤러리 를 통한 효문화진흥원으로 증개축한다. 서로 다른 두 대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북촌면옥은 누구에게나 개 방된 공간으로, 재동파출소는 상대적으로 폐쇄된 공 간으로 구성한다. 기존 건물의 형태를 유지하여 증개축 후에도 2개의 건물이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구 조체를 그대로 사용한다. 또한 2개의 새로운 매스를 추가하여 기존의 두 건물을 연결하면서도 매스가 중 첩되는 부분에 복층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을 창출 하여 더욱 풍성한 공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I proceeded a renovation project of Jaedong Police Office and Bukchonmyeonok to Korean Hyo Culture Contents Agency this semester located in Jongno-gu wonseo dong. In this project, two buildings renovated to one building. I intended to recognize the two old buildings after renovation. So I used existing structure in the process. And I made a connection between the two old buildings by adding two new masses. At the points two masses overlapped, new space occurs by making double-layer. This double-layer space makes new building more exciting.

Mass Development

기존 구조

a 기존 형태 유지

b 새로운 매스 끼워넣기 기존 매스 연결하는 역할

c 2개 건물이 하나가 됨 기존 건물의 형태 인지 가능 매스간 접점에서의 다양한 공간경험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10 111

N

1

3F

2개의 새로운 매스를 추가하여 기존 매스를 이용한 새로운 복층공간을 형성한다.

1

1 Gallery 2 Education 3 Cafe 4 Shop

2F

전면도로에서는 세개의 분할된 매스가 인지된다.

D

2 3 C

4

B A

새로운 매스가 삽입되어 두개의 건물이 이어져 있음을 측면도로에서 확인할수 있다.

Section A

Section B

0 1

Section C

3

6M

1F

Section D


Poet, Dong Ju Yoon 윤동주 그리고 하늘 정민경 Minkyung Chung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도서관 진입부로서 왼쪽으로 보이는 곳이 도서관 공간이고 오른쪽 계단으로 올라가면 넓게 펼쳐진 옥상 공원이 존재한다.

Concept

하늘을 보다

Space Study

도서관 열람실의 모습

도서관에 사람들이 찾아와서 하늘을 마음껏 볼 수 있 고, 그 하늘을 바라보며 윤동주를 생각했으면 좋겠다. 푸른 잔디에 앉아서 위로 펼쳐진 하늘을 바라보기도 하고 어떤 공간안에서도 하늘을 향해 열린 천창에 담 긴 하늘을 바라볼 수 있다. 바쁜 일상을 보내는 사람 들이 이 도서관에 와서 안정감과 평온함을 되찾아 가 길 바랬다.

People who came to the library can see the sky as much as they want to and also remember the poet, Dong Ju Yoon. People can see the sky, sitting on the green grass or see it through the open ceilings of some areas. I wished people with busy life come to this library and find comfort and piece.

1 도서관 공간 구성, 높은 층고의 열람실, 지상공원으로의 연결, 진입부의 활기

3 나타내고자 하는 공간 구성, 높은 층고의 열람실, 지상공원으로의 연결, 진입부의 활기

2 실의 프로그램 별로 각기 다른 공간감 부여, 진입부에 대한 스터디

4 실의 구성 마무리, 가운데 솟아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배치, 실 사이의 경계를 벽이 아닌 책장으로 구성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12 113

Renovation Process

리노베이션 프로젝트의 대상은 2층 주택이다.

구조체들이 강한 축력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었다.

주택의 형태와 크기를 유지하기 보다는 이 주택에

복도가 중심을 관통하고 그 주위로 작은 공간들이

서 남기고 싶은 요소를 찾아야 했다.

다닥다닥 붙어 있었다.

기존의 주택이 있는 대지는 옹벽으로 둘러싸여

주택의 수직적 공간 부분과 구조체만 남기고 남은

야외공간은 조적조 구조판들의 사이로 시선의 확

있고, 주택과 옹벽 사이의 공간이 애매하게 남겨

벽체를 허물고, 주택이 지니고 있던 ‘실’을 새

장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옹벽과주택 사이

져 있었다.

로운 대지위에 흩뿌렸다.

의 힘을 잃은 뒷 공간에 새로운 성격을 갖게된다. N

+4000

도서관의 열람실의 공간중 대지를 뚫고 올라온 복층 공간과 옥상공원 Site Plan

7

6

5 2

1

4

도서관의 옥상공원에서 기존주택의 흔적인 벽돌벽체들이 보인다.

3

1F 0 1

0

1

3

6M

Section

3

6M

1 Cafe 2 윤동주 Space 3 Slit Light Space 4 Duplex Space 5 Darkness Space 6 Projection Room 7 Office

Elevation


Yoon's Red Gables 윤동주 시인의 빨간 지붕 집 최시인 Siein Choi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Master Plan

Renovation Process 기존 건물의 형태는 최대한 유지, 새로운 건물을 옆에 증축 하는 식으로 옛날 건물 형식에 모던한 건물이 부딪혀 만나는 공간을 갖고 있다. 입구부분은 뒤편 옹벽과 둘러싸인 정원과 외부공간으로 연결되어 있다. 1층에서는 분리되어 있는 건 물이 2층에서는 연결되어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기존 건물 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소박하고 아기자기한 박공집 들이 모여 있는 도서관을 컨셉으로 했기 때문에 본관 2층의 열람실과 어린이 열람실에서 박공지붕과 만나 다락방과 같 은 공간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설계했다.

전면으로 보행전용 진입로가 있고 좌측으로 옹벽 주위를 둘러 내려오는 보차 혼용 진입 로가 있다. 진입 직후에 주차 가능한 공간이 있다.

The initial concept was to maintain the shape of existing building as possible as I can, and the new mass is added on the left side of the building, which looks similar to the existing one but modern than the one. The entrance is connected straight to the backside of the building, where the small garden exists. This passage makes the 1st floor level divided into the book café area(the left side) and the reading room(the right side) area. However, compared to the 1st floor, 2nd floor is single mass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right to left. The attic-style reading room of the right side and the attic-style children’s reading room of the left side of the building are designed to be connected by the hall between them.

Cafe 측 건물에서 바라본 뷰. 기존 건물의 붉은 기와 지붕과 신축 건물의 남색 징크 지붕을 돋보이게 한 컷


ARCHITECTURAL DESIGN STUDIO 5

114 115

Program Noisy Area

Noise-Sensitive Area

Children Program

Reading Room

Book Cafe

정원으로도 통할 수 있는 메인 진입로

Garden

Library

두 공간이 1층에서는 분절되어 있

진입로로 인한 공간의 자연스러운

으나 2층에서는 자연스럽게 연결됨

구분이 형성됨.

N

5

6

기존, 신축 건물의 맞물림

2F

4

3

1 2 1 2 3 4 5 6

Cafe 마루 열람실 Study Room Balcony 열람실(다락)

1F 0

0

2

6

12 M

1

3

6M

South Elevation

East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URBAN DESIGN 도시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의 도시 콘텍스트와 건축물의 상관성 인식을 목적으로 공공영역 디자인 사례조사 및 도시읽기를 바탕으로 공공성 영역 및 해당 시설을 디자인 한다. 도시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맥락과 물리적 환경의 상관성을 이해하 며 그 속에서 건축이 만나면서 발생하는 건축 혹은 도시의 위상과 그 관계성 들을 탐구한다. 또한 구체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도시환경의 스케 일과 형태 상관성을 분석하며, 구체적인 영역을 사이트로 정하고 거리 혹은 공간영역 안에서 행해지는 행위를 지원할 수 있는 공공성의 영역 및 해당 시 설을 디자인 한다. 이는 소정의 건축시설을 포함하여야 하며, 건축물과 외부 공공공간의 상관성에 대한 입장을 제시한다.

STUDIO TUTORS: Kwangsoo Kim Daun Yoo Sojin Le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Kwacheon Life 지속가능한 과천을 그린다-과천 라이프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본 스튜디오는 SA inter-studio와 연계하여 진행하였으며, 수도권 9개 대학 11개 스튜디오가 과천 시를 공동의 대상지로 설계진행하여 그 결과를 과천시 아라 겔러리에서 전시하기도 하였다. 본교는 건축부문 최고작폼상을 수상하였다.) 우리 스튜디오는 다음의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1. 한 도시의 특징은 어디에서 드러나는가? 2. 그러한 특징은 어떻게 매력적인 방식으로 존재하는가? 3. 그리고 그러한 매력은 어떻게 지속되는가?

위 질문들의 답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지만, 아마도 그 핵심에 이르게 되면 나름의 공통된 지반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우리는, 그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특유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이 그 지반이 되는 것이다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과천에 사는 사람들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 즉, 과 천라이프는 존재할 수 있는가 그리고 과천을 방문하는 사람들도 이러한 과천라이프를 체험하고 기 억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스튜디오를 시작하였다.

(This studio was executed in relation with SA interstudio in which 11 studios of 9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sharing common issues on the city of Kwacheon. The studio works were exhibited in Ara Gallery, Kwacheon and Ewha Univ. was awarded in the 1st. place.) The studio started with some questions about where a certain city’s characteristics are and how those are being sustained in attractive ways. Focusing on Kwaceon citizens lifestyle and reorganizing its fragmented urban configurations, the studio explored how Kwacheon carry out its potentials in more meaningful way and reinforce its characteristics with the idea of sustainability of living.

118 119


Urban Farming 꽃동네 새동네 이근우 김다솜 이선경

Geunwoo Lee Dasom Kim Shunkyung Lee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꽃동네 새동네 중앙로 전경

본 프로젝트는 과천에 사는 사람들 특유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 이 지반이 되는 과천이 될 수는 없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하게 되었 다. 이에 따라 과천의 모습들을 살펴보게 되었고 그 과정을 통해 과 천과 맞물려 떠올릴 수 있는 공공장소, 화훼업, 관광요소를 큰 3개의 요소로 꼽을 수 있었다. 그러나 과천내에서 이 3개의 요소들 역시도 각각 도로, 주거, 지형 등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서로 파편적으로 존 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을 엮기 위해 과천시를 대표하는 화훼산업을 통해 서울 주변의 다른 도시들과 다른, 차별화된 산업으 로 도시농경을 내부로 끌어들임으로서 화훼를 통한 과천 시민들간 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또한, 도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농 업활동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We start with one question, How can we make people who already have their own life style in Gwacheon. Accordingly, We select three main elements which can make some image of Gwacheon, “Public Space, Floricultural Industry, Tourist Attraction”. However, each of these three elements are seperated from variety of reasons, such as roads, housing, topography and etc. So we decide to use the Floricultural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representing Gwacheon. Use the differentiated Floricultural Industry to join these tree main elements, drag urban agriculture into the inner city to make some community of Gwacheon citizens and provide new agriculture which can experience its activities inside the city.

Mass Process

Issue

Public Space

Floricultural Industry

Tourist Attraction

Idea

도시농경 공공장소 제공

과천시 대표산업 화훼

관광도시 도심내부의 활성화

프로젝트를 통해 과천의 화훼산업과 일상이 공유 되고, 양재천/중앙공원/거주지 그리고 관청지역 들 상호간이 경계를 허무는 하나의 꽃동네로 재 생되는 시도를 하고자 하며 광관사업 및 화훼산 업의 발전을 기대해 본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0 121

Opportunity 이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장소로서 탐색한 곳이 바로 과천의 ‘중앙로’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 승용차 중심 도로운영체계로 사용되던 중앙로를 보행중심 도심가로체계로 변화시키기 위해 기존의 6차선 도로를 4차선으로 축소하여 확장된 가용면적을 활용함 으로서 중앙로를 새롭게 조성하는 ‘꽃동네 새동네’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중앙로 전경

Concept

차음벽

6차선도로 도로

도로

온실

온실

온실

중앙로의 통과 차량의 우회

과천통과차량

4차선도로 승용차 중심 도로운영체계

Program Idea

보행 중심 도로가로체계

Program 양재천의 흐름과 주거지의 유무, 상업지구의 밀집 등 중앙로 주변의 상황에 따라 공공 장소, 화훼, 관광이라는 요소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ZONE을 설정한다. 각 ZONE별로 주변 현황에 맞는, ZONE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의 배치를 위한 배치 가이드라인을 설 정한다. 현재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는 도로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배치하고 다리를 중 심으로 양 옆에 위치한 주차공간은 일부 유지, 나머지 주차는 주거단지 안쪽 주차공간 의 증축으로 해결한다. 온실은 연속되어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횡단보도 및 다리 와 맞닿는 구간에는 도로를 paving 함으로 보행공간의 영역성을 확보하고 차량속도를 조절한다. 특정기간에 다용도공간으로 활용한다. 주거로의 진출입 공간을 피하여 배치. 프로그램 배치공간이 부족한 공간에는 수직텃밭 배치한다.

도시농업 텃밭, 취미용 온실, 화단

화훼농업 화훼산업용 온실, 판매상점 공공장소 공공시설물, 교육, 홍보

세대수

횡단보도

Arrangement Idea 양재천 주거

취미용 온실

텃밭

상점, 창고

주정차

공공시설물

상점, 창고

공원입구

교육, 홍보

대중교통

주정차

자전거 도로

교육, 홍보

취미용 온실

양재천 화훼 다리

산업용 온실

주정차

중앙로

중앙로주거

화훼 ZONE 주민 ZONE 관광 ZONE

양재천 출입 (자전거, 계단)

산업용 온실

취미용 온실

기존녹지, 지형

취미용 온실

텃밭

화단


Urban Farming | 꽃동네 새동네

Parametric design process

Parametric density graph

1 제안 프로그램 zoning

Bus

Green Zone Subway

Bridge

Public Space Zone

Crosswalk

Service Zone

Park Ent Bike Ent

2 제안프로그램과 기존요소와의 상관성을 밀도로 변환후 밀도에 따른 프로그램 배치 River Ent 영역성

Population 밀도 중앙로

프로그램 밀도

Total

Public space zone

Service zone

D 구간 중앙공원 - 과천청사 사거리 양재천 복개가 끝나는 지점 중앙로의 주민영역과 화훼 산업영역이 중앙로 중심에서 하나의 라인으로 만남 새로운 조경 경관을 제시

E

에어드리공원

전체배치도

Green zone

중앙로에 배치

C 구간 도서관삼거리 - 중앙공원 유동인구가 많은 중앙공원과 양재천 주거지분포가 끝남으 제안프로그램들이 집중 분포

Section D

E’

정부청사역

A-A’ SECTION

D’

B-B’ SECTION

C-C’ SECTION 중앙공원

D-D’ SECTION

E-E’ SECTION

대온실 0

1

2

4M

C’

E 구간 과천청사 사거리 - 에어드리공원 화훼 산업영역과 비슷한 성격 주거의 밀도가 높은 구간 화훼 산업영역성격과 주민영역 성격을 동시에 지님

0 3 12

30 M

상점

화단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22 123

Concept N

확장된 가용면적은 1차적으로 구간별로 화훼zone/주민zone/관광zone으로 나 뉘며 각 zone별로 가지게 되는 프로그램의 정도에 따라 각각의 성격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먼저 화훼zone은 중앙로 상단부에서 중반부까지 이어지는 구간 에 분포하고, 기존의 화훼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화훼산업용 온실 그리고 판매상점의 프로그램들이 주를 이룸으로써 화훼산업의 기능을 크게 부여한다. 주민zone은 주로 주거지와 인접한 구간에 분포함으로써 주민들이 사 용하기 쉬운 취미용 온실, 텃밭 그리고 화단을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이 직접 화훼 제배를 통해 주민간의 커뮤니티공간을 형성하고 직접 조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관광zone은 중앙로 하단부에 주로 분포하여 공공시설물과 교육, 홍보의 프로그램이 가능한 공간을 조성한다.

0

3

12

25 M

Typical plan

대온실

상점

B’ 구간 부림교 사거리 도서관 삼거리 B 구간과 매우 유사, 3개의 라인이 2개의 라 인으로 변화하며 양재천 주거지의 성격 이 바뀌는 구간 벤치

화단

A 구간 관문사거리 - 관문체육관입구 과천으로 진입하는 초입부분 화훼 산업영역라인이 단독 분포

N

과 상업지역으로 들어가는 구간 으로 4차선이 된 중앙로에 포

B 구간 과천체육관입구 - 부림교 사거리 화훼 산업영역과 주민영역이 동시에 시작하는 시작점 중앙로 주거/중앙로 화훼/양재천 주거 3개의 라인이 공존하는 구간으로 가장 다양한 경관을 연출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원 다리

화훼 수직 조경

B C A

B’

Typical Plan 관문체육공원

과천역

Typical Elevaion

벤치

A’

화훼 수직 조경

Elevation


Green Cell 한 가족 한 그루 왕주희 최정은 백초롱

Juhui Wang Jungeun Choi Cholong Baek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재건축 후의 7단지 조감도

과천이라는 도시에 어떤 라이프가 필요하고 또 어떻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까에 대한 고민은 주민들을 인터뷰하고 7단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답 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는 새로이 규정지을 ‘과천 라이프’를 무엇인가 를 기르고 가꾸는 생산적 행위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보았다. 어떤 도시 의 기억을 담고 그 도시를 상징하는 것이 하나의 랜드 마크가 될 수도 있지 만 자연요소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도시를 처음 계획 했을 때 부터 심어져 과천의 상징이 된 메타세콰이어 나무와 쓰이지 않고 있는 야산 을 잠재성을 활용해보고자 했다. 그래서 마을 전체가 생산적인 녹지로 이루 어져 있는 다랭이 마을처럼 생산적인 녹지를 통해 생산적 커뮤니티가 가능 한 단지가 7단지에서 가능할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각 세대는 텃밭 세평 과 나무 한 그루를 갖는다는 것을 시작으로 하고 텃밭 커뮤니티, 나무 커뮤 니티, 놀이커뮤니티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공공간을 통해 세대별로, 동 별로, 단지 내에 행위를 동반한 자생적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보았다.

Site

We need to settle those people’s life down in the rural and we can find the solution on the way of scrutinizing Apts. 7. We found that growing something in the small garden is “desirable lifestyle” in Kwachoen people. We think that landmark in a city could stand for the city and have a memory of the city but natural element also could be. so when we began this project, we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potential of metasequoia trees and the hill and that is why we chose Apts. 7 as the best place for out project. Consequently, about 3.3 square meter of small garden and a tree will be offered to each home unit then new types of shared space like “garden community”, “tree community” and etc must build a self-sustainable community by using differences of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block to block.

Issue

주공아파트 7단지

a. 중앙공원 - 청계산을 잇는 녹지축

b. 단지 내 야산과 다양한 품종의 나무의 가치

c. 주민들의 도심 농경에 대한 욕구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Concept

124 125

Program

다랭이 마을 Ground level - Roof level로 이어지는 산책 로, Topography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주거, 생산적인 녹지, 경관, 다양한 생산적 녹지를 통한 단지 내 새로운 유형의 커뮤니티 제공. 각 세대는 텃밭 세 평과, 나무 한 그루 를 가진다. 가족 내, 세대간 교류 활성화

개인 개인텃밭 텃밭

과수 과수

놀이터 놀이터 및 및공원 공원

Place PLACE

옥상 옥상

주거 주거 공동공간 공동공간

주거동 공동공간 공동공간 주거동

Area AREA

세대당 8m² 8㎡ 세대당

세대당 세대당 한그루 한그루

주거동당하나 하나 주거동당

세대내내 세대

주거동 내 주거동 내

단지 내 내 단지

PROGRAM Program

Community COMMUNITY

Process a. Tree

f. Sky line

d. Multiplication

15m

나무 커뮤니티

5m

기존보다 층수를 높이고 지형에 맞게 레벨 조절 주거

메타세콰이어 나무를 시작점으로 한다.

기존의 나무

주거동 b. Point

계단식 구성으로 옥상을 개인텃밭으로 활용 g. Depth

보존하는 나무 12m

7층

새로 심어지는 나무 13m

5층

9층

11m

높이에 따라 Open space의 넓이 조절 단지 c. Voronoi

e. Circulation

h. Open space

양지 : 나무 커뮤니티 음지 : 벤치, 정자 등 메타세콰이어 인접한 점들의 수직이등분선으로 분할된패턴. 특정 점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점들의 집합

공용공간을 연결하는 동선

그림자 테스트를 통해 외부공간의 성격 설정 i. Block

9년 7년 5년 1.95m 4.20m

주변나무

5.10m

주거동 가운데 Open space 600m2 = 나무 한 그루 면적 7m2 X 85 그루

시각적, 공간적 연결을 위해 주거를 돌 려가며 재배치 하여 공용공간을 향해 Opening을 둠

전 세대 남, 남동, 남서향 + 테라스 세대간 시야 층을 차단


Green Cell | 한 가족 한 그루

Master Plan

Program N

개인과수 Stepping park 놀이터 광장, 주차램프

Commercial & Open Space

0 7 30 60 M

Roof Level Plan

Circulation

Typical plan

Ground Level Plan Garden Community

Bridge

Corridor Community

Private Terrace

수확하기 텃밭가꾸기

01 3

보행동선 주차동선

60m² 80m² 100m² 120m²

Slope Park

대청마루 포켓화단 데크 작은마당

6M

중앙공원 휴식하기 산책하기

Tree Community

나무 가꾸기 수확하기 이야기하기 나눠먹기

Stepping Park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Floor Area Ratio

126 127

Lifestyle 대지면적 : 118703.82㎡ 연면적 : 140407㎡ 용적률 : 120% >> 기존 용적률 90%

Unit 나무 커뮤니티 : 재배한 수확물의 교환 및 마실 장소제공

잔디 대청마루 데크 장독대 자전거 거치대

놀이 커뮤니티 : stepping, slope park 이웃과의 자연스러운 놀이

텃밭 커뮤니티 : 가족중심의 생활양식 세대당 8m²만큼의 텃밭 제공 각 세대의 텃밭은 해당 층의 복도와 연결된 옥상 에 위치하여 뒷마당처럼 이용 주거 내 거실과 부엌과 같은 공용공간에서 적극 적으로 테라스 활용

잔디 화단 데크 대청마루

자연스러운 이웃과의 교류 청계산

책읽기 휴식하기 산책하기 낮잠자기 이야기하기

대청마루

등산하기

포켓정원 자전거보관소 장독대

산책하기

이야기하기 휴식하기 운동하기 산책하기

Elevation


Green Urban Fabric 경계 바꾸기 강영민 김선아 정민경

Youngmin Kang Seona Kim Minkyung Chung

GREEN URBAN FABRIC

김광수 스튜디오 Kwangsoo Kim Studio

화단

텃밭

나무데크

N

나무

▲ 복도 증축

▲ CORE

실내 및 테라스 증축

보행자도로

자전거도로

0 2 10

30 M

주차 빌딩

리노베이션 후 Master plan

‘과천’의 현재를 바라보며, 이 도시의 계획 당시 모습은 어땠을 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1979년, 과천은 전원도시를 컨셉으로 기존 수도권에서 느낄 수 없는 색다른 거주 공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 로 삼았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현재, 과천은 기존의 도시 구조에 서 벗어나지 못한 형태로 그 초기의 목적을 잃어가고 있는 듯하다. 도시 내 주거 영역은 슈퍼 블럭으로 계획되고 그 안에서 커뮤니티 를 형성하려는 식의 기존 도시 계획 방법은 과천에 산재하고 있 는 전원적 요소와 거주 공간이 만나는 방식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과천의 거주성을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요소는 이미 존재하 고, 우리는 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과천만의 도시 구조를 제안 한다. 도시의 구조를 도로와 주거 단지로 나누는 방법보다 길과 하 나의 거주 영역이 만나는 작은 단위의 도시 패브릭을 통해 과천의 새로운 영역성을 구현한다.

In 1979, Gwacheon set the goal of suggesting the whole-new dwelling space different from that in existing capital area in a concept of a garden city. But in 30 years since then, Gwacheon is getting far from the early goal not breaking from the exsisting unrban structure right now. Dwelling area in the city was planned in a way of superblock and the old way of planning the city which tries to make communities in that superblock is not fitting with the way leisure elements and the dwelling space meets. The things that can make Gwacheon rich in habitability already exist and we’re suggesting Gwacheon’s own unrban fabric which can vitalize them. Instead of being divided into ‘steet’ and ‘housing complex(danji)’, the city is divided into ‘road’ and ‘one housing unit’. And through the small scaled urban fabric consisted of those divided outputs, the city realizes new territory.


2 과천의 경계 22 22 22

재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재 재재

슈퍼블록을 중심으로 과천의경계 경계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과천의 과천의 경계 도시의 경계는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ARCHITECTURAL 만든다. DESIGN STUDIO 6 128 가적 요소들은 슈퍼 블럭 내부에 존재한다. 슈퍼블록을 중심으로 도시의경계가 경계가나누어진다. 나누어진다. 여가적요소가 요소가풍부하다는 풍부하다는점이다. 점이다. 슈퍼블록을 중심으로 여가적 과천의 경계 재 슈퍼블록을 중심으로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과천의 경계 도시의 재 129 도시의경계는 경계는 시각적, 물리적단절을 단절을만든다. 만든다. 가적요소들은 요소들은 슈퍼 블럭내부에 내부에존재한다. 존재한다. 도시의 시각적, 가적 슈퍼 블럭 과천의 경계물리적 과천의 현재 과천의 경계 과천의 현재 도시의 경계는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만든다. 가적 요소들은 슈퍼 블럭 내부에 존재한다. 슈퍼블록을 중심으로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슈퍼블록을 중심으로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슈퍼블록을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슈퍼블록을중심으로 중심으로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과천의 장점은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점이다. 점이다. 과천의 장점은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도시의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만든다. 가적 슈퍼 블럭 내부에 존재한다. 도시의경계는 경계는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만든다. 가적요소들은 요소들은 슈퍼 블럭 내부에 존재한다. 도시의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만든다. 그러나 현재 여가적 요소들은 슈퍼 블럭내부에 내부에 존재한다. 존재한다. 도시의경계는 경계는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만든다. 그러나 현재 여가적 요소들은 슈퍼 블럭 Issue

11

4‘길’의 가능성

과천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요소들을 이미 지니고 있다. 슈퍼 블록내에 여가적 요소들이 산재해 있고, 과천의 완만한 지형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길’이 가진 가능성을 통해 과천 시민의 풍부한 삶을 이끌어낸다.

성하기에 충분한 요소들을 이미 지니고 있다. a 과천의 현재 과천의 경계 소들이 산재해 있고, 과천의 완만한 지형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b 적합하다. 과천의 장점은 여가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점이다. 슈퍼블록을 중신으로 도시의 경계가 나누어진다. 해 과천 시민의 풍부한 삶을 이끌어낸다. 그러나 현재 이 여가적 요소들은 슈퍼블럭 내부에 존재한다. 3 경계 경계 바꾸기 3 바꾸기

도시의 경계는 시각적, 물리적 단절을 만든다.

우리는 과천의 경계 바꾸기를 통해 기존의 도시 단위보다 작은 단위의 영역을 제안한다. 우리는 과천의 바꾸기를 통해 기존의 도시 단위보다 작은 단위의 영역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길을경계 활성화 시킨다. 이를 통해 기존의 길을 활성화 시킨다.

Concept

길의 가능성1 연결성

Opportunity

MASTER PLAN

여가적 요소

완만한 지형

4‘길’의 가능성 a 경계 바꾸기 4‘길’의 가능성 과천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요소들을 이미 지니고 있다. 과천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요소들을 이미 지니고 있다. 슈퍼 블록내에 여가적 요소들이 산재해 있고, 과천의 완만한 지형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슈퍼 가능성을 블록내에 통해 여가적 요소들이 산재해 과천의 완만한 지형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길’이 가진 과천 시민의 기존의 풍부한 있고, 삶을 이끌어낸다. 과천의 경계 바꾸기를 통해 도시 단위보다 작은 단위의 영역을 제안한다. ‘길’이 가진 가능성을 통해 과천 시민의 풍부한 삶을 이끌어낸다.

길의 가능성1 연결성 길의 가능성1 연결성

길의 가능성2 연결성 길의 가능성2 공공성

b '길'의 가능성 MASTER PLAN 산재해 있고, 과천의 완만한 지형은 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슈퍼블록내에 여가적 요소들이 에 적합하다. MASTER PLAN

MASTER PLAN

Proposal

N

길이야기 경계바꾸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길 네트워크를 제시한다.

가적 요소

길의 가능성1 길의 가능성1 연결성 연결성

MASTER PLAN MASTER PLAN

1 자전거길 1 자전거길 완만한 지형

여가적 요소 여가적 요소

완만한 지형 완만한 지형

길의 가능성2 공공성

길의 가능성2 길의 가능성2 공공성 공공성

1 자전거길

1 자전거길 1 자전거길 자전거

자전거

1 운동길

1 자전거길

자전거

자전거

자전거

2 놀이길

2 놀이길 2 놀이길 자전거

2 놀이길

2 놀이길 2 놀이길

자전거

2 놀이길

자전거

자전거

자전거

3 운동길 3 운동길

3 운동길

3 자전거길 3 운동길 자전거 02 자전거

10

30 M

구체적인 Master plan 제안


7 영역성 재설정 기존 도시 구조는 도로로 하나의 단지의 영역성을 확보하고 경계를 형성해서 안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택했다면, 7 영역성단지 재설정 과천에서는 내의 길 자체를 공공의 영역으로 보고, 공공의 영역과 하나의 작은 거주 영역이 만나는 방법을 제안한다.

Green Urban Fabric | 경계 바꾸기

기존 도시 구조는 도로로 하나의 단지의 영역성을 확보하고 경계를 형성해서 안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택했다면, 과천에서는 단지 내의 길 자체를 공공의 영역으로 보고, 공공의 영역과 하나의 작은 거주 영역이 만나는 방법을 제안한다.

6 7단지 경계 바꾸기

Idea

구체적인 MASTER PLAN을 7단지에서 제안한다.

1 PUBLIC SPACE

과천 시민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

1 Public space 1 PUBLIC SPACE

과천 시민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

제안한다.

2 SEMI-PUBLIC SPACE

외부인과 단지 주민이 만나는 공간

22Semi-public SEMI-PUBLICspace SPACE

외부인과 단지 주민이 만나는 공간

3 SEMI-PRIVATE SPACE

4 PRIVATE SPACE

33Semi-private space SEMI-PRIVATE SPACE

44Private space PRIVATE SPACE

단지 내 주민들끼리 만나는 공간

단지 내 주민들끼리 만나는 공간

개인 거주 공간

개인 거주 공간

7 영역성 재설정 기존 도시 구조는 도로로 하나의 단지의 영역성을 확보하고 경계를 형성해서 안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택했다면, 과천에서는 단지 내의 길 자체를 공공의 영역으로 보고, 공공의 영역과 하나의 작은 거주 영역이 만나는 방법을 제안한다.

1 도로와 주거동의 관계

2 주거동 앞마당과 단지 내 길과의 관계

1 도로와 주거동의 관계

3 주거동 앞마당과 개인 거주 공간의 관계

2 주거동 앞마당과 단지 내 길과의 관계 3 주거동 앞마당과 개인 거주 공간의 관계

1 도로와 주거동의 관계

2 주거동 앞마당과 단지 내 길과의 관계

3 주거동 앞마당과 개인 거주 공간의 관계

1 PUBLIC SPACE

2 SEMI-PUBLIC SPACE 3 SEMI-PRIVATE SPACE 4 PRIVATE SPACE a 7단지 경계 바꾸기 b 영역성 재설정 구체적인 Master plan을 7단지에서 제안한다. 단지 내의 길 자체를 공공의 영역으로 보고, 공공의 영역과 하나의 작은 거주 영역이 만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과천 시민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공간

외부인과 단지 주민이 만나는 공간

단지 내 주민들끼리 만나는 공간

개인 거주 공간

영역성을 확보하고 경계를 형성해서 안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택했다면, 영역으로 보고, 공공의 영역과 하나의 작은 거주 영역이 만나는 방법을 제안한다.

RENOVATION PROCESS DIAGRAM

Renovation process diagram 1 도로와 주거동의 관계

PUBLIC SPACE

단지 주민이 만나는 공간

3 SEMI-PRIVATE SPACE 단지 내 주민들끼리 만나는 공간

1 기존의 입구 STRUCTURE STRUCTURE

2 주거동 앞마당과 단지 내 길과의 관계

2 주거동 앞마당과 단지 내 길과의 관계

3 주거동 앞마당과 개인 거주 공간의 관계

4 PRIVATE SPACE 개인 거주 공간

기존의 입구

‘I’자 매스가 북쪽으로 증축되어

2 'I'자 매스가 북쪽으로 증축되어 편복도 형성 편복도형성

‘I’자 매스가 남쪽으로 증축되어 3 'I'자 매스가 남쪽으로 증축되어 테라스 및 실내 공간 증축 테라스 및 실내 공간 증축

하나의 CORE로 묶어서 4 두두개의 개의복도를 복도를 하나의 Core를 중정형 주거 형성 두어서 중정형 주거형성

거주 공간에 새로운 앞마당 제공 5 거주 공간에 새로운 앞마당 제공

3 주거동 앞마당과 개인 거주 공간의 관계

기존의 구조가 조적조이므로 입면에 새로운 레이어를 덧대어 증축을 기존의 구조가 조적조이므로 기존 기존 입면에 새로운 구조 구조 레이어를 덧대어 수평 수평 증축을 한다.한다.

Structure

주거동 증축 후 평면 타입 복도형 주거가 되므로 주거 단위의 진입구에 완충공간을 제안한다. 남쪽으로는 테라스 방향으로 주민의 선택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 공간으로 수평 증축된다.

기존의 기존의 입면 입면 기존의 입면

새로운 덧대기 구조 구조 덧대기 새로운새로운 구조 덧대기

수평증축과 새로운 입면 수평증축과 함께 함께 새로운 입면 형성 형성 수평증축과 함께 새로운 입면 형성

주차주차 방안방안 제시제시 기존의 낙후된 상가는 커뮤니티의 기능을 제대로 못한다. 따라서, 공간과 상가의 기능을 합쳐서 새로운 공용공간으로 제안한다. 기존의 낙후된 상가는 커뮤니티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하지 못한다. 따라서, 주차 주차 공간과 상가의 기능을 합쳐서 새로운 공용공간으로 제안한다. 공간과 자전거 정류장의 기능을 결합하여 생활권 내에서 교통수단의 변화가 일어나도록 제안한다. 또한 또한 주차 주차 공간과 자전거 정류장의 기능을 결합하여 생활권 내에서 교통수단의 변화가 일어나도록 제안한다.

상가 재건축 상가 재건축

이동하는 상시로상시로 이동하는 차량을차량을 수용 수용

붙박이붙박이 주차를주차를 수용하는 주차타워 수용하는 주차타워

교통수단의 TRANSFER 교통수단의 TRANSFER

주거동의 앞마당을 주민들이 활발하게 사용한다.

02

5

주거동 내 기존 옥외 주차장이 넓은 공용마당으로 이용된다.

15 M

Public

Semi-public

Private

Semi-private

Private Semi-public

Public

Semi-public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30 131

8 주거동 디자인 RENOVATION PROCESS DIAGRAM

5층 복도에서 앞마당을 바라보다.

2층 복도에서 앞마당을 바라보다.

기존의 입구

PLAN

‘I’자 매스가 북쪽으로 증축되어 편복도 형성

남족으로는 테라스 및 실내 공간이 증축되고, 북쪽으로는 복도가 증축된다. 크게 ‘I’자 매스 4개가 붙어 새로운 거주 공간을 제안한다.

두개의 새로운 복도를 하나의 영역성을 CORE로 묶어서 갖게되는 거주 공간에 새로운 조감도 앞마당 제공 리노베이션을 통해 7단지

‘I’자 매스가 남쪽으로 증축되어 테라스 및 실내 공간 증축

중정형 주거 형성

리노베이션을 통해 새로운 영역성을 갖

주거동 증축 후 평면 타입 복도형 주거가 되므로 주거 단위의 진입구에 완충공간을 제안하다. 주거동 증축 후 평면 타입

남쪽으로는 테라스 방향으로 주민의 선택에 복도형 주거가 되므로 주거 단위의 진입구에 완충공간을 제안한다. 따라 실내 또는 실외 공간으로 수평 증축된다. 남쪽으로는 테라스 방향으로 주민의 선택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 공간으로 수평 증축된다.

Typical plan

기존의 높은 나무가 있던 길이 과천의 새로운 경관축이 된다.

Private

Semi-private

Private Semi-public

단지의 경계를 바꾸면서 생겨난 외부 공간에 자전거 정류장이 마련된다.

Public

주거동이 남쪽 방향으로 도로와 만나는 부분을 따라 텃밭길이 조성된다.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Potential of Busan 부산의 정체성과 잠재력을 재조명한다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남포동을 가다 - 부산의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 부산을 대표하는 원도심으로써 수많은 시민의 기억과 삶의 모습을 간직한 남포동은 옛 시장과 광 복로, 그리고 부산국제영화제의 시발점이 된 수많은 문화공간들이 있었던 부산의 역사적 장소이다. 지금은 비록 해운대 등 신개발지의 초고층 건물과 화려한 문화 및 상업시설들에 비해 경쟁력을 잃 어가고는 있지만, 우리는 도시탐색과 mapping의 과정을 통해서 남포동의 숨은 잠재력을 다시 찾 아낼 수 있었다. 이 스튜디오는 학생들이 현지 도시답사를 통하여 도시를 탐색하는 가운데 자신이 스스로 문제를 찾 아내고, 그 문제의 원인을 철저한 분석과 설득력 있는 mapping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규명한 후, 도 시설계적 전략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발전의 방향을 제시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치열한 상업의 논리가 지배하는 서민들의 공간, 시장에서 건축이 할 수 있는 역할은 과연 무엇일까? 학생들은 남포동의 상업거리를 돌아다니며 각자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구체화하였다. 주차문제 와 교통체증의 문제, 화재시의 안전문제, 상업가로의 정체성문제, 책방골목의 고립과 쇠락문제, 공간 적 격리와 정체성의 분리 문제, 문화공간 쇠락 및 인지성의 문제 등 남포동의 각 지역이 당면한 쇠 퇴의 원인을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하고, 이를 하나의 주장들로 구체화하였다. 최종 결과물은 구체적 설계안이라기보다는 설계적 전략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남포동의 미래를 위해 수많은 이해관계당사자들을 설득할 수 있는, 상업의 논리 너머의 건축적 전략이 도시를 설계 해가는 또 하나의 방법론일 것이다.

Nampodong is historical old center of Busan, the second big city in Korea. The open street markets and commercial corridors with various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important place of memory and life for citizens for decades. Though Nampodong is losing its competitiveness due to other newly development areas in Busan such as Hae-woon-dae, it still retains various assets and potentials to continue to be the center of public life. From the field trip, students found the issues and problem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demonstrated their observation and assumptions through thorough mappings and analysis. Then with the urban strategy, they suggested new direction of developments in various locations of Nampodong. The problems focused by students include: parking shortage and congestions, fire safety, the deteriorated and isolated second-hand book store street, the identity of commercial district, vanishing cultural facilities, the cinema street identity, etc. In the most competitive commercial area in the city, what would the role of architecture? In today’s practice, especially in areas like Nampodong with the most low-cost buildings, it is very hard for architects to intervene with design solutions. The suggestions proposed are rather strategy than design itself. We expect the urban strategies verified by case design solutions be more effective to convince various stakeholders beyond their own interests and tastes.

132 133


Jagalchi Market Embraces the Sea 바다를 품은 자갈치시장 김부경 Bukyung Kim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History 부산 아지매가 만든 자갈치시장

점점 현대화 되어가는 시장건물

1910년 1970년 개장

1924년

1974년

부산 남포동을 대표하는 자갈치 시장에는 상반된 두 개의 대표적인 이미 지가 있는데, 하나는 ‘자갈치 아지매’이고, 또 하나는 현대식 자갈치 시 장 건물이다. 주로 노천시장에서 장사하는 ‘자갈치 아지매’들은 6.25전 쟁 피난민이 만들어온 자갈치 시장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반면, 새롭게 개장한 신식의 자갈치시장 건물은 보다 현대화된 이미지를 조성하고 있다. 동선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의 영역이 공존하여 통일된 정체성을 형 성하지 못하는 것을 문제점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 두 영역을 적 극적으로 연결하는 동선을 제안한다. 노천시장 앞에 있는 해안으로의 접근 을 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분위기의 해변공간이 두 영역을 이어주는 매개 체가 되도록 하였다. 사람들은 자갈치시장에서 쇼핑과 식사는 물론 바다 를 감상하고 산책을 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자갈치 시장의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Busan Nampodong Jagalchi market, which was formed by refugees after the Korean War in 1950s, is represented by female sellers called ‘Jagalchi Agimae’ who sells seafood in the open market. On the other side, the new Jagalchi market building built in 1970s became the icon of modernized Jagalchi market and formed its own zone and circulation separated from the old open Jagalchi market. These two incompatible situation formed by two markets, one as old open market and the other as the new building creates conflicts between sellers and segregate public access. I suggest two strategies: first, active public area at the waterfront that serves both markets and second, a public pedestrian circulation route for tourists that connects both markets. The visitors to Jagalchi market will be able to enjoy the vibrant atmosphere of historical Jagalchi market with various public amenities 1 at waterfront.

1931년 1986년

1950년 현재

1960년대

1

1970년대

2 1

1990년대 1

2

1

2

2

1

2

2

2000년대

1

1

2

2

3

5 5

4 4

7 7

8 8

9 9

10 10

11

6

6

3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Strategy 1. 입구성을 강조할 수 있는 설치 : 안내지도, 안내시설, 영상

자갈치시장

노점상과 건물로 분리

분위기의 부조화

보다 큰 하나의 자갈치 시장으로 재탄생

Before

After

2. 노점상과 건물의 프로그램 연계

Before

After

3. 노점상과 바다의 연결 증대

Before

After

4. 항구 공간의 이용 시간 재편성

1 입구

안내판 설치

2 설치물

자갈치 시장으로서의 접근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시장 이미지 의 설치물, 안내판, 안내지도, 안내시설 등을 설치

3 자갈치시장 현대화 건물

자갈치 시장의 역사와 철에 맞는 수산물을 알 수 있는 전시관을 만들어 자갈치 시장과 수산물의 이해를 돕는다.

4 현대화 건물 수변공간

원래 독립적이고 고립되었던 공간을 노점상 쪽으로도 진입이 가 능하게 하여 유동적인 동선을 만든다.

5 수협공판장 및 작업장

시간대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광객들 또는 부산 시민들이 수 협공판장에서의 작업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6 산책로

바다와 시장 사이에서 바다와 시장의 분위기를 동시에 느끼며 산책할 수 있는 공간이다.

7 야외가든

수산물을 포장해 야외에서 먹을 수 있음

8 바다와 가까운 넒은 계단 앉아서 낚시를 하는 공간, 바다를 감상하는 공간 9 노점상 확대

노점상을 바다로 통하는 길 양 옆까지 확대시켜 시장의 분위기 를 강조하면서 동선을 바다로 이끈다.

10 잔디정원

잔디밭에 앉아서 좀 더 깊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11 데크

바다를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간이 데크로, 바다에서 작업하 는 밤-새벽 시간대에는 배를 대기 위해 데크를 접을 수 있다.

Before

After

자갈치 축제 시

5. 수협 공판장과 건물의 시각적 연계

134 135


Substitution of Space 공간의 치환으로 구제거리를 밝히다 이민희 Minhee Lee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구제거리 전경 부산의 주요 관광지 중 한곳인 남포동 구제거리를 선 택해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발견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쇼핑을 위해 진열된 수많은 옷가지들이 도로의 대부분 을 불법 점유하고 있어 화재발생시 위험성이 높고, 둘 째, 쇼핑객을 위한 휴게공간이 없다는 점이다. 이를 개 선하기 위해 다양한 화재 진압 방법을 분석한 결과, 세 개 블록으로 이루어진 구제거리 구간은 3.5m의 소방도 로 확보가 가능한 보행자전용도로로 전환시 화재 진압 이 용이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불법적으로 보행 로를 점유하여 물건을 전시하는 대신에 합법적으로 디 스플레이할 수 있는 공간을 휴게공간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 건물 1층의 입면은 휴게공간 과 진열공간이 결합된 입체적 파사드로 만들어 보행자 의 시선 방향에서 보다 재미있는 쇼핑경험을 제공하도 록 하였다. 또한 가로의 교차점에는 쇼핑객을 위한 보다 넓은 공공휴게공간을 노드로 조성하였다.

Status

N

By substitution of space, it improves vintage clothes street. The shops at vibrant street called “Gu-je street” in Nampodong sell the vintage clothes. Though the street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areas to visit for tourists, I discovered the potential danger of disaster in case of fire. The clothes displayed in front of the shops occupy most of the street and leave only 2m width of passage space for pedestrians and it is not enough for fire engine to pass through. To ward off the danger, I analyzed various fire-fighting schemes for the street and suggest to convert the street into pedestrian only zone with 3.5m width of passage available for fire engine. Instead of illegal display on the street, each shop will have legally allowed area for display on streets by exchanging their shop area with the right to occupy the street. The three-dimensional façade system will provided more visible surface of display for people walking along the street and allow more compact display system. The benches are also incorporated into this façade system to provide resting area for shoppers. The intersections of three blocks are formed into nodes with public resting area.

Problem Dangerous(Current situation)

2.5m 도로

display 현황

Safety(Original road)

Master plan SCALE

15M

40M

80M

6m 도로 소방자동차 통행로

15m 40m

80m

15m 40m

80m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36 137

N

Concept N

Disappear(Open)

Appear(Display) 02

Typology

7

Master plan

25 M

SCALE 15M

x1

=

x4 Display 공간

Entrance

40M

80M

=

기존 코너 공간

Display 공간 휴게공간 Display 공간

구제거리 로드 뷰

Program

3개의 블럭 ("결절부 휴게공간 치환)

치환으로 인한 개선된 공간

3개의 블럭 (결절부 휴게공간 치환)

1.5m

불법 점거

치환

좁아진도로

불법 점거

불법점거 좁아진 불법점거 도로

치환

진입부 인식부족 휴게공간 부족

진입부 인식부족 & 휴게공간 부족

진입부 인식확보 진입부 인식확보 & 휴게공간 확보 휴게공간 확보

1m

건물의 모서리를 제거해서 좀더 개방된 공간을 만들어 준다. 그로인해 줄어든 공간을 합 법적으로 1m의 공간을 내어줌으로써 공간을 치환하여 더 나은 구제거리를 만들게 된다.

합법적 점거

넓어진도로

합법적 점거 (소방도로 확보) 합법적 점거 넓어진도로 합법적 점거 소방도로 확보

좁은 시야 좁은 시야

A Type 0

2

5

10 M

B Type

넓은 시야 확보 넓은 시야 확보

A + B Type

Elevation


Empty Fill Connect 비우다 채우다 잇다 이하진 Hajin Lee 유다은 스튜디오 Daun Yoo Studio

부산의 원도심인 남포동의 쇠퇴 이유 중 하나는 심각한 주차난 이다. 주요 주차 공간에서 광복로와 피프광장과 같은 주요 목적 지까지 거리가 너무 멀다는 문제와,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는 주차 건물에 진출입하는 차량들이 좁은 길을 메우고 있어서 보행환경 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러 작은 주차건물을 하나로 통합하면서, 이용도가 낮은 블록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복합건물 을 제안한다. 1층에는 다양한 가게와 카페, 마당이 있고, 상층부 는 충분한 주차공간으로 제공되며, 주차장 진출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일방통행 도로로 정비된다. 방문객들이 남포동의 주요 목적 지를 향해 접근해가는 주요 통로가 보다 재미나고 다양한 경험의 공간으로 변하게 된다.

The decline of the old downtown in Busan, Nampo-dong, is partly due to its serious parking problem. First, the major parking areas are too far from the key destinations, such as BIFF-plaza or Gwangbok-ro. Second, cars getting into many scattered small parking structures occupy narrow streets and exacerbate pedestrian environment. The proposal integrates these small parking structures into one mega-structure. This new multi-functional building connects several blocks with various retails, cafes, and courtyard spaces on the ground floor and many parking spaces on the second floor and above. Visitors to Nampo-dong will eventually enjoy their sequence of moving from parking to the major destination spots.

Site Analysis

용두산공원 공영주차장

노면주차장

주차타워

건물 일부 주차

노상 주차장 A

B

주차가능 공간에서부터 도보로 걸리는 시간, 거리 분석

Concept

비우다

주차가능 공간으로 접근이 취약한 부분 발생

A

채우다

대안 : 주차시설 확충

B

잇다

블럭 내부의 진입이 힘든 건물들을 철거하고 주차공간 확보 각각의 주차장을 띠로 연결

대청로와 국제시장을 잇는 수동적인 통로의 길이 아닌 적극적인 경험의 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함

폭이 9m인 길의 한쪽 면을 노상주차로 활용 12대의 주차 수용 가능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38 139

N

0

0 2

1

3

6

1F

6M

12 M

2F

주차장을 잇는 공중가로의 모습 : 남포동의 행사를 알리는 sign효과

3F

4F

1층 내부 모습 : 중간중간에 건물 내부로 빛이 들어오도록 뚫린 공간 형성


가좌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대흥역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Railway Park 경의선 지상부 폐철로, 시민이용공간으로의 환원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경인철도공원변을 따라서… 우리 스튜디오는 2010년부터 공사를 착수하여 현재 진행중인 서울의 경인철도공원이라는 도심공원 과 그 주변을 거닐고, 생각하고, 의논하고, 제안하고, 그려가면서 한 학기를 보냈다. 6.3km의 철도공 원중에서도, 공덕동 로타리 ~ 가좌역 구간을 다뤘다. 경인철도공원의 전반적인 분석은 전 스튜디오가 함께 진행하여 자료를 공유하였고, 그 후에는 각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장소나 주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다루었다. 우리 주변환경에 관 심을 가짐으로서 도시읽기를 경험하고, 이를 통해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주제와 비젼을 도출해 내 길 기대했다. 그리고 개인적인 관심주제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과 관점을 하나의 도시적 제안으 로 정리하였다.

Along the railway park…. Our studio spent a semester on wandering, thinking, discussing, proposing, and drawing along the Kyoung-in railway park in Seoul, which is on construction since 2010. Out of the 6.3km railway park, we especially concentrated from Gongduk Rotary to Gajoa station. After sharing the general analysis of the site done by the whole studio, each student started an individual analysis on a specific point of the site. The aim was to learn how to read our surroundings (urban reading), and then focus on an urban theme of personal interest.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is personal interest was suggested as an urban proposal. 공덕역

효창공원역

140 141


Spread the Green 주변부로의 녹지 확장 서성은 Seongeun Seo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N

0

10

30

Master Plan

60 M

경의선 철도공원은 폐선된 경의선(용산선)의 지상부에 선형 테마공 원을 조성하는 것이다. 총 6.3km에 이르는 구간 중 신촌로와 와우교 사이의 구간계획을 새롭게 제안한다. 이 구간의 공원은 신촌대로로 인해 연속된 공원이 아닌 분절된 공원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대로가 아닌 골목길을 통해 접근하면 연속된 공원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골 목길을 통한 접근과 주변부와의 연계에 대해 고려해보고자 한다. 또 한 현재 계획에는 부재한 공원 남쪽부분으로부터의 진입과 남쪽부 분의 블록들을 재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원의 녹지가 주변부 로 확장되어 도심 내에 새로운 녹지 공간이 형성된다.

Gyungeui-line Rail Park is construction from the closed Gyungeuiline linear theme park. I suggest a new plan of section between sogang-ro and wow-gyo of whole line, 6.3km. Now the region is not linear park because of sogang-ro. However, if you go to the park through an alley, you can see the uninterrupted linear park. So, I plan the park through an alley and relation with the park near regions. Also, I think enterance into the park from south parts and redevelopment of block of south parts. Consequently the park’s green is expanded to the park near region.

Site Analysis

용도지역

대로에 의한 녹지축 단절

녹지확장 가능성

골목길을 통한 접근

새로운 대지의 가능성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42 143

Block B 남쪽으로부터의 진입로를 축대를 이용해 구성함으로써 접근성을 개선하였다. N

Concept

BLOCK C BLOCK A

공동주택단지, 계단과 경사로를 통한 녹지의 확장

BLOCK B

0 10 30

주변 건물에 대응한 프로그램 배치

60 M

Block A 골목길과 공원이 시각적, 공간적으로 차단

Block B 노후건물, 불법건축물, 공지가 많음

Block C 기존의 철로로 인해 낙후

Suggestion Block A. 신촌 대로에서의 접근성 개선 Block B, C. 공원 남쪽 블럭의 재개발 및 접근성 개선 Block B 공원보다 낮은 대지에 위치한 블럭에 주민공동공간을 두어 공원과 연계하여 단절된 블럭에서 소통의 블럭으로 변화

Block A 공원과 단절된 블럭을 계단과 경사로를 통해 시각적·공간적으로 연결

Block C 공원보다 높은 대지에 위치한 블럭에 갤러리겸 작업실 공간을 두어 야외전시공간과 공원의 연계를 통한 녹지의 확장

Part1 Elevation 0

10

30

60 M


Rethinking Redevelopment 재개발을 다시 생각하다 신용선 Yongsun Shin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새로 생길 공원 부지 주변보다 이미 조성되어 있는 공원의 주변상황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공덕역 주변은 기존의 건물들을 밀고 고층 빌딩이 많이 들 어섰고, 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대흥역 주변으로는 옛날 길의 흔적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건물의 높이도 대체로 낮다. 철로를 마주하고 있던 건물의 뒷면이 공원을 마주 하게 되면서 좋은 환경으로 180도 바뀌었다. 대흥 제1종지구단위구역은 2008년부터 역세권 시프트 로 개발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역세권 주변 상가 소 유자들이 임대소득 감소를 이유로 개발에 반대하 면서 별다른 진전이 없어졌다. 기존의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다 밀어버리고 새로 짓는 방식은 부작 용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무조건 전면개발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상황에 맞는 재개발이 필요 하다고 보았다.

I was interested in the circumstances of an area that has already been made the park. There are a lot of high-rise buildings near Gong-duk Station and there is a trace of old streets near Daehung Station. The buildings around the park are comparatively low-rise buildings. The condition of surroundings was switched from bad condition facing the railway to good condition thanks to the construction of the park. There was a redevelopment plan of the site in 2008, and it was an overall redevelopment plan. However, it was discouraged by building owners. This kind of redevelopment plans always cause side effects. Therefore, this site needs a new redevelopment plan that has careful consideration of its surroundings.

블럭

Site 대흥역

층수

(1~5층, 진할수록 고층)

용도

(보라: 상업, 노랑: 주거)

구역 선정 기준 노후된 건물을 중심으로 재개발 대상 지역을 정한 후 네 가지 다른 상황의 구역을 선정

A-1 A-2 B-1 B-2

재개발의 목표 밀도를 유지시키면서 좋은 환경으로 개선 + 각자의 환경에 적합한 계획안을 제시

오래된 건물

Perspective view of B-2

동선

(실선: 차량+보행, 점선: 보행)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

1 2 3 4

2

A-2 주택이 있는 골목, 대낮에도 삭막한 분위기 B-1 오래된 도시형 개량한옥, 좁고 막다른 골목 B-1 오르막길을 따라 늘어선 다세대주택 B-2 공원과 마주한 입면, 빽빽하게 늘어선 다세대주택 사이에 숨통이 트이는 저층 주거 부분

3

4

Characteristics

Solutions

A-1 6차선 대로변의 사거리 지하철역 입구 위치 좁은 인도 폭

A-1 부지를 채우는 상가를 계획 좁은 골목을 넓혀줌 지하철 입구 옆에 필로티를 주어 인도 폭을 넓혀주는 효과

A-2 2차선 보차공존도로와 접함 길을 따라 상업시설이 있고 블록 안쪽으로는 주거 위치

A-2 상업과 주거를 혼합하여 골목에 활기를 주는 효과를 기대 가운데에 주민의 쉼터 조성

B-1 블록의 한 가운데에 있는 주택들과 좁은 골목길 레벨 차이가 있음 단층 주거, 막다른 길 B-2 공원과 맞닿아 있는 부분 단차 때문에 블록 내에서 공원을 인지하기 어려움

144 145

주거 상업 Before

After

B-1 골목길을 걸어 다니는 느낌을 살리면서 건물을 배치 막다른 길이 생기지 않도록 함 B-2 공원과 맞닿아 있는 부분에 포켓 공간을 주어 쉴 수 있는 공간을 조성 골목길에서 이어지는 동선을 주고 deck를 조성하여 공원과의 연계를 높임

N

A-1

0 1

3

A-1 Section

6M

B-2

0

1

3

6M

B-2 Section

0

10

30

60 M

Master Plan


Rotary, Complex Station and Promenade 로터리, 복합역사, 그리고 산책로 이은정 Enjung Lee 이소진 스튜디오 Sojin Lee Studio

Condition 홍대입구역 트리플 역세권 : 2호선, 경의선, 공항철도

경의선 (B1) 공항철도, 경의선 대합실 (B2) 2호선 대합실 (B1)

공항철도 (B4)

2호선 (B2)

Issue in Site

녹지축 '두번'의 단절

철도공원, 마포애경타운 계획 부지

경의선 철도공원은 용산역부터 가좌역에 이르는 경의선 폐선부지에 2015년 까지 조성될 계획이다. Site는 홍대입구역 부근으로서, 이 Site는 현재 공원화된 경의선 철도공원의 두 구간 중 하나에 속하는 부지이나, ‘동교동 로터리’에서 뻗어나오는 대로에 의해 단절된 다. 또한 건축 예정인 마포애경타운의 경우, 현재 계획안은 산책로 의 축을 완전히 가로막는 형태로 계획되어 있다. 따라서 대로와 기존 복합역사 계획안, 두 가지 요소로 산책로가 두 번 단절되는 현 site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기존 철도공원 계 획의 소극적인 지하보도 계획을 수정하여 좀 더 산책로의 연장선 상에서 계획함으로써 주변 환경 및 진행 사업들과 어우러지는 새 로운 지하 네트워크의 형성 및 산책로와 연계되는 복합역사의 저 층부 계획을 제안한다.

In the past, Kyung-ui line passed above ground, but today it is going to be constructed of underground railways. Thus, the ground site of Kyung-ui line would be changed to urban public park. The Site in my project is near by “Hongdae” subway station. This Site is one of two completed areas changed from Kyung-ui ground railways to urban park. But, “Dong-gyo dong” rotary in this Site make this green axis divided, and also, there are no crosswalks. Thus solve the problem dividing green axis twice by “Dong-gyo” rotary and existing masterplan of Complex station. Modify the existing pedestrian underpass plan of Kyung-ui urban park and design new underground network connecting surroundings and construction project plan near my sit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ground level of complex station from pedestrians’ viewpoint.

Exterior View


ARCHITECTURAL DESIGN STUDIO 6

146 147

기존 계획안

0

10

30

60 M

Master Plan

Proposal

Shops along the street

녹지축 주변과의 연계

Site의 왼쪽 저층부 중점으로 산책로의 축 이어가기 홍대문화의 연계, 기존 주변 공원 및 건물들과의 연계, 지하 주차장 건설계획과 연계하여 지하 네트워크의 형성 및 연결 Site의 오른쪽 상업(매스)의 축 이어가기 복합역사의 '상업'매스 충족 + 복합역사의 '호텔' 타워부 계획

기존 복합역사에서의 프로그램 수용 상업시설, 비지니스 및 backpackers 호텔

새로운 프로그램 제안 문화시설 (공연센터, open library, sunken garden)

복합역사 상업 문화공간 호텔 경의선 플랫폼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ARCHITECTURAL DESIGN THESIS 광범위한 개념의 도시 및 건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지계획, 도시적 맥 락 속의 건축물, 새로운 건축적 유형 및 원형(Typology&Prototype) 등 다양 한 디자인방법론을 탐구하는 졸업설계 스튜디오이다. 4학년 2학기의 '건축졸 업주제연구' 강의에서 발전된 건축적 개념, 프로그램 및 대지분석을 바탕으 로 사회문화환경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건축 디자인으로 완성한다. 건축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방법 론을 제시하고, 단일 건축물 혹은 단지계획의 통합설계를 완성하여 건축가 로서 종합설계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 서의 성과물 그리고 최종 결과물들을 종합하여 졸업 전시회에 출품 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STUDIO TUTORS: Tonghoon Lee Kyungeun Kwon Chihoon Lee


Connecting the Park by Community 두 공원을 잇다 김고은 Goeun K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0 151

대상지는 용산 2가동 마을이다. 이곳은 해방 직후 서울시에서 최초로 무허가 판자촌이 형성된 곳으로 오래된 도시 조직 들이 남아 있어 급한 경사에 조밀하게 형성된 고밀도의 도시주거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곳은 녹지축의 일환으로 전 면 철거 예정 지역이다. 도시 포맷을 통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도시 개발은 지양해야 하는 방법으로 공원이 라는 차원에서 그 취지와 목적성에 맞지 않는다. 용산 2가동 마을이 가지고 있는 기억을 보존하면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도시 재생을 제안한다. 이로써 주민 들의 요구상황이 반영된 개선된 마을로, 용산 미군기지의 공원화로 인해 용산공원과 남산공원 사이에서 녹지와 문화가 공존하는 더욱 의미 있는 지역이 되길 기대한다.

The site is Yongsan 2-ga-dong where is situated between the Namsan Park and the Yongsan military base. After the Korean war, there was the first shanty town where we can see the steep highdensity urban residential to this day. But Seoul city announce a plan when the Yongsan military base will be designed as a civil park, they will demolish this village as the greenway project part. Making a park like this process I think is not the role model with its purport and we have to avoid that. I suggest a new master plan that preserve the memory of Yongsan 2-ga-dong to reflect the voice of residents. So we can expect not only a village that will be improved with the comments of residents but also a village where has a green and culture that coexist into the Namsan park and Yongsan civil park.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공 원 면 적 연 면 적

서울시 용산구 용산2가동 해방촌마을 공원 및 주민시설 약 25,830m² 약 6,310m² 주민시설 각각 2,268m²/ 1,197m²/ 1,167m²


Goeun Kim | Connecting the Park by Community

Site B

용산 2가동은 구불구불한 길과 불규칙한 블록으로 이루어 진 마을로 1~3층의 저층형 고밀도 주거로 이뤄진 지역이 다. 가로변을 따라 학교 및 상업시설들이 연속적으로 분 포되어 활발한 생활 가로가 형성되었다. 또한 남산과 바 로 인접한 곳이며 높은 곳에 위치한 구릉지 주거지로서 경사가 매우 급하여 보행자, 자동차 통행에 불편한 환경 을 제공하고 있다.

A 불규칙한 블록

남산

Site Analysis

미군부대

용산 2가동에 오래 전부터 발달 된 오거리를 중심으로 산미군기지와 남산 공원과 접해있는 부분을 사이트로 했다. 대부분 비쾌적한 북서향의 벽돌구조의 주거이며, 는 지리적 특성인 경사지에 의해 발생하는 배치에 따른 제점과 노후된 주거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용 정 이 문

Section A 반포로

용산중고

Section B

철근콘크리트 벽돌 블록 일반 목조

구조 현황 대상지

허무는 건물

공원의 가능성

0 - 10년 10 - 20년

사이트 분석을 바탕으로 비쾌적 한 건물들을 최소한으로 허물되 최대한으로 공원을 잇기 위해 직선으로 건물을 허물고 이 띠 를 따라 주민 시설이 있는 새로 운 녹지축을 제안한다.

20 - 30년 30 - 40년 40 - 50년 50년 이상

경과년 수

N

노후 건축물

공원을 따라 다양한 행위가 일어남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2 153

Problem 낙후된 시설 급경사 공원 및 오픈 스페이스 + 사회적 교류 활동 담을 만한 공간

채광의 문제 통풍의 문제 주민들

이웃간의 교류

죽은 재래시장

상인

시장 시설 공간 확보

공동 텃밭

잠재적 가능성

주차 문제

학생들

차량의 위험 공동체 의식

쉴 공간 필요

시장, 상업 시설섷

공부방 / 스터디방

주민, 상인, 학생을 타겟으로 잡고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이 마을의 특징인 공동체 의식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동아리 방

Program 녹지와 주민 시설 크게 2가지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공원

텃밭

쉼터

놀이터

P

MARKET

시장

문화

모임

스터디

카페

주차

경사극복

Proposal 비쾌적한 주거를 허물고 용산 공원을 주거 영역까지 끌어들임으로써 공원을 확장시키고 기존 주거용 도 땅이었던 용산미군기지 일부에 주민들을 이주시켜 그들을 위한 새로운 쾌적한 주거를 제공한다. 이 로써 새로운 녹지축을 계획하고 경사로를 최대한 극복(1/10)하는 공원 메인 길을 구상하여 이 길을 따 라 주민들 위한 시설을 배치하고 이와 함께 공원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커뮤니티 녹지축을 제안 한다. 1. 기존 남산 산책로

2. 가로수 길

3. 녹지축 제안

비쾌적 주거 허물기

공원의 연장

공원과 주거의 절충

Main 길

Community 시설

공원 Program

4. 용산 공원


Goeun Kim | Connecting the Park by Community

Park Design

보는 녹지

공원을 구성하는 녹지를 보는 녹지, 밟는 녹지, 수직 녹지 3 가지로 계획하여 시각적으로도 녹지가 연속되도록 제안한 다. 공원의 길을 따라 공원의 다양한 녹지와 여러가지 공원 관련 프로그램들이 다양한 paving으로 배치된다.

공원 녹지구성

밟는 녹지

수직 녹지

햇빛 잘 드는 영역 텃밭 제안 텃밭 사용 세대 영역 소 : 12세대 이하 중 : 12~16세대 대 : 16세대 이상

텃밭은 해가 잘드는 쪽에 배치하여 사용하 는 세대 수의 영역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 며 텃밭은 그늘 공간, 준비 공간, 창고, 작 업 공간을 한 세트로 한다. 계절에 따라 또 는 주민들이 재배하는 식물에 따라 다른 풍경을 볼 수 있길 예상한다.

놀이방, 어린이 집 놀이터 제안 길가 주변 운동 시설

놀이터는 유아 관련 시설이 100m이내 인 곳에 주로 계획하였으며 안전이 최우선인 만큼 감시의 눈이 필요 하기 때문에 길가 및 어른들이 자주 이용하는 운동시설과 같 이 배치 하였다.

평상 데크 마루 데크

데크의 기능을 평상 데크, 마루 데크 두 가 지 종류로 분류하여 쉬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데크를 배치했다. 평상 데크

일시적 쉼터 (bench)

마루 데크

다양한 활동 (table)

Community Facilities 경사가 7m이상 나는 곳에 커뮤니티 시설을 제안함으로써 경사를 활용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건물 내부에서 공원 길이 보이도록 창을 계획하였으며 기존에 허문 건물들에 서 나온 폐벽돌을 주민 시설 내장재로 사용하고자 한다.

HOUSING HOUSING

HOUSING HOUSING MARKET MARKET

E BRIDG

MARKET MARKET

COMMUNITY LOADING&PARKING

경사로

시장

CAFE CAFE 시장 쾌적한 장소

STUDY STUDY

ACTIVITY ACTIVITY

학생 시설 학생 시설

경사를 활용한 공원 커뮤니티 시설

문화 시설

CAFE CAFE EXHIBITION EXHIBITIONATELIER ATELIER AUDITORIUM AUDITORIUM

YONGSAN YONGSAN PARKPARK

문화 시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4 155

Master Plan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하며 쾌적한 시 장이 되도록 계획하고 주민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죽었던 시장 을 활성화한다. 길과의 소통이 더 원 활한 시장이 될 수 있도록 1~2층에 는 시장 관련 시설들, 윗 층에는 기존 의 상인들을 위한 주거를 넣었다. Market Facilities

텃밭

놀이터

경사를 활용하여 하나의 통로로 써 건물을 이용 할 수 있도록 계 획하였으며 주변 학교로 가는 길과 인접한 점을 고려해 학생 들을 위한 열람실, 동아리 방 등 의 시설을 넣었다.

데크

Students Facilities

운동시설

주거 안쪽에 위치한 건물인 만큼 주민 들을 위한 문화시설을 주로 계획하였으 며 자치활동을 위한 소규모 공연장과 스 웨터 직물 수공업을 위한 작업실, 공방 을 제안하였다.

Cultural Facilities


D.I.Y Your Cubics! 다 덕장 덕이요! 김령아 Ryungah K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56 157

강원도 동해시 묵호에 위치한 이 마을은 동해 바다로 부터 불어오는 바닷바람 과 따뜻한 햇빛을 느낄 수 있는 작은 마을이다. 과거 명태를 말리는 작업에 최 적화 되어 있던 자연환경에 의해 생겨난 마을은 주민들의 생활보다는 명태를 생산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때 묵호항의 번성으로 한때 사람들이 집집마다 자기집 앞마당에 덕장을 세워 명태를 말렸다. 하지만, 점점 명태를 생산하는 산업이 쇠퇴함에 따라 더이상 쓰이지 않는 덕장들과 비어지는 부분 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명태 산업을 돕는 동시에 비어지는 마을이 새로운 사람들로 채워지기 위해선 도시나 타지역에서 이 마을에 끝없 이 펼쳐지는 덕장의 모습을 소개시켜 주어서 마을의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려 한다. 새로 제시한 덕장 시스템은 기존의 일의 효율을 늘려주는 동시에 사계 절 마을 주민들의 유용한 수단이 될 뿐 아니라 마을만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주는 동시에 외부에서 사람들이 이용하고 다양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준다. 이 새로운 덕장 시스템은 외부 사람들에게 전망대, 캠핑장을 제 공해주는 동시에 주민들에게는 그늘막이나 주차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주민과 관광객이 동시에 만족하고 공존할 수 있는 그리고 마을이 지속 가능하게 되는 첫걸음이 되었으면 한다.

The town is located in Gangwon-do Donghae Mukho that you can feel the warm sunshine and the sea breeze blowing from the East Sea is a small town. Produc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is optimized to work past pollock dry village has focused on produce to pollock to rather than people’s lives. Once thriving mukhohang of people per household once established for pollock in the front yard of his house deokjang dried. But an alternative solution is required on the part of industry to produce increasingly Pollack is reduced. Newly proposed one deokjang system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existing seasons villagers be a useful tool, as well as the village’s identity that makes people from the outside and feel a variety of emotions. This new system provide to people outside the gazebo, camping or parking residents who geuneulmak can use the space. This can satisfy both residents and tourists, and make sustainable village that has been the first step.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강원도 동해시 묵호 진동 마스터플랜 및 마을회관 40000㎡


Ryungah Kim | D.I.Y Your Cubics!

Site Analysis

Level 산등성에 위치하여서 산등성에 고도는 높고위치하여서 주변 지형에고도는 비해 높고 주변 지형에 비해불었을 완만 완만한 지형으로 해풍이 한산을 지형으로 해풍이 불었을 때 타고 올라 갈수 있다.

때 산을 타고 올라간다.

Transportation

Water 남쪽으로 바다가 있어서 해풍을

남쪽으로 바다가 있어서 해풍 받는다. 지금은 근처 동해항의 을 받는다.쇠퇴한 지금은 근처 동해 개항으로 묵호항이 자리 항의 개항으로 쇠퇴한 묵호항 잡고 있다. 근처에 해안선을 따 라 동해바다의 해수욕장들과 묵 이 자리 잡고 있다. 근처에 해 호항 근처에 안선을 따라수산시장이 동해바다의발달하 해수 여 있다. 욕장들과 묵호항 근처에 수산 시장이 발달하여 있다.

해안선을 따라 발달한 동해 바다 해안선을 발달한 보기위 동해 의 관광지와따라 바다풍경을 바다의 관광지와 바다풍경을 한 해안도로의 사용량이 대부분 보기위한 해안도로의 사용량 이다. 현재 산 위쪽으로도 새로 도로가 났지만 마을사람들을 위 이 대부분이다. 현재 산 위쪽 한 도로로새로운 이전보다 마을로의 으로도 도로가 생겼 접 근이 용이해 졌다.

Population Density

Green

묵호항을 중심으로 산으로 올라 묵호항을 산으로 올 가면서 여러중신으로 갈래의 길이 만들어 라가면서 여러 갈래의 길이 지고 산등성이에 사람들이 판자 만들어지고 사람 집을 지으면서산등성이에 마을이 형성되었 다. 위로 올라 갈수록 밀도가마줄 들이 판자집을 지으면서 어 드는 양상을 보인다. 을이 형성되었다. 위로 올라

해안선을 따라 도로나 상업 시설 해안선을 따라 도로나 상업시 들이 들어 오면서 녹지의 비율 설들이 들어오면서 비 이 현저히 낮아졌지만녹지의 산이 위치 율이 그 현저히 산이 하여 이외의낮아졌지만 주변에는 녹지가 위치하여 많이 있다. 그 이외의 주변에는

녹지가 많이 있다.

지만 마을사람들을 위한 도로 갈수록 밀도가 줄어드는 형상 로 이전보다 마을로의 접근이 을 보인다. 용이해졌다.

덕장 이용 추세 FISH DRYING INDURSTRY

명태를 말리는 산업이 쇠퇴하고 마을정비를 위한 도로의 인프라로 인해 더욱더 마을의 덕 장의 갯수와 면적이 줄어들었다.

SITESEEING + INDURSTRY

늘어나는 빈집들 한때 불야성을 이루던 묵호항의 쇠퇴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어종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명태를 말려서 팔아 생계를 유지하던 주민들 이 서서히 도시나 외부로 나감에 따라 자연스 래 눈에띄게 빈집들이 생기고 있다.

LIFE

Interview

마을사람들의 쉴곳이 필요해

주민들을 위해 낙후된 마을 가꾸기

골목길 정비 마을회관 텃밭늘리기

기존 마을의 산업 돕기 -건조산업

냉동창고 겨울철 일꾼들의 숙소

사람 끌어들이기 -관광

견학 프로그램 볼거리 게스트 하우스

Before

After

INCREASED VISITOR NUMBERS

Proposal

외부사람들이 찾아와서 동네가 활기찼으면 좋겠어

Before

DIRECT SALE

Afte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주민들을 위한 시설 관광객들을 위한 시설 명태를 건조하는 산업을 위한 시설

Masterplan

158 159


Ryungah Kim | D.I.Y Your Cubics!

새로운 덕장 시스템 제안 Diagram

Program WINTER

cubic unit : 3.6 x 3.6 x 3 (m)

새로운새로운 덕장에덕장에 판 시스템 도입도입 판 시스템 겨울 : 명태 건조 작업시 덕장에 새로운

REST&PARKING

판 시스템 도입

겨울 : 명태 건조 작업시 명태건조

잔디보호 동시에 작업이 수월해짐

판부재를 제공하여 명태 작업 시에는 잔디를 보호하고 평소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가능

잔디보호 동시에 작업이 수월해짐

평상 평상

그물침대 그물침대 평상

판부재를 제공하여 명태작업시에는 잔디를 보호하고 평소에는 다양한 프 로그램을 이용가능

판부재를 제공하여 명태 작업 시에는 잔디를 보호하고 평소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가능

데크 데크 그물침대

데크

GREEN 식수대 식수대

캠핑장 캠핑장 식수대

벼룩시장 벼룩시장 캠핑장

벼룩시장

텃밭 텃밭 텃밭

주민들이 필요에 따라 직접 계획 주민들이 필요에 따라 직접 계획 : D I Y HAMMOCK

텃밭 텃밭 평상 평상 그물침대 / 놀이 놀이 그물침대/

CAMPING

더이상 쓰이지 않는 덕장부지의 덕장을 철거하고 주민들을 위한 필요 시설 을 계획하는 부지로 이용한다. 남아 있는 덕장은 노후도의 순서대로 새로운 덕장 시스템 제안하여서 그 시스템을 통해 겨울 뿐 아니라 봄-가을 동안 주 민들과 관광객 모두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이용 가능 하게한다. 시스 템은 최대한 간단하되 모든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용하고 꾸밀 수 있도록 판을 추가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사용이 가능하다.

Community Center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주민센터 계획 Concept

주민들을 위한시설 관광객들을 위한 시설 명태를 건조하는 산업을 위한 시설

cubic unit : 3.6 x 3.6 x 3 (m)

Process N

4 3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주민 과 관광객들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 분리

5

6

불고기를 말리는 산업이 발달 할 마을의 특징에 맞게 바람을 이용하기 위해 바람길을 만듬

1 2 3 4 5 6

마을회관 상점 박물관 게스트 하우스 피트니스 클럽 전망데크

2F

3

마을의 고지대에서 볼 수 있는 바다와 마을의 전경을 위해서 매스를 뒤로 밀음

1

2

주민들과 관광객 들의 소통을 위해 외부브릿지로 자연스럽 게 연결

0

1

3

6M

4

0 1

3

6M

4

1F

Section

160 161


Theater of Knowledge 디지털 도서관 2.0 김선진 Sunjin Kim 이동훈 스튜디오 Tonghoon Lee Studio

내가 원하는 책은 어디에서든 다운로드 받아 읽을 수 있고, 내가 직접 저작물을 출판하기도 하는 시대에 도서관의 역할은 무엇일까? 도서관을 그저 종이 책을 보관하는 수장고로 생각한다면, 도서관은 많은 우려와 같이 그저 역사 속으로 사라질 건물 유형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근 도서관의 지역 커뮤니티 로서의 기능이 부각되기 훨씬 전부터 도서관의 본질은 정보와 지식의 재생산이었다. 오히려 디지털 시대에 물질적인 자료의 부피에 구속되지 않게 됨으 로써 디지털 도서관은 그 어느 때보다 도서관의 본질에 충실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저자와 독자의 경계가 사라진 요즘 이러한 정보, 지식의 생산 공 간은 그 존재 의미가 더 클 것이다. 본 프로젝트의 사이트는 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42-1번지, 약 3만 제곱미터 가량의 부지이다. 이 곳은 원래 미국대사관 직원 숙소 부지였다가 현재는 유물 시굴, 발굴 등의 이유로 조사 중인 땅이다. 주변에 북촌 한옥마을, 인사동, 경복궁과 접하고 있어 주요한 곳이고 덕성여고, 덕성여중, 풍문여고 등 학교시설 과 가깝다. 이 곳에 공공디지털 도서관을 계획하여 오랫동안 높은 담으로 시민에게서 분리되었던 부지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곳으로 개방하고자 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위 용 대 지 면 연 면 층 건 폐 용 적

치 도 적 적 수 율 률

162 163

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42-1 문화 및 집회시설 36000㎡ 20000㎡ 지하1층-지상1층 25% 233%

We are living in a world where we can download anything, anywhere, anytime. What will become of public libraries in this kind of network age? Defining libraries as mere storage of books leads us to a simple answer;libraries will vanish. However, long before libraries’ role of as community centers was emphasized as nowadays, the essence has always been in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of knowledge. Moreover, libraries no longer have the physical boundary since contents have changed its form, which leaves the library to its pure essence. This kind of place for pure creativity and production will be more in need when the boundary between between readers and publishers no longer exist. The site of this project is in Songhyun-dong, Jongro-gu previously occupied by the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This place is now being investigated since historical remains of the Josun dynasty have been excavated recently. It is a site of many issues, facing the Bukchon village north, Insa-dong south, just a block away from the Kyongbok palace and surrounded by schools. I suggest a digital public library plan to open this airy 30000m2 space to citizens at last.


Paradigm Shift in Reading

Sunjin Kim | Theater of Knowledge Sunjin Kim | Theater of Knowledge Sunjin Kim | Theater of Knowledge

100%

Paradigm Shift in Reading Paradigm ParadigmShift ShiftininReading Reading The Digital Age age Industrial

Korea

Industrial age Industrial age

Information age

20 0 Korea

US

Korea Korea

US US

+

Networked age

Networked age Networked age

Design Goal

Conventional Library

I read All countries surveyed I read (Korea, US, LessFrance, than before UK, Germany, Japan) As much as before Less than before

France All countries surveyed (Korea, US, France, countries surveyed France All UK, Germany, Japan) (Korea, US, France, UK, Germany, Japan)

+

30% 30% 25 25 20 20 15 15 10 10 5 5 0 0

Korea

People People Powered Powered Publishing Publishing

20%-25%

20 15

US

25 20

(Book Volume) France

15

30% France 30% US 10 10 10 30% 30% 25 25 20%-25% 5 255% 5 5 4% 20%-25% 25 20%-25% 20 20 20%-25% 15%-20% 0 0 20 0 20 2010 2010 2015 2015 15 15 15%-20% 15 15 10 10 10 10 5% 5 5 4% 3% 5% 5 5 4% 3% 0 0 2010 2010 2015 2010 2015 2015 0 0 2010 2010 2015 2010 2015 2015

People Powered Publishing

E-Book

At First Sight..

25 20%-25%

Less than before E-book Market Share As much as before More than before Korea 15

than before AsMore much as before More than before

Information age Information age

Design DesignGoal Goal Design Goal

France

20

Fran 30%

30%

25

I read

60

40 Total Number of Books Read by E-book Readers 100% 100% 80 80 60 60 40 40 20 20 0 0

US

30%

80

3% 2010

?

?? Library

Reading Space

Experience

Stack Quantity of Information Read

Digital Library

Looking for the perfect book

? ?

?

Create Read

Quality of Experience

No stacks - Read everywhere!

Looking for the perfect space

Concept

Concept

Concept Concept

The idea is not to plan reading rooms surrounded by walls, but to define the whole site as a ‘reading place’ where people can carry e-books everywhere without boundary to rooms stimulate and share by wall idea is not to plan reading surrounded The idea The is not to plan reading rooms surrounded by walls, ideas. Astoato ‘Theater of Knowledge’ where of walls, communibut define the whole site as‘drama a ‘reading place’ wher The to idea is not plan reading rooms surrounded by but define the whole site as a ‘reading place’ where cation’ can spontaneously take place in such planned setting, but to define the whole site as a ‘reading place’ where people can carry e-books everywhere without people can carry e-books everywhere without boundary to boundary t the library will be aideas. place where canaof experience inspiring people can carryshare e-books everywhere without boundary to stimulate and share As ‘Theater of Knowledg stimulate and As ideas. a people ‘Theater Knowledge’ and production new spontaneously ideas. stimulate and share ideas. a of‘Theater of can Knowledge’ where of As communication’ spontaneously tak wherecommunication ‘drama of‘drama communication’ can take

where ‘drama spontaneously take place in such of planned library will be a place place incommunication’ such setting, plannedthecan setting, the library will be a plac place such planned setting,inspiring the library will be a place whereinpeople can experience communication and where people can experience inspiring communication an where people inspiring communication and production ofcan newexperience ideas. production of new ideas. production of new ideas.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64 165

Design Process B’ GL. natural access

roof A GL.

log-in zone log-off

stage park

wood deck @ bldg. level

A’

B

sunken plaza

sunken plaza

historical park

A-A’ log-out

sunken plaza

log-out

sunken plaza

historical park

A-A’

log-in

sunken plaza

B-B’ log-out

log-in

log-out

sunken plaza

informal

formal

informal

formal

informal

sunken plaza

B-B’ informal

formal

informal

formal

informal

Interior View


A’

A E P

E

1F

S M L XL

N

0

5

15

30 M

B1 B1 F


ARCHITECTURAL DESIGN DESIGN STUDIO STUDIO 7 187 ARCHITECTURA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

Site Condition Condition SiteSite Condition Site Condition Site Condition

Site Strategy Strategy SiteSite Strategy Site Strategy Site Strategy

Site Condition

18 19 19 18 16719 19

1918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166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7 +37m +37m +37m

Site Strategy

+37m +37m

m.schoolm.school m.school

+41 +41

Kyungbok Palace Palace Kyungbok Kyungbok Palace

+41

Kyungbok Palace

Kyungbok Palace

m.school m.school

+41 + 33 + 33

+41

+ 33

+ 33

+ 33

+35m +35m +35m +35m

x8 xx 88

x 8+35m

The site of site thisof project is 42-1,isSonghyun-dong, Jongro-gu, The this project 42-1, Songhyun-dong, Jongro-gu, x8 The site ofsite thisof is 42-1, Songhyun-dong, Jongro-gu, The site ofproject this project project 42-1, Songhyun-dong, Jongro-gu, The this isis42-1, Songhyun-dong, Seoul, Seoul, previously occupied by theby embassy of theJongro-gu, United +31m previously occupied the embassy of the United Seoul, previously occupied bythe the embassy the United +31m+31m +31m The site of this project is 42-1, Jongro-gu, Seoul, previously occupied by Songhyun-dong, the embassy ofofof the United Seoul, previously occupied by embassy the United States.States. This place is now being investigated as historical This is now being investigated as historical States. This place place is now now being investigated as historical Seoul,States. previously occupied bybeing the embassy ofasas the United States. This place is now being investigated historical +31m This place is investigated historical remains of the Josun have been excavated. It is a site remains ofof the Josun dynasty have been excavated. a site remains thedynasty Josun been excavated. aissite States. This is nowdynasty being investigated as Ithistorical remains of theplace Josun dynasty havehave been excavated. isItaItisItsite Anguk st. remains of the Josun dynasty have been excavated. is a Anguk st. Anguk st. of many issues, facing the Bukchon village north, Insa-dong Anguk st. of many issues, facing the Bukchon village north, ofsite many issues, facing the Bukchon village north, remains of the Josun dynasty have been excavated. ItInsa-dong isInsa-dong aInsasite of many issues, facing thefacing Bukchon village north, Insa-dong of many issues, the Bukchon village north, south, south, and just a just block away from the Kyongbok palace. south, and just aa block block away from the Kyongbok palace. Anguk st. and away from the Kyongbok palace. of many issues, the Bukchon north, Insa-dong south, and just facing aand block fromvillage the the Kyongbok palace. dong south, just aaway block from Kyongbok palace. There are also some suchaway as Duksung girls’ school, or or or There are alsoschools some schools such asasDuksung girls’ school, There are also some schools such Duksung girls’ school, Natural ow into the site is intended by landscaping the entire site as ascaled giant giant step for meeting all boundary at ground height, and to giant step for meeting all boundary at ground height, and areare scaled tostep south,are and just a block away theDuksung Kyongbok palace. There also some schools suchfrom as Duksung girls’ school, or There are also some schools such as girls’ school, giant stepmeeting for meeting all boundary at ground height, and are scaled step for all boundary at ground height, and are scaled to to Pungmoon girls’ school surrounding the site. I suggest Pungmoon girls’ school surrounding the site. I site. suggest a a human girls’ school surrounding the I suggest agiant human sizefor for various uses, such as reading, chatting, etc. Therefore, for meeting all boundary at ground height, and are scaled toetc. human sizeTherefore, for size various uses, such as reading, chatting, Therefore, TherePungmoon are also some schools such as Duksung girls’ school, or Pungmoon girls’ school surrounding the site. I suggest a or Pungmoon girls’ school surrounding the site. I suggest human size for various uses, such as reading, chatting, etc. digital library, public library, tearing down the fences which have human giant step for meeting all boundary at ground height, and are scaled to size for various uses, such as reading, chatting, etc. Therefore, digitaldigital public tearing down the fences which have access is possible from allsides, sides, inviting people totothe library an open public library, tearing down the fences which various as reading, chatting, etc. Therefore, access isaspossible from access is uses, possible from all people the library as an open Pungmoon girls’ school surrounding the site. I and suggest ahave digital public library, tearing down the fences which have abeen digital public library, tearing down the fences which have access issuch possible from all inviting sides, inviting people to the library as an open hiding this place for so from long from public to open human size for various uses, such as reading, chatting, etc. Therefore, access is possible from all sides, inviting people to the library as an open been hiding this place for so long public and to open park would do. been hiding this place place for solong long from public and to open all sides, inviting to the library as an open park would do. park would do. people digital public library, tearing down the fences which have been hiding this place for so from and been hiding this for so from public andto toopen open park would do. this airy 30000㎡ space tolong citizens at public last. access isspaces possible from all sides, inviting people to the libraryuses as an open park would do.are this airy 30000㎡ space to citizens at last. Indoor aredistributed distributed spacely by size inducing personal uses to Indoor spaces distributed spacely by personal to the this airy space citizens last. and to open Indoor spaces are spacely bysize sizeinducing inducing personal uses touses to this airy30000㎡ 30000㎡ totocitizens at at last. been hiding this placespace forcitizens so long public this airy 30000㎡ space to atfrom last. Indoor spaces are distributed spacely by size Porous inducing personal park would do. Indoor spaces are distributed spacely by size inducing personal uses to the core, and mass events to the outer part of the site. spaces are core, andand mass events to the outer part ofpart the site. Porous spaces are madeare for the core, mass events to the outer of the site. Porous spaces Program this airy 30000㎡ space to citizens at last. the core, and events to the outer part ofsite. thePorous site. Porous spaces made forspaces small events or small gathering small groups of people. Indoor aremass distributed spacely by size inducing personal uses to are Program the core, and mass events to the outer part of the spaces are Program small events or gathering groups of people. made for small or gathering small groups of people. Program Program made forevents small events orthe gathering small ofPorous people. the core, and mass events to outer part of groups theofsite. spaces are made for small events or gathering small groups people. “Drama of Communication”

Program

“Drama“Drama of Communication” of Communication”backstage “Drama of Communication” engaged meeting stage backstage backstage backstage engaged meeting “Drama of Communication” backstage stage backstage engaged meeting backstage

backstage

engaged meeting broadcast

stage

backstage stage stage platform stage platform stage platform platform platform

broadcast engaged meeting broadcast broadcast spontaneous interaction

spontaneous broadcast spontaneous spontaneous interaction interaction interaction “Theater of Knowledge” spontaneous Actor = Audience interaction “Theater of Knowledge” “Theater of Knowledge” Actor = Audience “Theater of Knowledge” Actor = Audience Actor = Audience “Theater of Knowledge” Actor = Audience

stage stage backstage platform stage platform platform platform

road made for small events or gathering small groups of people.

noisy

stacks

stacks lobby stacks stacks

monument monument monument

stacks lobby lobby lobby lobby

noisy

casual as shopping casual as shopping casual assense shopping of community casual as shopping sense of community sense of community sense of community sense of community

monument

road

quiet

quiet S quiet quiet M

S

S M SL MSX L

L S XL M LM L SX L XL MX L L XL

MS quiet

platform

casual as shopping

monument

road road road

noisy

noisy noisy

research

researchresearchcreate research research

publish

publish publish publish publish mode

size

create create create create rest rest rest rest S (1~3)

S M LM L SX L XL MX L L L X

+

-exhibition -party -seminar etc. -exhibition

!

grouping

share

!

!

!

+++ +

share share groupinggrouping ! share grouping production share grouping

register

production production production

groups -collab.

register register register

M(3~10)

-exhibition -party -exhibition -party -seminar -party -seminar etc.-seminar -exhibitionetc. etc. -party -seminar etc.

register

L (10~ )

production

groups -collab. groups groups -collab. XL(100~ ) -collab.

rest All kinds of events can be held in the new digital library as groups -collab. broadcasting small exhibition education auditorium a place creating knowledge ideas. CommuAll kindsfor of events can be held inand the sharing new digital library as publish size S (1~3) S (1~3)small M(3~10) L (10~ ) L (10~ ) -center size loungeM(3~10) exhibition 500,300,200 mode mode ) XL(100~ XL(100~ ) size 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and heldsharing in spontaneous and S (1~3) M(3~10) L (10~ ) XL(100~ ) a place for creating knowledge ideas. Commode All kinds of events can becan held inheld the in new digital librarylibrary as All kinds of events be the new digital as size random aspects. Research, creating, publishing, and resting All kinds of events can be held in the new digital library as S (1~3) M(3~10) L (10~ ) XL(100~ ) and collaboration are held in spontaneous and seminar casual reading small broadcasting mode exhibition education auditorium seminar a placeamunication for creating knowledge and sharing ideas. Commubroadcasting small exhibition education publish place creating knowledge and sharing ideas. Commuworkshop broadcasting small exhibition education auditorium create tenant spaceauditorium activities should be of being seperated inas studying hall All kinds offor events canintegrated be held insharing the new digital library a place for creating knowledge andinstead ideas. Commulounge exhibition 500,300,200 workshop random aspects. Research, creating, publishing, and resting publishpublish-center -center small small lounge 500,300,200 openexhibition officesexhibition 500,300,200 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held in spontaneous and -center personal carrel small lounge 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held inideas. spontaneous broadcasting small exhibition designated rooms to catalyze the circulaeducation auditorium a place for creating knowledge shar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and held incommunication and activities should be integrated instead ofspontaneous being seperated in and publish random aspects. Research, creating, publishing, and resting -center small lounge exhibition 500,300,200 tion. Thus all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community size seminar random aspects. Research, creating, publishing, and resting casual reading research seminarspot browsing hall reading browsing seminar nication and collaboration are held in spontaneous and random aspects. Research, creating, and resting designated rooms to catalyze thepublishing, communication circulaseminar workshop seminar casualcasual reading seminar activities should instead of being seperated in its in create createstudying hall workshoptenant space from smallbe tointegrated x-large. Each mass instead should be to contain workshop activities be integrated ofable being seperated studying workshop workshop open create tenanttenant space space random Research, creating, publishing, and resting tion.aspects. Thusshould allbe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community size activities should integrated instead of being seperated in studying hall hall workshop offices personal carrel seminar casual reading open offices seminar personal carrel designated rooms to catalyze the communication circularestaurant own community ecosystem independently. kitchen lounge open offices personal carrel designated rooms to catalyze the communication circulareading cafe rest workshop

fromshould small to Each instead masscommunication should be able tocirculacontain activities bex-large. integrated of being seperated in designated rooms to catalyze the tion. Thus allThus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community size size tion. all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community its own community ecosystem independently. designated to catalyze the communication circulation. Thus all rooms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community size from small to x-large. Each mass should be ablebe toable contain its to x-large. Each mass should to contain tion.from Thussmall all programs were categorized community size from small to x-large. Each mass should beby able to contain its its own community ecosystem independently. own community ecosystem independently. fromcommunity small to x-large. Each mass should be able to contain its own ecosystem independently. own community ecosystem independently.

0

2

6

12 M

create studying hall workshop cafe tenant space game room open offices researchresearch personal carrel browsing spot browsing hall browsing hall browsing spot research browsing hall browsing spot research browsing hall browsing spot kitchen lounge restaurant restaurant reading cafe rest kitchen restaurant kitchen loungelounge reading game room reading cafe cafe rest rest cafe game roomcafe cafe game room restaurant kitchen lounge reading cafe rest cafe game room

A-A’ Section


Walk over the Sea 자연 속 명상 리조트 김현정 Hyunjung Kim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리 선녀바위 리조트, 휴양지 약10000㎡ 약1000㎡ 약3700㎡ 데크 2층, 호텔동 3층

현대사회에 복잡한 생활 속에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10명중 4명에 달한다. 각박한 현대 사회에 명상 공간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이지만, 우 리 나라에는 명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 상가 안에 있는 센터의 형식이 전부이다. 사람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삶의 불안함을 느낀다. 물리적 사고 에 의해서, 정신적 충격에 의해서 혹은 원인 모를 두려움에 의해서 살아가면서 심적으로 위기를 느끼고 조용한 곳이나 상쾌한 곳으로 홀연히 떠나서 그 속 에 묻혀지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이유 없이 바다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바다가 답답한 마음을 잠시나마 시원하게 날려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 곳에서 머릿 속을 비우고 멍하니 바다 끝을 바라보거나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자신을 돌아보는 조용한 시간을 보내면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명상 공간을 통하여 휴양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리조트의 형식으로 제안해 보고자 한 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풍족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 속에서 자연을 벗 삼아 경관이 빼어난 곳에 정자를 지어 그 속에서 시를 짓거나 노래를 부르며 마 음을 다스리는 풍류를 즐겼다. 이러한 자연친화적 특성에 맞는 자연 속에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명상 리조트의 개념은 현대인들의 새로운 삶의 질적 충족을 제공할 것이다. 기존 명상센터의 명상과 치유기능에 자연의 요소를 합쳐 답답한 도심에서 가까운 찾아가기 쉬운 서해바다에 명상리조트를 제 안한다. 자연 속, 명상은 그 곳에서 시작된다. 명상을 통하여 자신 안의 길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명상을 할때 그 장소에서 건축적 디자인을 통해 좀 더 감 각을 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좀 더 편한 장소를 만들어 주고자 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68 169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ies have tendencies to look for solutions for their lives from the nature, leaving away from repetitive everyday lives in complicated cities. Through having a quiet time for looking back over their past moments or enjoying the nature, they can freshen up their mind through meditation in changing and unbroken natural environments. This project aims to devise a suitable architectural place for the contemporaries who are desiring a true rest.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places providing relaxation and human perception and experience is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The site, “Sun-nyo-bawhee�, which is in the West coast, has strong forces of the nature like sunset, tides, winds, and sea fog. Through strolling along the coast with oceanic views, walking over the sea, seeing traces of waves on white sand beach and seawater flows between the rocks, hearing the sound of waves and the cry of gulls circling overhead, people can encounter new experiences with the nature.


Hyunjung Kim | Walk over the Sea

Concept

Structure

mountain

ocean 데크 단면이 큰 H빔을 형성하는 비렌딜트러스 구조로 양쪽 켜와 아 랫쪽 켜로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사선재의 영향을 받지않아 양쪽 켜를 오갈 수 있다.

land coast

전체 구조체 두개의 큰 트러스로 짜여진 튜브형의 매스가 그네처럼 큰 H빔 형상의 데크를 한쪽에서는 매달고 한쪽에서는 받친다. 이 구 조체 안에는 바다가 보이는 라운지이다.

바다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창의 크기와 모양을 통해 산책하는 사람이 다양한 자연을 경험한다.

Diagram 바다와의 거리에 따른 감각의 변화

개인 객실 Unit

Coast Land

Ocean

Mountain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일몰의 관찰

75˚

N

Summer

35˚

구조 + 프로그램 Summer Winter

W

Winter

E

120˚

W

E

70˚

S

명상의 시작

Variation

Sunset View Point

Open-Close Wall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70 171

Site 토지용도 자연녹지지역, 경관녹지, 준보전산지,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 면적 약 20,000㎡ 사이트 위치는 인천광역시 중구 을왕리에 위치한 선녀바위 부근이며 앞 뒤가 트여 앞으로는 갯 벌양식장이 접하고 뒤로는 모래사장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이 사이트는 도시지역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며 수려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어 리조트의 입지조건으로 적합하다. 사이 트의 왼편에는 상업지역, 오른편에는 주거지역이 위치한다. 2001년 동쪽의 영종도와 중앙의 삼 목도, 서쪽의 용유도를 이어 가운데를 매립하여 인천국제공항이 입지하게되고 이어 고속도로와 공항철도가 개통되었다.

Sections


Hyunjung Kim | Walk over the Sea

Meditation units

Sunset view point

Meditation deck

Vertical limit

Sink deck

N

0

a.

2

6

b.

h.

12 M

c.

d.

e.

f.

g.

g.

h.

Open-close wall

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72 173

1. Vertical Limit 방문객 센터에서는 벽에 의해 시각을 차단하여 청각과 후각을 극대화 한다.

4. Meditation Deck 바다를 향해 긴 데크를 걸어간다. 얇고 긴 데크를 걸어 고요함 속에서 바다 위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2. Variation Wall 변화하는 벽의 형태와 데크의 높이 차이로 인해 새어나오는 빛과 바다소 리를 통한 다양한 경험을 하며 바다를 경험한다. 앞쪽 켜는 비교적 개 방적이어서 바다경치를 감상할 수 있고 뒤쪽 켜는 새어오는 빛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5. Sink Deck 조수간만의 차의 영향을 받아 썰물 때는 바다로 내려가는 데크이지만 밀물 때 에는 데크가 잠기고 끝부분과 오른쪽 좁은 길만 나타난다.

3. Sunset View Point 일몰을 볼 수 있는 데크 사이공간의 전망대로 사계절 내내 이 곳의 양쪽 데크의 벽으로 인해 형성된 프레임 안에서 해가 진다.

6. Meditation Units 명상리조트의 숙소로 일인에 적합한 객실 크기의 셀로 구성되어 있다. 객실 안의 긴 복도는 진입시 바다에 집중할 수 있게 하며 다락방형태의 공간에서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개인실 안에서 사람들은 서로 같은 풍경을 공 유하지만 각각 다른 생각과 추억을 만든다.

1F

e.

d.

c.

b.

2F

a.

0

4

12

24M

A-A’ Section


Block of Art 길과 블록을 이용한 광주 예술의 거리 활성화 박하현 Hahyun Park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174 175

광주광역시 동구 궁동 예술의거리 문화시설 4,395㎡ 2,314㎡ 8,645㎡ 지하2층, 지상4층

문화의 수도’로 알려진 광주는 ‘아시아 문화의 중심 도시’로 지정되어 ‘비엔날레’와 ‘아시아 문화 전당’과 함께 전국적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것들은 정작 광주 시민들과는 동떨어져있고, 예술과 일상 사이에 거리감이 있다. 광주가 진정한 ‘문화의 수도’로 불리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일상을 기반으로 하여 예술과 문화가 스며들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공간으로 인해 예술과 문화 활동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예술과 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고, 일상 속에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스며드는 공간은 블록을 통하는 ‘길’로 인해 생겨난다. ‘광주 예술의 거리’가 그러한 공간이고 그곳은 남도 문화와 예술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블록들과 이들을 관통하는 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는 골목길이나 이면도로로 인해 생겨나는 풍부한 공간이 없는 오로지 한 길로만 이루어져있다. ‘광주 예술의 거리’ 역시 일상과 예술 사이에 거리감이 있다. 일상 속에 스며드는 공간은 하나의 길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인사동 문화거리처럼 블록의 형태로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나는 ‘길’과 ‘블록’을 이용해 ‘광주 예술의 거리’에 일상 속에 스며드는 예술과 문화의 공간을 제안한다.

Known as ‘The city of culture’, Gwang-ju is recently designated as ‘Hub city of Asian culture’. Also with ‘Biennale’ and ‘Asian culture complex’, the city made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progress in terms of its name value. However, those events are somehow unfamiliar to common citizens having their daily lives alienated from art. Therefore, this thesis starts with the notion that Gwang-ju is not culturally mature enough as ‘The city of culture’ and the city needs permeating places of art and culture rooted in daily lives of citizens. The intended places in this project can make everyone come across art and culture and have new experiences, including people who are not interested in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 Permeating spaces need ‘streets’ through blocks. ‘Art road’ in Gwang-ju fits this space because of its long history relating to art, being composed of streets and blocks. But, ‘Art road’ is composed of only one linear street relating to art in this area, losing chances to have art permeate into daily lives. To make permeating spaces through daily lives, it should not just one street of art, but blocks of art consisting of several allies like ‘Insadong culture road’. I propose the place of art and culture, permeating through daily lives in ‘Art road’ using streets and blocks.


Hahyun Park | Block of Art

Site Analysis

Art

Parking

Art

Parking

House

Commercial

Office & Public

Concept ‘Permeating space’ is made by using streets and blocks. The city of art and culture, Gwang-ju needs ‘Permeating space of art and culture through daily life’

Masterplan

Art Street Street of art

2층에서 위를 바라본 모습

Block of art

1층 main 길에서 위를 바라본 모습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76 177

Design Process

Design process

1. 1. main streets Main streets

2. side streets

3. expeanded streets

4. mass and open space

5. three-dimensional streets 3. expeanded streets

6. final mass

2. 2. side streets Side streets

광주 예술의 거리의 현황

Design process 5. three-dimensional streets 3. Expanded 3. expeanded streetsstreets 1. main streets

6. final mass

2. side streets

3. expeanded streets

4. mass and open space

5. three-dimensional streets

6. final mass

2. side streets

3. expeanded streets

5. three-dimensional streets

6. final mass

6. final mass

4. Mass and open space

5. Three-dimensional streets

중정

입체가로와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

3. expeanded streets

6. final mass

6. Final mass

입체가로


1 1

1 7

5 5

1 4

A

4

6

6

1

scale 1: 300

1

Second floor plan

scale 1 : 200

Ground floor plan

Hahyun Park | Block of Art

4

3

4 4

4

6

4

2

4

A 4

1

2

4

1

5

1

1

D

4

1

1

C

B

Section A

Section A scale 1: 200

Section C


8

8

8 9

7

8

1 Gallery 2 Cafe 3 Restaurant 4 Shop 5 Event sapce 6 Artist studuio 7 Book store 8 Library 9 Study lounge 10 office

10

6

6

6

178 179

scale 1: 300

Fourth floor plan

scale 1: 300

Third floor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6

6 6

6

N

0

3

10

Section B

20M

Section B

scale 1: 200

Section D

Section C

Section D

scale 1: 200

scale 1: 200

0

3

10

20M


Publicness in Commercial Building 평화시장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채한솔 Hansol Chae 권경은 스튜디오 Kyungeun Kwon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평화시장은 동대문에 위치한 시장으로, 중장년층을 위한 옷들을 도소 매로 팔고 있다. 평화시장의 건물은 1960년대 초에 지어졌고, 동대 문 발전의 시발점이 된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오래 전에 지어졌기 때 문에 건물이 낡아 4년마다 대수선을 하고 있으며 개선이 절실히 필 요하다. 게다가 낮은 층고를 갖고 있고, 창이 있으나 옷들을 걸어놓고 창을 가리고 있다. 상업용으로 쓰이고 있는 건물이기 때문에 환기 문 제의 해결도 절실하다. 또한 시장에는 마땅한 휴식 공간과 상업 프로 그램 외에는 이렇다 할 프로그램이 없어, 사람들의 발길이 점차 줄어 들었으므로 상권이 매우 약화된 상황이다. 이런 평화시장의 건물을 되살려보고자 주변의 공공성을 평화시장으 로 끌어들였을 때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평화시장은 상업지역으로 대표되는 동대문과 공공지역으로 대표되는 청계천의 중간에 위치한 다. 이러한 주변 상황들은 평화시장이 공공성을 품고 더 좋은 공간으 로 변화하는데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상업성만 가득했던 건물 에 청계천의 공공성을 끌어들여와 시각적인 공공성, 프로그램적 공공 성, 공간적인 공공성을 마련한다. 시각적인 공공성은 시장 건물 내부 에서 청계천을 조망하는 보다 투명한 건물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 다. 프로그램적인 공공성은 기존의 상업성만 있던 건물에 카페, 식당, 갤러리, 스튜디오, 피트니스등 보다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고 찾을 수 있는 공공성을 띠는 프로그램을 넣어 유동인구를 폭넓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단층고로 쌓여있었던 답답했던 건물을 보 다 층고를 높게 하고, 보이드화된 공간을 곳곳에 배치해 건물 내부에 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공간과 공간, 사람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 활하게 일어나 보다 공공성이 극대화 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환경이 평화시장 내부에 생겨났을 때, 기존의 고리타분한 재 래시장의 이미지만을 가지고 있던 평화시장은 보다 나은 상업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가진 쇼핑몰로 재탄생될 수 있다. 재래시장의 기존 프로그램은 공공성이 담긴 프로그램들과 시각적, 물리적으로 연계되 면서 상인들과 시장을 찾는 모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다시 찾고 싶은 시장이 될 수 있도록 건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주 목적이다.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층 수 건 폐 율

서울시 중구 을지로 6가 17번지 평화시장 라,마동 상업시설, 문화시설 4,281.45㎡ 3,820.68㎡ 7층 89.2%

180 181

Built in the early 1960s, Pyeongwha market, which is for clothe retails and wholesale shops for middle ages, has decrepit environments with low ceiling height and bad ventilation condition. Furthermore, there are no public spaces to sit or have a rest, making it recognized as a defunct place not to be visited. With this notion, I take ‘publicity’ into Pyeongwha Market to create an activated atmosphere around the whole market place.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Pyeongwha Market on the boundary between Dongdaemun fashion district and Chenggyecheon gives possibilities to bring the publicity easily into the market as reinforcing accessibility and providing open views. For those reasons, this linear-shaped building can take the publicity with replacing layers of shops and putting diverse public programs. If the publicity would work properly, a new market image can be generated, changing the old market to a vitalized fashion market and having public programs for everyone to use. This new images are made not only with the interior plan and programs but also with the exterior facade. Consequently, we can expect an activated spot to offer public spaces to vitalize commercial program together.


Hansol Chae | Publicness in Commercial Building

Development

Concept Commercial

Site analysis

Public

서울시 중구 을지로 6가 평화시장

청계천

건물은 마치 벽과 같은 형태로 주변을 단절 시킴

동대문

주변의 공공성, 접근성, 물리적환경개선을 위해 주변을 단절 시키고 있던 건물을 쪼갬

02 Public Space Interior: Vertical Expansion 수직적으로 확장된 공간이 프로그램과 사람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유도

03 Public Access Ground Level: Piloti-Accessibility 1층 필로티를 통해 접근성을 강화시키고 공공성을 극대화

Mass Shape

Mass Study

청계천과 동대문지역의 공공성을 끌어들임

01 Visual Publicity Horizontal Open Space 밖을 조망할 수 있는 시각적 공공성 부여

주변 스카이라인에 맞춰 높이에 변화를 줌

기존 3층의 건물을 증축 가능 한도 내에서 연면적 200%로 증축을 함

Purpose

건물의 왼편은 고층의 대형 상점이 주를 이루고, 오른편은 저층의 재래 상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건물의 스카이라인은 이를 따라 달라진다.

250m 에 달하는 벽과 같은 긴 건물은 중간을 끊어 물리적 단절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디자인한다.

Program Zoning Light

Light

Light

Light 건물의 끊어진 부분으로 빛의 침투가 가능하므로 쾌적한 건물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기존 상점에서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빛이 유입되는 부분에 상점들이 주로 배치된다. Commercial 1층의 필로티로부터 시작하는 공공성이 상층으로 끌어 다양한 프로그램, 공간의 다양성으로 건물을 더 쾌적하게 만들고, 공공성이 담긴 공간으로 재탄생 시킴

올려지면서 상점으로의 접근성을 더한다. Public

Public

Public

Public

Public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2 183

5F Observatory deck 에서 청계천을 조망할 수 있고 휴식할 수 있는 공간

4F Roof Garden

3F Shops and Public program

ground floor path on piloty green space

Ground Floor


Hansol Chae | Publicness in Commercial Building

Observatory Deck

Restaurant

Kitchen

M

Restaurant Exterior Garden

Cafe

Event Hall

Program Context Shops + Cafe, Restaruant 01 Building Expansion

Shops + Observatory deck Shops + Gallery, Studio, Fitness

공업

Shops + Roof garden 상업

Shops + Restarant, Multipurpose Shops + Cafe, Office

100% 100% 100%

Shops

상업

Commercial

50%

50%

50%

02 Process Public

Commercial Dongdaemun Fasion District

청계천 공업

Commercial

상업

0% 50% 100% 공공

상업

Roof garden Commercial Public

0% 50% 100% 100% 50% 0% 공공

Commercial Public

상업

10% 50% 90% 90% 50% 10%

03 Effect

Shop + Public space

Model

환기와 채광

청계천 조망 시각적 트임

상업과 공공성의 교류

유동인구 증가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Multipurpose

184 185

Break Area Staff Office

Program Section

Elevation 이 매스들은 아래 다이어그램에서의 double skin facade로 wire mesh소재로 된 것이다.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 시켜주며, 250m에 달하는 긴 건물을 분절하는데 시각적으로 도움을 주는 장치로써의 역할을 한다.

North Elevation

South Elevation

Structure

Program + Circulation

Double skin facade: wire mesh

Public + Commercial

Extented part Circulation (Stairs, Ramps)

Mega truss : New structure

Roof garden

Public for any time

Rhamen structure

Current building

Public programs

기존 라멘 구조의 빌딩은 구조적으로 취약해 증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메가 트러스로 상부 증축 층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메가트러스로 지지되는 5층이상의 층과 기존 건물 사이는 구조적으로 자유로운 곳이 되므로, 루프가든을 두어 모든 층에 공공성을 담았고, 기존 건물과 증축한 건물의 구분이 될 수 있도록 연계되는 중간층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공공성이 담긴 공간과 상업성이 담긴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공공성이 담긴 공간은 시장이 닫혔을때도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외부와 연계된 동선을 계획 하였다. 게단과 루프는 카페, 레스토랑, 외부의 전망 층과 같은 공공 프로그램으로의 접근을 유도하고, 기존 상점의 프로그램과 따로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Merged into Music 대중음악공간 박신영 Sinyoung Park 이치훈 스튜디오 Chihoon Lee Studio

비로소 오늘날 사람들이 대중음악을 즐기기 시작했다. 많은 방송사 채널에서 오디션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국내외의 우리나라 대중들은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오디션이 진행되면서 대중들은 참가자들을 평가하고 승패를 결 정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높은 시청 률을 기록하면서, 점점 대중과 전문음악인 사이의 거리는 좁혀지고 있고 있으 며 대중들 간에도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 70, 80년대의 다방문화 는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즐길 수 있는 분위 기를 만들었다. 당시에 대학생들 사이에서 대중음악이 활발하게 향유되면서, 이러한 다방과 음악 감상실은 사람들이 음악을 함께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 는 공간이 되었다. 그러나 음악다방이 커피전문점으로 용도가 변질되고 mp3 플레이어와 같은 개인 음악감상이 만연하면서 음악을 공감하는 문화는 많이 사라졌다. 현재 음악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함께 과거의 다방문화를 재현하여 음악을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한다.

Pop music is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Korea nowadays. On public TV networks as well as several cable channels, various singer audition programs get attention from bo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During the competition proceeds, public have great power to select which participants to pass to the next step. As the audition TV programs record high viewing rate, the gap between the amateurs and the professionals has been narrowed down, and sympathizing among the public has revived. There had been a ‘tea room culture’ in 70’s to 80’s in Korea, which had enabled some people including the artists and the public to gather and hang out naturally. About that time, pop music started to be popularly enjoyed mostly by young people, and the tea rooms and some small music halls became the places where people could sympathize each other though appreciating music. However, Sharing music has been disturbed by several changes in time; music halls are substituted to merely coffee shops and the music itself has transformed to digital source played by individual mp3 player. With rising concerns in music, a space for public to share the music naturally is needed and salon culture in ‘tea room’ would be a good precedent to bring back the culture.

위 치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건 폐 율 용 적 률

서울시 마포구 동교동 854.64㎡ 682.77㎡ 2,052.57㎡ 4층 72% 240%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6 187


Sinyoung Park | Public Merged into Music

Sympathizing 오늘날 일반 대중은 비로소 대중가요에 적극적으 로 반응하고 있다. 음악인들의 공연을 평가하고 공연에 참여하면서 전문 음악인들과 대중과의 공 백은 작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서 음악 감상문화는 개인의 취 향이 존중되고 프라이버시가 강조되면서 점차 공 유하는 문화가 없어지고 있다. 70, 80년대에 유행 하였던 다방의 ‘살롱 문화’는 우리나라의 정서 와 맞는 음악을 공유하는 문화였다. 당시 대중가 요는 가요제와 맞물리면서 활발하게 생산되고 향 유되었다. IMF를 거치면서, 춤을 추기 위한 음악, ‘카바레 문화’와 달리 ‘살롱 문화’는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이나 몇몇 정적인 생음악 카페로 변질되었다. 따라서 일반 대중들이 자연스럽게 음악을 공감하 고 새로운 음악을 접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Korean ‘tea room’ culture in 70’s and 80’s

Merging adjacent rooms into a new space

Merging 음악을 감상하는 데 가장 사적인 도구가 이어폰이 라면 가장 사적인 공간은 주택, 주택 안에서도 방 에 해당된다. 현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음악 감 상공간인 대규모 홀과 비교하였을 때 70, 80년대 의 다방의 크기는 감상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치 는 요소이다. 우리나라 80년대의 도시 조직인 다가구 주택 필 지 크기를 기본 단위로 설정하고 매우 협소하게 붙어있는 다가구 주택의 방을 병합하여 개인과 개인이 만나 음악을 공유하는 새로운 공간을 마 련한다.

Current state of buildings in site

Housing model existed

Housing model after remodeling

Context 촌

신촌 로터리

음악 감상공간의 위치는 과거 다방의 분포처럼 목 적을 갖고 차를 타고 찾아오지 않아도 일상적인 다른 목적으로 걷다가 다다를 수 있는, 격식을 차 리지 않은 성격을 띤다. 즉, 대로변으로부터 블럭 안 쪽으로 들어온 보행자가 주 타깃이다. 사이트의 위치는 일반 대중에게 음악 감상 문화에 대하여 가장 인지가 많이 되어 있는 신촌과 홍대 지역이다. 이 지역의 다세대 주택지는 이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폐지 철도 부선을 중심으로 대 로 변에서 약 두 세 블럭 안 쪽에 위치한다. 현재 공사중인 폐지 철도 부지는 마포구 시에서 2020 년까지 각 구역별로 테마를 가진 공원으로 계획되 고 있다. 비교적 유휴 용지의 너비가 좁아 일반 공 원으로 계획된 사이트는 남쪽에 위치한 공연장과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와우 공원

Context around the sit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88 189

Remodeling Idea 가까이 있는 서로 다른 주택의 방들이 모여서 하나 의 공적인 공간이 된다. 이러한 공간은 협소하게 위 치해있는 기존 다가구 주택 필지의 활용성을 높이면 서, 음악 감상 공간이라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규모 의 공간을 만들어낸다.

3

Structure 기존 다가구 주택은 콘크리트 벽체에 미장 벽돌로 마감한 구조이다. 벽체의 대부분을 보존하면서 그 주택들을 이어주는 방법으로 외벽에 경량 철골을 연 결하여 완전히 새로운 매스와 기존을 연결하고 완전 히 새로운 통구조로 구성된다. 외벽 500mm 두께 의 콘크리트 벽체는 두꺼운 튜브 구조와 같이 하중 을 견디는 완전체 역할을 한다.

2

1

1 기존 벽: 콘크리트 + 치장벽돌 2 SRC 구조 3 새로운 매스: 콘크리트 통구조

N

0

1

3

6M

Roof Plan


Sinyoung Park | Public Merged into Music

실내 main music hall에서 북쪽으로 바라본 모습

1층의 동쪽 로비, 카페테리아의 모습

Section

South Elevation

0

1

3

6M

East Eleva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90 191

N

Remodeling Point

Remodeling Idea

3F

2F

3F 기존 주택의 옥탑으로 쓰였던 벽은 지붕이 있는 외부 발코니가 되고, 각 주택을 연결하는 새로운 벽은 내부 가 된다.

2F 개별적으로 계획되어 지어진 다가구 주택은 주택 간 이격 거리가 매우 좁 다. 메인 음악 홀을 정면으로 바라보 는 뷰를 가지는 위치에 두 다가구 주 택을 잇는 계단형 스탠드를 계획하여 입면에서 각 주택들 사이에 튀어 나 오는 매스감을 갖게 한다.

1F 메인 음악 홀에서 상대적으로 노즐 이 덜 되어 있는 두 주택의 1, 2층이 보이도록 전시관을 계획한다. 두 주 택의 각 두 층이 모여 총 4개의 주 거에 해당하는 공간이다. 입면에 수 직창을 넣어 외부에 전시관의 존재 를 알린다.

0

1

3

6M

1F

Ground Floor 가장 많은 주택들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이다. 각 주거의 서로 노출되어 있는 방을 병합하면 기존 주택 방의 벽과 새로운 벽들이 이어져 작은 음 악 홀이 된다.

기존 노출 콘크리트 위 투명 에폭시 블랙 콘크리트 위 투명 에폭시 0 1

3

6M

Ground Floor

알루미늄 패널


Strolling in the Art Library 산책하는 예술 도서관 이주영 Juyoung Lee 이치훈 스튜디오 Chihoon Lee Studio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92 193

부천시는 8개의 시립도서관과 13개의 공립문 고, 7개의 전문도서관이 균형을 이룬다. 이들은 상호대차서비스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 어지고 장서를 특화시켜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 공하고 있다. 그 중 부천의 예술도서관 다감은 다양한 예술 관련 장서를 많이 보유하고 지역 예술인 데이터베이스와 부천의 문화 공간 정보 를 제공한다. 그러나 중요성과 필요한 기능에 비해 갖춰진 인프라와 홍보가 부족하여 지역예 술인도 예술 도서관을 잘 알지 못한다. 따라서 다감의 기능을 계승하고 더불어 아티스트 레지 던스를 추가함으로써 예술인이 거주하며 도서 관의 예술관련 장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강연 등을 통해 예술인과 지역주민의 교류를 강화하고자 한다.

There are 8 city libraries ,13 public Bookstores and 7 specialized libraries in Bucheon. Communicating through interlibrary loan services and specializing collections provide convenience to the Bucheon citizens. One of them, Bucheon art specialized library, “Dagam” owns a variety of art collection and offers local artist’ database and information about the cultural space. Compared to importance necessary function,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promotion, the local artists even don’t know about the arts library. Therefore, my project takes over the functions of the art librarary, Dagam. Also, by additioning artists’ residence, local artists can live in the library residence and can read library books at any time and deliver a lecture to local residents, so they will strengthen ties each other.

부천시는 인구밀도가 매우 높아 그만큼 활용 가능한 토지도 부족하므로 리노베이션 도서관 을 제안하고자 한다. 소사구 심곡본동에 위치 한 구 유한 공장은 일제시대에 지어졌고 6.25 전쟁 때는 격납고로 사용하였고, 전쟁이 끝난 후 미국의 여성 작가인 펄벅 여사가 전쟁고아 를 위한 복지시설로 사용하였으며 이후 섬유공 장과 고물상 등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건물 의 역사성과 공장 전통양식이 2002년에 이 공 장을 부천시 문화재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당 시 건물의 소유주는 문화재 지정이 재산권 침 범이라고 주장하면서 부천시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고 이로써 3년간의 짧은 문화재지정은 해 제가 되었다.

Bucheon population density is very high so there is lack of land available. I want to renovate the old factory into the arts library. Ex sosa-plant from Yuhan group is located Sosa-gu, simgokbon-dong. It is built in 1930’s, the period occupied by force of Japan Empire. At the Korean war, it used hangar. After the war, the American woman writer, Mrs. Pearl Buck operate the factor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war orphans. And it have been used as textile factories and junkyards, etc. The history of this building and traditional construction form designated this plant a bucheon cultural asset in 2002. However, the owner of the building at the time argues that property rights were involved. So this three-year short-listed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released.

나는 이 공장을 주민들이 지역 예술인과 교류 At old factory, I will remodel the arts library where resi하고 그들이 매일 이용할 수 있는 예술도서관 dents are communicate with local artists and they can use 으로 만들고자 한다. the place everyday !

위 치 용 도 대 지 면 적 건 축 면 적 연 면 적 층 수 건 폐 율 용 적 률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709-1 도서관 + 레지던스 6,000m² 4,325m² 5,200m² 3층 72% 86%


Juyoung Lee | Strolling in the Art Library

부천시 도서관 스케일별 분포 단위 문고 - 11개소

이동 도서관

작은 도서관 - 13개소 (반경 100M 범위)

독립된 형태가 아닌 공공시설 에 딸려있는 책장으로 열람 공 간은 없다.

책장 단위가 아닌 완성된 도서관 의 형태로 장서가 확보되어 있지 만 버스로 이동한다는 특성을 가 지고 있다.

주민센터등 공공건물의 유휴 공 간을 이용해서 만든 작은 도서 관으로 사서, 장서보관공간, 열 람실, 문화프로그램이 확보되 어 있다.

전문 도서관 - 2개소

전문 도서관 - 4개소

시립 도서관 - 7개소

- 한 층 단위

- 한 건물 단위

(반경 500M 범위)

하나의 주제가 특화되어 생성된 전문도서관 중 건물의 한층에 세 들어 있는 형태로 사서, 열람공 간, 서가, 문화프로그램이 있다.

같은 전문도서관이나 독립된 건 물 한채로 존재한다. 시립도서관 보다는 규모가 작다.

건물 전체가 도서관이고 도서관 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모두 갖추고 있다.

X

배치 프로세스 기존 소사 공장은 필요에 의한 증축으로 한 건물 내에 여러 레이어가 형성되었다. 원매스와 유사한 폭의 매스를 배치시킨다. 증축 매스에서 원매스로 시각적 연결이 이루 어지도록 한다.

1936년

아티스트 레지던스 서고 및 열람공간 시민문화 교육공간

1940년

1972년

공장이 배치된 축과 일치하는 세 개의 매스를 배치시켜 축의 반대방향으로 거쳐가면서 볼륨의 다양성을 경험하도록 하고, 수직 적 서고가 아닌 수평적 서고를 배치함으로써 도서관을 경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티스트 레지던스를 마지막에 배치함으로 써 도서관이 문을 닫는 저녁에도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한다.

매스&프로그램 컨셉

기존의 도서관

Split

Horizontal Connection

하나의 큰 건물에 서고와 휴게공간이 수직으로 단순하게 적층되어있다.

한 덩어리의 매스를 쪼개고 사이공간을 라운지 및 커뮤니 티 공간으로 활용한다.

사용자는 수평적으로 배치된 서고를 경유하며 지나간다. 서고 의 연결점에서 휴식과 소통이 이루어진다.

구 공장과 연결성 1 도서관으로 활용되는 구 건물 내에서 공 장의 공간감을 느낀다. 2 도서관의 내부가 된 공장의 파사드를 만지면서 공장을 기억하고 촉각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3 도서관의 서고를 경유하거나 책을 읽는 사람들이 공장의 외부를 볼 수 있게 함으 로써 시각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 2 3 4 5

3

194 195

Reading Studio Open Gallery Collection Lounge

2

4

2

5

2 1

2 2

4

Main lobby에서 바라본 모습

3F

9

10 12

6

11 2

13

5 4

15

14

1 Book Bar 2 Collection 3 Copy&Scan 4 Studio 5 Kitchen&Cafeteria 6 Artist’s Lounge 7 Artist’s Meeting Room 8 Workshop Room 9 Artist’s Workspace 10 Digital-Physical Workshop 11 Lecture Room1 12 Seminar Room 13 Lounge 14 Reading Room 15 Outside Reading Space 16 Open Lecture Zone

8 7

4

3

4 4 14

1

4

2

16

2-3층 계단에서 내려다본 모습 2F

11 14 B’

15

13

12

10

6 5

A

16

17

19 19

18

2

1 20

21

7

9

B 7

8

A’

7

4

7

3 3

N 01 3

6M

1F

Section A

1 Main Lobby 2 Meeting&Lounge 3 Cafe&Restaurant 4 Personal Office Area 5 DVD&Music Collection 6 Small Cinema 7 Gallery 8 Art Market 9 Art Storage 10 Multipurpose Hall 11 Book Circulation Corridor 12 Book Storage 13 Office 14 Staff Lounge 15 Staff Meeting Room 16 Client Service 17 Periodicals Room 18 Reading Room 19 Reading&Collection 20 Antique Book Collection 21 Secondhand Book Market

부출입구로 진입하는 모습

Section B


Social Integration in Community Center 주민센터 속 사회 통합 최경인 Kyungin Choi 이치훈 스튜디오 Chihoon Lee Studio

송파구에 제안하는 네트워킹 시스템 Type A와 Type B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96 197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지 오래인 지금 사회는 노인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diverse measures to 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내놓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deal with the aged since South Korea has been listed as the aging society among OECD countries in 2001. How하고 고령화를 가속시키는 원인은 무엇일까. “저출산” 고령화 사회.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세계 최하위권인 현실 에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는 만큼 보육시설의 개선과 보충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정부의 늘어나 는 보육지원 예산은 우리가 상실한 근본적인 공동 체적 삶을 회복시키기보다 또 다른 갈등을 초래하 고 있다. 아동이나 노인에 대하여 한 세대에 치중한 복지 대안책은 그들을 더욱 고립시키기 때문이다. 만나게 하자. 서로가 서로를 돌봐주자. 앞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보육시설은 작은 공간일 지라도 다수에게, 어디에서나 접근과 이용이 쉬운 점조직으로 도심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부족한 아 이들에게 아이들끼리만 성장하는 교육환경은 다른 세대를 배우고 이해하는데 장애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보완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소를 충족시키 면서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서 보육을 담당할 수 있 는 것이 주민센터다. 최근 고령사회에 대비하여 노 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많이 개선되고 있는데, 여기 에 보육시설을 통합하여 함께 보살핌을 주고 받으 며 생활한다면 주민센터가 ‘住民; 시민이 거주 하는’의 의미에 부합하는 근린생활시설로서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시켜주는 매개공간이 될 수 있 을 것이다.

ever, are the aged really an underlying cause of the aging society in South Korea? “A Low Birthrate” and an aging society.

At the lower end of the birthrate among OECD countries, it is vital that a childcare center and welfare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complemented with an increase in employment of women. The government’s growing budget on the child welfare has brought about further complications rather than remedied our missing community life; welfare policies focused on one generation, either only the aged or the child, make them more isolated from a local community Let them get together and take care of each other. The advisable conditions for chidcare center would be a dots-basic organiztion, spread in city to be easily accessible from everywhere, for most of the inhabitants even if it is small space. Moreover,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able to offer the place where the children being apart from their parents can pick up skills and living tips from the others and migle with other generations. With meeting those contents, It is a community center that has possibility and locates near neighborhood. Integration childcare center into existing programs for the aging society will be a catalyst to enliven local communities as a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in tune with the meaning of residents; inhabitants live.


세대 구성의 변화 Kyungin Choi | Social Integration in Community Center

손 가족

맞벌이 부부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현 보육시설의 문제점

현 보육시설의 문제점

현재 보육환경은 종일 선생님과 또래집단 안에서만 이루어져 다른 세대와의 연대와 소통이 부재한 세대 고립적 교육환경이 될 수 밖에 없다. 가정에서 의 부모의 교육와 보육을 기대하기 점점 어려워지는 현실에서 아이들은 보 고 배우며 성장할 수 있는 다른 세대와 함께 생활할 기회가 필요하다. 또한 부모의 다양한 직업군을 배려하여 도입되고 있는 야간보육은 현재 서울시 내 5곳에서만 운영 중에 있어 보급이 부족한 실태이다. 일정시간동안 아이 를 맡아주는 시간제 보육은 엄마들의 문화생활, 재취업 준비, 응급상황 대처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 보급확대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다.

+ shortage in supply Night time care 1 teacher

Only children

shortage in supply

Day time care

Night time care

미래의 보육환경은 아이들의 교육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가족형태를 고려하 여 보육시간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현 보육 가이드라 인에서 제시하듯이 유아와 영아를 구분하여 보육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부모의 참여와 방문이 용이하도록 주거지와 가깝게 위치하거나 출근 길, 퇴근길의 동선상에 놓여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보육시설은 복합시설과 같은 형태로 한 공간에 많은 프로그램을 수 용하는 것보다 도시 내 점 조직으로 분포하여 이용자와 만날 수 있는 표면 적을 늘이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의 동선상에 위치한 도심에 보육시설의 보급 확장이 필 요하지만 도심 대지확보의 어려움이 있다.

38,406 0-6세

177,407

세대 구성의 변화

맞벌이 부부

54,203 맞벌이 부부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한부모 가족 및 조부모 가족

남 강

초 서

작 동

포 등 영

어린이 수 약 1000명

구 천

평 은

원 노

정원어린이 수(38,406 명) = 어린이집 정원x 4 송파구 0-6세

어린이 수 약수 1,000명 어린이 약 1000명

북 강

북 성

구 문

랑 중

구 진

대 동

원x 4

어린이집 정원 어린이집

1000명

현 보육시설의 문제점

어린이집 정원 +

<서울시 내 지역별 미취학 아동 및 맞벌이 부부, 한부모 가족, 조손가족의 수>

어린이집 정원

1 teacher

Only children

Day time care

shortage in supply Night time care

사이트 선정 사회변화 양상을 반영하여 서울시 내 맞벌이 부부,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의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송파구가 가장 높게 나왔다. 조손가족은 노원구 가 가장 높았으나 송파구가 두번째로 높았기 때문에 사이트를 송파구로 선 정하고, 송파구의 보육시설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공립, 민간, 가정 등의 모든 시설유형을 종합한 보육시설의 정원은 송파 구에 거주하는 0-6세 어린이 수(38,406명)의 1/4밖에 수용하지 못하는 실 정이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늘려가고는 있지만, 어린이집에 아이를 등록하기 이전에는 혜택의 수혜자가 되는 행운을 잡을 수 없는 것 이 현실이다.

교육

이용자 가족형태

보육시간 부모의 참여 보육시설

유아

집과의 거리 영아

보육시설과 관련된 키워드

주민센터 공간분석 송파구는 26개 동으로 나뉘며, 각 동마다 하나의 주민센터가 있다. 기존의 프로그램과 공간분석을 통해 개선할 부분과 보존할 부분을 파악하고자 유형 분석을 하였다. 공간을 구성하는 주요 프로그램은 민원실 및 사무공간, 주민 자치공간, 향토예비군으로, 보육시설은 건축법에 따라 지상층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공간구조를 변경해야 했다. 또한 노후도를 조사한 결과, 26개 동의 약 90%가 20년을 경과하여 신축이 가능하였다.

4F 3F 2F 1F B1

SAMPLE-A

SAMPLE-B

SAMPLE-C 주민자치공간

SAMPLE-D

SAMPLE-E 민원실

SAMPLE-F 향토예비군


1990년대 2000년대

7

보육과 주민 프로그램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영유아 보육

시간제 보육

09:00

12:00

야간 보육

19:00

198 199 24:00

주민센터 그물망 활용

보육센터와 통합된 새로운 형태 제안

work

송파구 내에서 효과적인 보육네크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민센터 이용자들의 타임라인을 반영하고 지역주민 커뮤니티와 연계하여 자생적 이고 참여적인 안심 보육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다. home 보육의 종류는 영유아 보육(종일반), 시간제 보육, 야간 보육으로 구분되는데, 시간적 성격을 반영하여 일반보육인 영유아 보육을 Type A, 부모의 시간을 in 3 min. 고려한 보육을 Type B로, 각각의 기본체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Type A에서는 보육에 대한 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아동이나 노인에 맞는 돌봄을 배우고 봉 in 5 min. 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노인들은 노인그룹홈에 거주하면서 시간제 보육에 관한 교육을 받고 일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지역커뮤니티의 in 10min. play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주체적인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보육과 주민 프로그램 Childcare and Resident Program

영유아 보육

Networking System

시간제 보육

지역주민 커뮤니티

Type A

야간 보육

일반보육 09:00

12:00

19:00

24:00

시간제 보육

(7:30am~ 6:30pm)

+

work

Type B

주민자치센터

보육교육센터

주민자치센터

(최대 4시간)

+

노인 그룹홈

야간 보육 (7:30pm~7:30am)

home

청소년

play

노인

봉사

지역주민 커뮤니티

Type A 일반보육

일자리 제공

Type B 시간제 보육

(7:30am~ 6:30pm)

+

주민자치센터

보육교육센터

주민자치센터

Window Dimension For Kids

(최대 4시간)

+

노인 그룹홈

야간 보육 (7:30pm~7:30am)

Loft Design For Interaction 로프트를 프로그램 공간마다 삽입함으로써 층고를 높이고 레벨을 다양하게 만들면서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을 하게 한다. 아이들이 이용할 로프트 공간을 그 밑 공간의 높이와 위 공 간의 면적별로 나누어 대안을 구성하였다.

일어섰을 때 눈 높이

청소년

봉사

노인

일자리 제공

Model1 Starter (Overall Height: 1.5m)

손이 닿을 수 있는 수직 거리 Model1 Classic (Overall Height: 1.5m)

Loft drecesign for interaction

팔 너비

Window dimension for kids

Model2 Starter (Overall Height: 2.2m)

Model2 Classic (Overall Height: 2.2m)

앉았을 때 앞뒤 폭

세면대 높이

Placement of Windows For Kids


7F 31 다목적실 32 휴게실 33 독서실

6F 27 도서관 28 식당 29 열람실 30 테라스

1층 놀이터

5F 23 24 25 26

도서관 초등 저학년부(9세) 수면실 초등 중등부(10세)

4F 3층 나눔실+영아반

20 영상실 21 초등 저학년부(8세) 22 수면실

3F 14 15 16 17 18 19

교사 휴게실 야간 보육실 수면실 상담실 나눔실 미취학 아동(6, 7세)

8

9 7

10 11

2F 6

6 직원 휴게실 7 동장실 8 사무실 9 세미나실 10 유아실(3세) 11 자료실 12 아동실(4세) 13 아동실(5세)

14

13

12

6층 도서관

N

1F Main Entrance

3 민원실 4 유아 놀이방 5 옥외 놀이터 DN

B1 1 향토예비군 2 기계실

0 1

5

10 M

Ground Floor Pla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7

1

5

Elevation

10 M

8100

2500

5500

3300

0

200 201

사무공간 사무공간 유아공간 유아공간

주민자치공간 주민자치공간

5500

3500

3300

4500

노인그룹홈 노인그룹홈

10

0 1

10

5

5

10

Section

10 6300

5

5

0 1

2500

0 1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RETHINKING LOCALITY 본 교과목은 설계스튜디오의 마지막 단계로서 설계담당교수별로 주제를 설정 하되 건축담론의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실험을 설계주제로 한다. 아울러 건축과 타 분야 간의 적극적인 접목을 통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건축가로서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과 건축을 통한 사회적 소통을 동시에 모색한다. 수행과제는 개인 또는 공동 작업으로 진행되며 설계팀의 일 원으로서 조정자로서의 역할과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배운다.

STUDIO TUTORS: Hyoung-gul Kook Jeongjoo Kim Chihoon Lee


Folding & Folding 접고 또 접다 김보람 Boram Kim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일시적인 기간 동안 공간을 만드는가설치물들은 대부분 텐트나 컨테이너 박스로 만들어 진다. 이러한 사례들은공 간의 형태나 크기에 정해진 한계를 가지며 운반의 효용 성이 떨어진다.이 프로젝트는 이러한가설치물이 갖는 한 계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만들고자 하였다. 하나의 모듈에서 시작하여 이러한 모듈의 집합으로 하나 의 유닛을 만들고 유닛들의 조합으로 다양한 공간 구조 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폴딩’이라는 기법을 통해 실 험하였다. 또한 폴딩으로 만들어진 공간이 실제 구현되 기 위해 재료의 성격에 따라, 스케일에 따라 어떻게 달라 지는지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자유롭게 다양한 형 태를 갖고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한 가설치물의 새로운 프 로토타입을 제안한다.

Model Fix joint/ button

PVC box

Joint

Joint hall

The temporary installations supporting space are usually made by using tents, container boxes. But they havethe limits in flexibility of form and size, and also inefficiency in transportation. This project was proposed a new prototype which can overcome these limits of existing temporary installation. Starting from one module, ‘Folding’ technique had been explored to assemble unit structures which were accumulated for various spatial structures. In this process, analytical controls of folding geometry were experimented andphysical models were built in different scales and materialsto test actual construction. Finally, the prototype of folding structure had been developed which can be formed dynamically, and transported and installed easily.

→ 실제 사용되는 재료는 종이 박스보다 유연성이 좋고 습기에 강 함으로 야외 등에 설치할 경우 활용도가 높은 PVC box이다. 여 러 구멍들은 실제 조립할 경우 버튼을 이용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Scenario 5.5m

Plan 3m

3.3m

Elevation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Structure Tension

Detail

204 205

Module Type1

Stress

a

Angle b

Type2

Control wire

a

b

Type3 Joint

Type4 Footing

Type5

a

b

구조적으로 빨간선 부분은 압축력에, 파란선 부분은 인장력에 강하고, 유 닛의 형태가 넓어지면서 두 유닛이 이루는 각도가 커진다.

모서리 조임은 조절가능한 와이어, 유닛이 만나는 조인트는 탈부착이 가 능한 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유닛의 이 동성을 높이고 부피를 최소화 했다.

Type6

무대장치로 이용

아케이드로 이용


Sinchon Visitors' Center 신촌동 방문자 센터 정문영 Moonyoung Jeong 국형걸 스튜디오 Hyoung-gul Kook Studio

신촌은 한국에서 대학생들의 젊음을 대표하는 공간이다. 많은 대학들이 위치한 신촌은 서울에서도 손꼽히는 번화한 대학가 이자, 일본인, 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쇼핑 관광 명소이 다. 본 사이트는 신촌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적 건물이 보존되 어있는 (구)신촌역사 앞 광장을 다룬다. 현재 사이트 뒤로는 경 의선이 지나가는 민자역사가 있고 이대, 연대 사이의 중심지 로 대중교통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이 프로젝트는 신촌의 관 광객과 대학생, 지역주민들을 위한 문화, 휴식공간 및 관광안 내센터를 제안한다.기존 지형의 복원과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적, 공간적 연계를 통해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함께’ 어 울릴 수 있게 해주고, 분절된 도시적, 문화적 맥락을 ‘연결’ 해주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Sinchon is an iconic area for young people in Korea. Sinchon is a university town where many universities are located,and foreign tourists’favourite place for shopping. The site is the area in front of the oldsinchon station which is one of the oldest historical buildings in Sinchon. The new sinchon stationpassing kyoung-ui railroad is behind of the site which is the centre of public transportations between Ewha W. Univ and Yonsei Univ. The project proposes culture and social space for students and neighbourhoods, also tourism information centre for foreigners. By restoring the historic topography on site and connecting neighbouring areas spatially and programmatically, the project was intended to make different groups of people get along together, and connect urban and cultural contexts which were separated in existing site.

위 치 용 도 대지면적 층 수 건축면적 건 폐 율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72-12번지 상업시설 문화시설 2500 m2 1-2층 560 m2 30%

인근 거주자와 외국인, 대학생이 함께 쓰는 공간 N

Plan 0 1

3

Library Exhibition Study Tourism Cafe

165m2 55m2 130m2 110m2 100m2

6M

Sectio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Site Analysis

조감도

Program

40m

변화하는 신촌의 모습을 담은 전시 공간 휴식, 산책을 하면서 시간을 가볍게 보내는 공간이자 대학생 pop-up전시도 일어난다. 대학생들을 타겟으로 하는 Book Cafe 인근에 이대, 연대, 홍대, 서강대가 위치해 있어서 대학생이 거주 인구인 듯 보일 정도로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유동인구이다. 수업이 마치면 캠퍼스 공동화 현상이 일어나므로 대학생의 라이프 스타일인 'coffee + office = coffice' 요구를 수용한다. 외부공간과 긴밀 하게 연결된 공부 공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기대한다. 관광객들을 위한 Tourist Information Booth 역은 그 지역을 상징하는 입구이며, 그 곳의 방문객을 맞이하는 역할을 한다. 하루 평균 50명 이상이 방문하는 신촌역사는 위와 같은 역할을 소극적으로 하고 있다. 기능을 확장 시켜서 앞으로 관광명소로서의 신촌에 부응하도록 한다.

6m

60m

6m

slo

pe

206 207

이대부초

신촌역

공용주차장 2차선 도로 쌈지 공원

Program Array

Adaptive Process

Exterior Variations

상업 시설

지형적 단절으로 고립된 공간을 지형적으로 이어주어 시각적, 문화적 교류를 형성한다.

Present Site

Topological Grid Axis

밀리오레 신촌민자역사

(구)신촌역사

신촌동주민센터

옹벽으로 인해 접근이 단절되었던 주민센터, 신촌민자역사, 큰 대로를 지형에 연속하게 하여 자연스러운 경사를 두어 새로운 문화적 교류와 물리적 접근을 용이하게 하였다. Site Plan


Urban Hammock/Overlapped 보스턴 포트포인트 채널 벤치 디자인 박신영 Sinyoung Park 김정주 스튜디오 Jeongjoo Kim Studio

Fort Point Channel은 미국 보스톤에 위치한 급부상하는 문화 지구이다. 이 지역을 찾는 다양한 관광객과 주민들은 연령과 목적이 다양하므로, 이러한 점 을 반영하여 벤치에 앉는 다양한 자세를 디자인의 주안점으로 두었다. 크게 두 개의 디자인으로 모두 양면으로 쓸 수 있다.

Fort Point Channel is rocketing cultural district in Boston, US. Since the site is getting popular recently and visitors are not limited in age or purposes, design of street furniture has aimed at reflecting variety of physical posture. Overally, there are two distinctive designs of reversable street benches.

Urban Hammock은 탄력이 있는 밴드가 두 개의 모 양은 같지만 방향이 반대인 철골 구조를 감아 구성 된다. 결과적으로 한 면은 구분되어 있지 않은 오목 한 좌석으로 사람들에게 앉는 자세의 자유로움을 허 용한다. 다른 면에서는 네 부분으로 분리되어 프라이 빗한 좌석이 마련된다.

Urban Hammock is made up of elastic band rapping two identical steel structure dualized. On one top, the whole seat is concaved, not defining where to sit but letting people have a poise freely. On the other top, there are four separated seats, still not confining the actual posture of sitting using elasting band crossed. Urban Hammock

Concept Reversable elastic bench

Maximum volume New independent volume by connecting diagonals

360˚

Two homeogeneos frame in the opposite directions

360˚

Rapping elastic band from a point to lin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208 209

Fort point channel, Boston, US Location Use district nature, preservation district Requirement Using recycled, reclaimed, renewable materials Outdoor public use Maximum volume 30”x48”x72” Hold 600lbs of weight for 2 people

Overlapped는 Urban Hammock과 마찬가지로 양면을 쓸 수 있으며, 좌석으로 쓰이는 판재 사이에 모듈이 결합할 수 있는 갈퀴부분이 중간에 위치하여 무한정으로 좌석의 길이를 늘일 수 있다. 또한, 등받이이자 다리가 되는 fin의 기울기와 길이를 다르게 결합하여, 양면 사용시 전혀 다 른 자세를 유도한다.

In Overlapped, there are our rigid modules unite into one. The module is consisted of two plane seats on both sides, grooves in between for combining modules. Five modules are combined totally, and this bench has potential to expand unlimited. Moreover, fins, as back fins or legs of bench, are varied in slope and length, which enable distinctive posture of sitting on either side. Overlapped

Concept Overlapping people in overlapping bench

Single unit with grooves 700 x 700 mm

Overlapped 5 units 1750 x 700 mm

Direction for two bases per one person

Titles fins

Overlapped

Usage

Change of posture by level of seat

Change of posture by back slope of seat

Model


Site analysis Take Playing, Enjoying, Gathering

놀고 즐기고 모이는 배수장 김고은 김예진 Goeun Kim Yejin Kim analysis SiteSite analysis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아르코미술관 공공미술팀이 시민들의 일상 속 예술 향유를 증진하는 도시공원을 창조하고자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금성배 수장에 '공공장소 속의 미술'을 제안했다. 금성배수장은 장마철에만 사용되 기 때문에 연중 2~3일만 배수장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나머지는 보기 흉한 공터로 남아있었다. 또한 인접하는 문화제, 축제행사와 어울리지 못하고 철 조망이라는 물리적 조건으로 활용가능성이 부족했다. 공주시민의 생활패턴을 조사하고 금성배수장이 공주시민들을 위한 '놀고, 즐 기고, 모이는, 배수장'이 되도록 '자리"를 제공한다. 이로써 배수장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활용으로 지역 주민 등 많은 사람들을 끌어 들이는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이치훈 스튜디오 Chihoon Lee Studio

ARCO(Arts Council Korea) and arco arts center suggest that ‘arts in the public’ at Kumsung drainage, Gongju-si, ChungCheongnam-do for the citizen to enjoy the various cultural, nature things in the park of the city. This drainage system is used a couple of days per year during the rainy season, this has seem a ugly nuisance the rest of days. We survey the life pattern of Gongju citizen, provide a space for them to play, enjoy, gather. This place function not only drainage, but a lot of program, using of space as attracting many people.

Site analysis

소규모 공연장의 공연을 관람하는 사람들과 배수장의 전체적인 모습

위 치 규 모 인 근 시 설

Site analysis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204번지 2,792 m2 산성시장(상설 및 1.6일장), 주거지역 금성배수장은 현재 하천 법에 의해 하천시설(배수펌프장), 재난시설이고 도시공원으로 용도변경 예정

reverse Concept

왕릉 = '무덤'

'무덤'

Site

Concept Concept Concept Concept

죽음, 닫힘, 어둠, 우울, 부동, 장례식, 제사, 축하하지 않는 행사

공주의 축제 분석

부활, 열림, 밝음, 활기, 역동, 재생, 신남, 축하하는 행사

광장 쉼터 Site plan

"놀고, 즐기고, 모이는 배수장" 노는 문화

주민 참여

접근이 불가능한 공간을 열어두어 배수 기능과 더불어 공주의 축제 공주의 축제 분석분석 높여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공주의 축제 분석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활용성을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210 211

Concept tpecnoC

Concept Concept Concept tpecnoC

N

석분 제축 의주공

공주의 축제 분석

0 1

3

6M

Plan

석분 제축 의주공

Gong-ju Analysis 공주의 공주의 공주의 축제 축제 분석 축제 분석 분석 공주시 문제 문화시설부족 놀거리가 없음 축제시에만 열리는 행사 참가 주민에게 제공되는 가벼운 공간 부재 주민 자치 활동 및 시설 부족

Site plan

금강고수부지

주차장

공산성

대상지 환경 문제 연중2~3일만 이용되는 보기 흉한 공터 축제 행사와 어울리지 못하는 공간 밤에는 공동화 현상으로 어둡고 무서움 철조망으로 막혀서 출입이 불가능 문화재와의 접근성이 낮음

물이 고이는 공간, 풀이 자라는 공간, 흙이 쌓이는 공간이 하나의 패턴을 형성한다.


Goeun Kim, Yejin Kim | Take Playing, Enjoying, Gathering

다양한 행위 행위Space 가능한공간 공간 Activity 다양한 가능한 다양한 행위 가능한 공간

resting

talking

tea-time

eating

1단계 맨땅 0m

reading

2단계 호수 0.3m

drawing

listening

dancing

game

drinking 3단계 징검다리 1m

alcove 4단계 바위 1.6m floor

stairs

Solid Figure

Space Usage

A : 1800 X 1280

B : 2700 X 1290 900~3000

900~3000

관람의 기능 관람의 관람의 관람의 기능 기능 기능

전시 전시 전시 전시 영상 영상 영상 영상

수직공연장 수직공연장

수직공연장

다양한 행위 다양한 행위

다양한 행위

관람의 기능 관람의 기능

관람의 기능

낮의 배수장 모습. 유리벽에 배수장 모습이 비치고 공연을 관람하는 사람들의 모습

시 + 영상 전시 + 영상

+ 영상

전시 전시

전시

영상 영상

영상

밤의 배수장 모습. 스크린에 영화를 상영하고 그것은 관람하는 사람들의 모습

공연 볼거리

소규모 공연장

전시 영상

판매 먹거리

공간 사용률

다양한 행위 가능한 공간 다양한 다양한 다양한 행위 행위 행위 가능한 가능한 가능한 공간 공간 공간

다양한 행위 다양한 다양한 다양한 행위 행위 행위

영상 ++++영상 영상 영상

현 배수장 계단과 같은 거친 콘크리트 박스들을 배수장 바닥에 흩뿌린다. 다양한 면적과 높이를 갖고 있어서 수직공연장, 전시와 영상, 판매과 먹거리, 휴식, 관람의 장소로 사용된다.

공간 점유율 공간 공간 공간 점유율 점유율 점유율

600

수직공연장 수직공연장 수직공연장 수직공연장

300

전시 전시 전시 전시

300

600

공연 공연 볼거리 볼거리 공연 볼거리 공연 볼거리 공연 볼거리 소규모공연장 소규모공연장 소규모공연장 소규모공연장 소규모공연장 전시, 전시, 영상 전시, 영상 영상 전시, 영상 전시, 영상판매, 판매, 먹거리 판매, 먹거리 먹거리 판매, 먹거리 판매, 먹거리 공간 공간 사용률 사용률 공간 사용률 공간 사용률 공간 사용률

공간 점유율 공간 점유율 공간 점유율

5단계 방파제 2.1m

소규모 공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있다. 그러한 공간을 배수장의 대표적인 3개의 공간, 바닥, 계단, 둔덕에 흩뿌리고 배수장에서도 여러가지 활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212 213

바닥 단차 주는 이유

다양한 행위 가능한 공

Section Elevation 0 1

3

6M

공간 점유율

수직공연장

벽조명

물그릇

스피커

다양한 행위

창고 전시

물이 고이는 평평한 배수장 바닥에 여러 크기의 돌박스를 설치한다. 바닥 뿐 만 아니라 둔덕에서도 사용된다. 계단에는 가변적인 요소로 사람들이 직접 만들고 움직일 수 있는 접이식 구조체를 만들었다. 외관이 좋지 않은 컨테이너 건물을 시각적으로 분리하고, 관리인의 사적 영역을 공간적으로 나누어주 는 유리벽을 설치하여 평소에는 배수장의 모습이 반사된다. 유리벽 위에 롤 스크린은 때에 따라 사용가능하다.

Screen Wall

Facility

330

600

330

360

유리벽에 비치는 배수장

스크린에 영화 상영

스크린에 월드컵 등 상영

30

60

900

600

플라스틱 R30 힌지

Alcove

Section Elevation

+ 영상


House With Natural Environment Activities 자연환경을 끌어오는 집 채한솔 Hansol Chae 이치훈 스튜디오 Chihoon Lee Studio

주변 대지와 어우러져 있는 커뮤니티 가든의 모습

전라남도 곡성의 시골에 건축주의 요구에 맞게 주택을 계획했다. 건축주는 집이 주변 자연과 잘 어우러져야함을 재차 강조했다. 사이트는 넓은 데 비 해, 집의 규모는 작다. 그래서 이 넓은 사이트에 집이 지어졌을 때, 집이 주 변 대지의 파급효과와 비슷한 영향력이 있길 바라며 디자인을 전개했다. 주 택 내부의 각 공간이 외부의 땅과 공간적으로, 프로그램적으로 연계성을 가 지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주택 내부의 모든 공간 또한 서로 유기적 으로 연결이 된다. 이 집의 특징은 주인의 개인적인 공간과, 이 집을 방문 하는 손님들의 공적인 공간이 철저하게 분리되는 동시에, 매개체인 부엌과 화장실, 호소 작업실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I designed the house fittable a client’s needs at Gokseoung, Jeollanamm-do. A client emphasized the house should be meeting the surroundings. I planned the process wishing the influence of the house is same as the large site. I focus on relating the inside of the house with the outside of that as the space plan and program plan. Also, all of the inside is connected to one another. The characteristic of this house is ‘connection and separating’. I separate the owner’s space from the visitor’s, matching all of space with kitchen, toilet and the workplace at the same time.

Concept

Zoning 건물의 배치, 지형의 단차, 채광을 고려하 여 집과 주변환경의 자연적인 요소들이 잘 어우러지게 한다. 집의 활용성을 최대 한으로 높이기 위해 기능, 용도 등 건축 주의 요구에 부응하 도록 계획한다.

Sketch

Wall Shape

=

Form Structure

=

Function Furniture

Master’s space

Public & Private

Living, kitchen for peopl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8

214 215

Master Plan Farming

1 Herb for enzyme

Herb for enzyme Farming

Client’s need

Herb for enzyme Master’s garden

Master’s garden

Community garden

Community garden

2 Master’s garden

Fruit trees 36

37

36

37

36

37

3 Community garden

Fruit trees

1 Work place, kitchen,shed

2

Dining, kitchen

3

Living, kitchen

Panorama 36

Master’s bedroom

Master's garden과 Community garden의 경계

Enzyme workplace

Herb for enzyme과 Master's garden의 경계 Kitchen, Dining

Living

실내

Section

37



OTHER WORKS DIGITAL ARCHITECTURE 1 ABSTRACT OF THE DE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 MASTERS OF SCIENCE COMPETITION

TUTOR: Hyoung-gul Kook


Digital Architecture 1 Grasshopper and 3D Modeling

본 교과목은 다양한 모델링 툴을 활용한 디지털 건축 디자인의 이해와 표현 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학습을 목표로 한다. 단순히 형태를 만드는 도구로 서의 디지털 건축을 벗어나, 학생들은 기하학적 구축 원리에 근거한 디지털 공간상의 구축 및 재현에 대해 학습한다. 더 나아가 Parametric Tool 에 대 한 이해를 기반으로 이러한 형태적 결과를 기하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체계적 으로 조직화해가는 과정을 배운다. 또한, 디지털 실험 장비를 활용한 Digital Fabrication에 대해 이해하고, 디지털 공간상의 결과물을 물리적으로 재현해 내는 과정을 경험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의 형태 및 재료, 구조의 관 계에 대해 보다 폭넓은 이해를 하게 된다.

정문영 ’Take-out Cup’

김수경 ’Barcellona Pavillion’

전은경 ’Expanded Mouse’


OTHER WORKS

218 219

정문영 ’NINARICCI Perfume’

김수경 ’Wine Opener’

김수경 ’Elephant’


Abstract of the Dissertation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and Masters of Science 석.박사학위논문 개요

L.B. Alberti, Francesco di Giorgio, Leonardo da Vinci의 중앙형 건축평면 드로잉 원리에 관한 비교연구 2011학년도 공학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지도교수 임 석 재

황민혜

'원'은 인류의 탄생과 함께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 중 하나이다. 사람들은 '원'을 이상적인 완전성과 신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우주적인 상징으로 여겼으 며, 여러 시대를 통해 종교 . 철학 . 예술 분야에서 응용하여 사용해 왔다. 건축 분야 또한 '원'과 '원에서 발전된 도형정다각형 등'을 건축의 한 형태로 사용 해 왔으며, 특별히 이것을 '중앙형'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원'은 여러 분야에서 공시적 . 통시적으로 애용되어오던 자연스러운 형태였다. 하지만 '원'을 인간 본위의 가장 인위적이고 의도적인 방법으로 디자인에 응용하기 시작한 역사가 있었다. 바로 르네상스 시대 중앙형 건축에서였다. 르네상스 건 축가들은 자신만의 디자인 방식을 통해 공간을 분할하거나 부가하면서 중앙형 건축평면을 다양하게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르네상스 건축가들 중 비교적 초기에 활동했던 L.B. 알베르티,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중앙형 평면 드로 잉 과정을 분석하여, 건축가별로 다르게 작동시킨 디자인 원리를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르네상스 이전에는 건축 척도의 기준이 조화이론에 근거한 '이상 비례' 그리고 수론과 기하형상에 근거한 '상징'이었다. 이집트 시대에 다분히 실용적으로 사용되던 기하와 인체를 이용한 척도가 그리스의 자연철학 시기에 와서는 사변화되기 시작했다. 이 시대에 피타고라스는 수에 상징성을 부여했고, 음계비례도 정리했다. 그리고 플라톤은 우주의 원리로서 기하와 인체를 연결하기 시작했다. 이후 로마 시대 비트루비우스 또한 수론과 기하 학을 인체에 접목시킴으로써 '원 안의 인체'라는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 모든 것들은 소위 '대이론The Great Theory'이라고 불리는 개념에 기초하는데, 중세 시 대에 이르러서는 크리스트교의 영향으로 인해 개념적 변화를 겪게 되었다. 중세인들은 '조화 . 균형 . 통일에 기초한 미적 비례관계' 보다는 크리스트교 적 수비학숫자가 가진 비유적 상징에 집중했으며, '삼각비례ad triangulum'나 '사각비례ad quadratum'를 통해 기하를 기능적으로 사용하거나 도식화 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알베르티,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두 항상 고전을 참조로 했지만, 고전을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은 각각 달랐다. 각자가 이상으로 삼은 대상, 이상을 인식하는 방법 그리고 이상을 추구하기 위한 디자인 원리가 상이했다. 알베르티에게 이상은 '자연'이었다. 따라 서 자연으로부터 찾을 수 있는 조화의 원리인 '콘치니타스concinnitas'를 통한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반면,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의 이상은 소우주의 모상인 '원 안의 인체'였다. 그는 인체를 모듈로 분할하거나, 인체 형상을 직설적으로 인용, 혹은 인체의 기능을 도시의 기능으로 치환하는 방식으로 건축 디자인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선례 관찰 . 다양한 스케치 연구 . 이론화'를 통한 귀납적 방법으로 디자인하였다. 특징적 으로 그는 디자인의 효율성에 집중하였다. 결론적으로 알베르티는 조화이론에 입각한 '이상비례'를,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는 '소우주의 인체'라는 '상징' 개념을 건축 척도의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르네상스 이전 건축 척도의 기준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것이다. 반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귀납적 추론을 통한 디자인의 패턴화가 특징적이었다. 셋째, 각 건축가들의 중앙형 평면 드로잉 방식을 분석한 결과, 알베르티는 조화로움에 근거한 중심에 구속된 제한적 디자인을, 프란체스코 디 지오 르지오는 상징에 기초한 형상 의존적인 내향적 분할의 디자인을 했다. 반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무한 그리드에 기초한 독립도형의 반복적 증식 의 방식을 보이고 있다. 알베르티는 '원'을 자연이 사랑하는 형상이라고 칭하며, 특히 인간 지성의 추론에 의한 아름다운 비례 관계에 몰두하였다. 중 앙형 평면에 있어서도 중심 공간은 콤파스와 자를 통한 정밀한 작도로, 종속공간은 '반원'과 '1 : 2 비율의 직사각형'이라는 반半도형을 증식시킴으로 써 디자인을 하였다. 항상 중심도형과 증식도형이 서로를 의식하는 상대적 디자인이라는 점에서 알베르티의 드로잉은 '조화'에 근거한 중심에 구속 된 제한적 디자인의 방식이다.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는 소우주의 모상인 '원 안의 인체'에 몰두하였다. 그의 중앙형 평면의 이상은 '원' 자체와 ' 인간 형상'이므로 그의 드로잉 방식은 '형상 투영적'이다. 비록 '그리드' 혹은 '사각측량'이라는 형이상학성이 배제된 다소 객관적인 방식을 사용하기 는 하였으나, 항상 전체 형상을 염두에 둔다는 점에서 그의 중앙형 평면 드로잉은 더 확장되지 못하고 형상 안에서만 맴돌고 있었다.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의 중앙형 평면은 형상이 가진 선험적 가치를 디자인의 이상으로 두었다는 점에서 '상징'에 기초한 형상 의존적인 내향적 분할의 디자인 이다. 반면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중앙형 디자인은 그리드를 기반으로 하여 독립된 도형을 무한히 첨가하는 방식이다. 그의 디자인은 '무한 그리드' 에 기초한 독립도형의 반복적 증식의 방식을 따른다. 넷째, 중앙형 평면을 고안하는 방법의 원리를 밝히는 과정을 통해 르네상스 시대에 대한 기존의 여러 가지 복잡다단한 견해들에 관해 재고해 볼 수 있었다. 르네상스라는 시대는 '플라톤 철학', '인본주의', '인간주체'라는 큰 주제로 읽을 수만은 없다. 근대적 사고를 이끌어갈 무한의 개념이 본격화 되었고, 플라톤 철학은 항상 아리스토텔레스적 정신과 함께했으며, 인간 주체성은 초월성과 함께 존재했다. 아울러, 고전에서 배워왔던 형이상학적 이고 미학적인 이유에서뿐 아니라, 효율성을 고려한 건축 디자인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앙형에 내재된 상징성이라는 단일한 가치 아 래 가려져 있던 다른 생각들을 읽어 내고, 그 미세한 움직임 속에 숨겨진 르네상스의 또 다른 가치를 읽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OTHER WORKS

220 221

A Comparative Study of 15th Century Centralized Plans : Understanding the Drawing Principles of L.B. Alberti, Francesco di Giorgio and Leonardo da Vinci Hwang, Min Hye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at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July 2012 Supervisor of Dissertation : Seok-Jae, Yim, Ph.D. Professor of Department of Architecture

This dissertation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incipal design approaches used by 15th century Renaissance architects: Leon Battista Alberti1404~1472, Francesco di Giorgio Martini1439 ~1502 and Leonardo da Vinci1452~1519. By examining the centralized building plans of Renaissance ecclesiastical structures through the iterative process of drawing rather than the macroscopic method of studying the plan forms, a richer, decisivel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each architect’s underlying design principle emerges. The architectural praxis of plan drawing is fundamental to not only conceptualize the schematic layout and spatial order of the building form, but also to interpret the principal design method of each respective architect. To date, scholars have studied these historical building plans through a prescriptive reading of their shared gestalt morphology rather than through the empirical and practical process of drawing and re-drafting the building plans themselves. Thus, the prevailing method of form-reading has rooted an axiomatic interpretation of 15th century Renaissance builders as sharing a common and unified architectural principle, largely based on the perfection of the circular form as the design foci. In my research, I argue that L.B. Alberti, Francesco di Giorgi and Leonardo da Vinci each had distinctively different design approaches to conceptualizing the sacred spaces of their respective building forms. This is visible with a close and experiential examination of their drawing methods from which a new vista of understanding arises.


ABSTRACT OF THE DISSERTATION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AND MASTERS OF SCIENCE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성인지적 분석모형에 대한 연구 2012학년도 공학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지도교수 강 미 선

장 미 현

도시 및 건축의 공간은 성별과는 상관이 없으며, 남녀 모두에게 동등한 것이라는 사고가 일반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학문분야로서 도시 및 건축은 공 간의 '젠더중립성'에 대한 인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서구 페미니스트 학자들에 의해 도시 공간이 젠더화되어 있다는 인식이 생겨나 기 시작한 이후, 많은 연구들은 젠더 관계와 물리적 환경의 상관관계를 밝혀왔다. 페미니스트 연구들은 건조환경의 결정과정에서 여성의 소외, 공적공 간과 사적공간의 이분법적인 분리, 남성과 여성의 차별적인 공간 경험 등을 지적해 왔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유럽연합의 국가들과 캐나다, 호주 등 여러 국가들은 도시와 건축의 공간이 젠더중립적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도시 . 건축공간의 성형 평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개발에 성주류화를 통합하는 노력을 지속해왔다. 성주류화란 정책과정과 정책구조에 성인지적(Gender-Sensitive) 관점을 반영하여 정책의 성형평성을 높이고 젠더 관계에 변화를 꾀하려는 적극적인 전략이다. 성주류화는 모든 분야의 정책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성주 류화 정책 도구인 성별영향분석평가, 성인지예산, 성인지통계는 도시 및 건축 공간이 여성과 남성에게 공평한 환경을 제공하는지 분석하는데도 활 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정책 도구들이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정책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 및 건축 분야는 젠더중립적이라는 사고가 강하고, 도 시 및 건축공간에 대한 젠더 연구도 미흡하다. 또한, 우리나라의 성주류화 정책 도구들은 여성가족부가 제공하는 지침을 기준으로 모든 분야에 일반 화된 형태로 적용되고 있어서 도시 및 건축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쉽지 않아, 원래의 목적대로 수행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성주류화 정책 도구들이 도시 및 건축 분야에서 실효성 있는 제도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도시 및 건축 분야의 특성 을 고려하여 도시 . 건축공간을 성인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도시 및 건축에 대한 젠더 연구 고찰, 성인지적 분석을 위한 성주류화 정책 도구 조사, 해외의 도시 및 건축 공간 성인지적 분석 사례 및 국내의 성인지적 분석 도구 적용 현황 파악,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유사 평가 제도와의 비교 분석 등을 통해 도시 . 건축공간의 성인지적 분석모형 을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시 . 건축공간이 성평등하다는 것은 도시 . 건축의 공간구조가 여성과 남성의 성형평성을 지지하고, 도시 . 건축의 공간이 모든 연령, 임금, 인종의 여성과 남성을 위해 계획되며, 특정한 성에 차별적인 경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공평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 건축 공간의 성평등 은 남성과 여성 사이의 다름이 인식되고, 공간-구조적이고 사회-경제적인 상황 뿐 아니라 그들의 연령, 삶의 상황, 종교, 문화, 사회적 배경이 고려 되어야만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시 . 건축공간의 성인지적 분석모형은 다음의 방법으로 구축되었다. 우선, 거시적 접근으로서 구조주의적 조경계획 평가 (Structuralist Landscape Planning Assessment: SLA)를 활용하여 성인지적 분석모형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이는 도시 및 건축 공간을 건조환 경의 물리적 형태 뿐 아니라 그 기저의 사회적 구조 및 문화적 규범까지 함께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범주는 '상징계', '상상계', '실재계'의 구조주의 적인 구분을 바탕으로, '사회적 규범', '정책의 성별관련성', '정책참여의 성형평성', '자원분배의 성형평성', '법과 제도의 성형평성', '수행결과 및 평 가'의 여섯 가지로 구성된다. 미시적 접근을 통해서는 정성적 요소 및 정량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정성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여성과 남성의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성별요구를 파악하였다. 심층면접과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여성과 남성의 공간 및 시간 사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 . 건축공 간에 대한 성별요구는 '돌봄', '이동성', '여가 및 커뮤니케이션', '안전성'으로 파악되었다. 정량적 요소의 구성을 위해 기존의 도시 및 건축 분야의 통 계에 대해, 통계 프로세스별 성인지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모형의 점검요소에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시 . 건축공간의 성인지적 분석 을 위한 범주 및 분석 내용, 분석 대상 및 점검요소 등을 구성하여 성인지적 분석모형을 제안하였다. 성인지적 분석모형은 도시 및 건축 공간의 성별관련성을 드러내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성별영향분석평가, 성인지예산, 성인지통계가 도 시 및 건축 분야에서 수행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성인지적 분석모형의 범주를 토대로 성별영향분석평가는 사전평가와 사후평가로, 성인지예산 은 성인지예산서 및 성인지결산서로 구성하였는데, 도시 및 건축의 물리적인 환경에 내재된 사회문화적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도구의 활용 형태를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 통계의 성인지 분석의 결과와 성인지적 분석모형을 바탕으로 성인지통계 구성안을 제시하여,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성인지예 산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젠더 연구가 미흡한 현실에서 도시 . 건축공간에서 젠더 이슈의 중요성을 밝히고, 우리나라의 사 회 . 문화적 구조 안에서 도시와 건축 공간을 성인지적인 관점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희소성을 지닌다. 성인지적 분석모형은 도시 및 건축 공간이 젠더중립적이지 않으며, 여성과 남성이 공간에 대해 다른 요구를 가지고 있음을 가시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도시 . 건축공간의 다양한 젠더 이슈를 찾아내는데 분석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 성인지적 분석도구에 기반한 성주류화 도구의 활용안은 도시 및 건축 정책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지침이 고려하지 못했 던 물리적 환경 중심의 분야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의 구조 및 건축 환경 뿐 아니라 그 이면의 구조에 대한 접근을 수반함으로써, 단 순한 불편함의 해소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인 원인의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전평가와 사후평가의 제안 및 성별영향분석평가, 성인지예산, 성인지통계의 연계 방안은 정책이 환류되는데 수월한 형태를 제공하여 성주류화 정책 도구들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THER WORKS

222 223

A Study on Gender-Sensitive Analysis Model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Jang, Mi Hyu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at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January 2013 Supervisor of Dissertation: Kang, Miseon, PH.D. Professor of Department of Architecture

It is the general idea that the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is irrespective of gender and equal to both men and women. Academically, 'gender-neutral' of built environment is regarded as the dominant awareness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But, in the 1970s, the growing re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gender and the urban space, raised by feminists from the West,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nd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the gender relationships and the built environment. They have pointed out the issues of gender inequality; the exclusion of wome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sepa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 and the difference of spatial experience of men and women. These are ongoing issues up until now.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Canada, Australia and the countries of the European Union,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of implementation of ‘gender mainstream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to increase the equity of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Gender mainstreaming is the strategy for implementation of gender equality in all policies at all levels and stages, and for the improvement of gender relations.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the policies for gender mainstreaming - ‘Gender Impact Assessment’, ‘Gender Sensitive Budget’, and ‘Gender Sensitive Statistics’ - have been used to analyze whether the built environment provides a impartial environment for women and men. In our country, these policies are applied to urban and architectural policies.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policies because of the awareness of gender-neutral space, the lack of perspective on gender awareness and gender equality, and the insufficient research on space and gender. Also policy tools of gender mainstreaming are applied in the generalized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guideline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buil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nalysis model of a gender perspectiv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policies of gender mainstreaming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For this, following questions are required to be raised. - What is gender equality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 What is gender analysis of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s? - What are the different needs between women and men in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s in our country? - How can it be evaluated whether the gender needs of the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is reflected or not? - What should be analyzed, and how it should b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and gender relation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survey of the gender studies made in ​​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were executed, and also the gender analysis tools and the practices of gender analysis of foreign countries were researched, and comparison of the present condition of gender analysis tools with other impact assessment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was made. It provides the key of analysis models. Gender equality in spatial planning means that spatial structures support the equality between women and the equal environment for all members of society by considering their ages, living situation, religion, culture, social background, and so on. In this respect, Gender-Sensitive Analysis Model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composition of categories is created by application of Structuralist Landscape Planning Assessment(SLA) as a macroscopic approach. The categories are composed of ‘social standard’, ‘planning models and values’,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distribution of the resources of space, time, and money’, ‘rules and legal framework’, and ‘evaluation’ and are based on understanding of symbolic, imaginary, and real layer as the structuralist work distinguishes. It provides an approach to the built environment as well as social values and norms. Second, it was drawn from microscopic approach to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ments. The qualitative elements are organized by gender needs of the everyday lives of women and men from depths interviews and time-use statistics. The spatial gender needs are classified as ‘caring', ‘mobility', ‘leisure and communication', and ‘safety'. The quantitative elements are obtained by statistical process analysis of gender-specific for existing statistics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e. It is reflected in configuration the check items by identifying of the items and improving of problems in the existing statistics. As a result, Gender-Sensitive Analysis Model provide analytical categories, analytical contents, analytical areas, indicators, and check items, which can be used in ‘Gender Impact Assessment’, ‘Gender sensitive Budget’, and ‘Gender Sensitive Statistics’ and can be helpful in connection with three tools and in reflect of the assessment results. In theoretical aspect, this study has scarcity as the research on how spatial planning should be analyzed, in gender perspective, in situation where insufficient gender studies in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 are carried out. Gender-Sensitive Analysis Model can provide the method that visualize, deconstruct, and redefine social values and norms which create the gender equality or inequality for women and men. In political aspect, as the application of Gender-Sensitive Analysis Model to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it can complement to the existing guideline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uilt environment.


ABSTRACT OF THE DISSERTATION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AND MASTERS OF SCIENCE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주거형 공공임대주택 모델제안 2012학년도 공학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지도교수 강 미 선

남 희 경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 및 고령화와 같은 급속한 인구학적 변동으로 가족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이중에서 눈에 띄는 것은 1인가구의 뚜렷한 증가이 며 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독거노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대부분 독거노인가구는 주변 환경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형성되고 저소 득층이며 사회적 고립정도가 심하다. 특히, 독거노인가구의 안정적이지 못한 거주환경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의 노인주거 관련 지원정책의 방향은 가족과의 동거를 장려하거나 시설공급 위주로 진행되어, 저소득 독거노인가구의 주거문제 를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충분하지 못했다. 노인들의 생활이 경제적으로 빈곤하고 사회 . 심리적으로 소외를 받는다는 측면을 고려하면, 독거노인들이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는 주거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혈연 동년배로 이루어진 유사가족을 형성함으로써 가정과 같은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노인용 공동생활주거가 적합한 주거유형이 된다. 또한 거주환경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아파트에 공동생활주거의 형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 다. 독거노인들이 대다수 거주하는 단독주택이나 다세대와 같은 주거유형은 노인의 안전을 위한 무장애 계획 측면에서 아파트에 비해 불리하기 때문 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주거형 공공임대주택 모델개발을 계획 .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거노인은 경제적으로는 저소득층에 속하고, 사회 . 심리적으로는 사회적 관계망이 취약하여 고립 및 소외감을 느끼는 특성을 가진다. 우리나라의 노인전용주거는 재정적 지원미흡으로 독거노인의 경제적 빈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고, 독거노인의 사회 .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주거대안을 제시 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전체 노인소득의 평균은 저소득층 수준이다. 더욱이 독거노인가구의 소득이 매우 저조하여 노인층의 빈곤율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독거 노인가구는 공적지원이 없이는 생계 유지가 어려우며, 거주환경이 열악하다. 또한, 가족의 부재로 인한 사회적 고립문제가 심각하다. 이를 보완하는 것이 지리적으로 근접한 친구 . 이웃이라는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상호 교류로 나타난다. 현재 정부지원의 노인전용주거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매우 부족하고 저소득 독거노인이 주거비에 가지는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주거 시설에 대한 대책은 무장애 계획(Barrier Free)에 치중되어 있어 노인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취할 수 있는 공간적 측면 계획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대해 국 . 내외 사례를 통하여 소규모의 적정한 그룹인원으로 구성된 공동생활주거는 독거노인들에게 경제적 및 사회 . 심리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공동생활을 하는 노인들은 내 집이라는 소속감을 갖고 노후생활을 긍정적으로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신체적 자립 단계와 일상생활 특성 및 노인주거 설계기준을 통해 공동생활주거를 위한 계획요소를 살펴본 것은 다음과 같다. 노인은 신체적 기능 저하에 따라 완전자립, 반자립, 반의존, 완전의존으로 단계별 구분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생활을 할 수 있는 노인의 자립도를 완전자립 과 반자립까지로 보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의존까지도 거주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고려하였다. 독거노인은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하루의 대부분을 주거공간 내에서 보낸다. 독거노인은 주로 TV시청을 하며 집에서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다. 친구 . 이웃은 주로 집근처에서 만나, 집안에서 만날 때는 거실보다는 침실에서 만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실은 가장 사적인 개인공간으로 거실과 는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사적인 성격의 개인공간과 공적인 성격의 공용공간의 적절한 계획이 요구된다. 노인용 주거계획은 기본적으로 무장애 공간을 지향한다. 각 정부 기관은 그 특성에 따라 국내 노인주택 관련 설계기준을 제시 및 규정하였다. 관련 된 총 5개의 설계기준을 비교하고 본 연구의 계획 전제조건 및 원칙에서 수용할 수 있는 치수 및 기준을 선정하여 최종 계획안을 위한 적용기준으 로 삼았다. 공동생활주거는 개인의 영역인 사적공간과 구성원들을 위한 영역인 공적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국 . 내외 사례를 통해 사적 및 공적공간의 연결 및 구 성방법을 분석하고 유형적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계획 및 제안하는 노인용 공동생활주거형 공공임대주택의 대안주거평면에 따라 사적 및 공적 공간의 적절한 구성방식을 고려해보았다. 최종적으로는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주거형 공공임대주택 모델개발 계획제안을 하였다. 우선, 공동체, 자립성, 정 주성, 접근성, 형평성, 안전성의 계획원칙을 설정하고 계획안에 적용하였다. 세곡 4단지 노인용 국민임대주택 1, 2인용 주거평형인 39㎡, 49㎡의 4 호조합 주동평면계획을 기준으로 삼아 모델개발 계획을 했고, 향후 공공임대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노인용 공동생활주거형식을 도입 하는데 있어서 현실적인 가능성을 제고하였다. 노인용 공동생활주거형 공공임대주택의 모델개발 계획은 궁극적으로 독거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주거는 가 족이 없거나 함께 살 수 없는 독거노인에게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유사가족이 되어줄 것이다. 또한, 대다수의 노인들은 물리적인 거주환경이 우수한 아파트에 거주하고 싶어한다. 그러므로 공공임대주택에 공동생활주거형식의 도입은 긍정적으로 검토할 만하다. 공동생활주거는 함께 사는 구성원들 의 참여와 조화가 중요하다. 따라서, 그 취지와 특징을 이해한 사람이 입주해야할 것이다. 정부차원으로는 기존의 노인용 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격이 나 임대료에 대한 방안도 공동생활주거형식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이 가능한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을 계획하는 것이다. 공동생활을 하는 것은 구성원 상호 지원이 가 능하고 위급시 일차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응급시스템 및 의료지원시스템 등을 지역연계로 도입하여 시행하는 방안도 고려가능하다. 그러 면, 완전의존형 노인을 제외한 대다수의 노인들은 평생 한 곳에서 거주하며 안정적으로 편안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노인용 공동생활 주거형 공공임대주택 계획은 초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얼마남지 않은 우리나라의 노인주거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OTHER WORKS

224 225

A Study on Communal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Planning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Nam, Hee Kyung for the Degree of Masters of Sc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January 2013 Supervisor of Dissertation: Kang, Miseon, PH.D. Professor of Department of Architecture Currently, Korean family forms are changing due to rapid transition of population, such as low birth rate and increase of population ageing.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population of living alone increases with population ageing. The problems caused by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people living alone are such that mos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formed inevitably by surrounding conditions and degree of their low income and social isolation is severe. Especially,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re not stable and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Governmental policies have not been enough to solve problem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ecause they are focused on supporting families and providing facilities. When considering aspects of economic poverty and psychological isola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residential places are needed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live together as a community can be needed. Therefore, communal living provided with a comfort, home-like atmosphere is appropriate as a living typ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pply communal living style to apartment, because barrier-free design of the apartment is good.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methods for development of communal life of residential and public rental home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 low-income. Average income level of the elderly corresponds to income of the low-income families. Moreover, the household incom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very low, which leads to increase of poverty rate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ustenance without public support. Also, due to lack of family member, social isolation becomes a serious problem.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the elderly communicate through friends and neighbors. Currently, homes provided by government for the elderly is not enough compared to social demand and the elderly with low income feel burden for living expanses. Also, the current homes provided by government have been designed based on barrier-free concept, so plans must be designed based on consideration of emotional comfort. From the case studies, it is found that the small group with a proper number of members supports the elderly in economical and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In this case, elderly people showed positive mind of living with a sense of house possession and belonging retirement. Investigation of contents for communal living plan considering physical independence of the elderly and everyday life characteristics and elderly housing design criteria are as following. The elderly can be categorized as full independence, semi-independence, anti-dependence, and full dependence, depending on the physical impairment. In this study, the elderly in the categories of full independence and semi-independence are thought as the proper group for communal living. In some cases, even people in the category of semi-dependent can be inhabited. The elderly living alone spends most of time in residential places watching TV with their regular life schedule. The investigation also shows that elderly often invite their friends and neighbors in their living places, mostly their bedrooms, while it is not appropriate to mix their private spaces with public spaces. Therefore, the plan needs to consider proper private and public spaces according to their purpose. Korean governmental departments have established design guidelines and criteria for housing plans for the elderly, based on barrier-free design. Among a total of five related design criteria, criteria and dimensions are chosen which are acceptable from preconditions and principles of this study. The chosen criteria and dimension becomes foundation of a final proposal. Homes for communal living consists of private spaces for personal life public spaces for the members living together. From the case studies, it is investigated how the private and public spaces are form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lso, the case studies are used to induce proper format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for the proposed plan of communal living for the elderly. Finally, plan of developing models of public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is proposed in this study. Toward that goal, principles such as community, self-reliance, sedentary, accessibility, equity, safety are established and applied to the plan. The plan is made based on the existing public homes in Saegok 4th community, which areas are about 39m2 and 49m2 for the elderly who live by him/herself or with another family member. Also, feasibility to have communal living style for the elderly in constructing or remodeling public homes is considered Plan of developing models of public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is to improve quality of living, by providing members like family to the elderly who live alone. Therefor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communal living style to public homes can be optimistic. Because positive participation and harmony is important in communal living, the members who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admitted to the public homes having communal living style. As governmental action, the existing criteria for admission to the public homes and the rent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oposing plans of public homes for self-reliant elderly people living alone over age of 65, each elderly person can be supported by other members in communal living homes and even emergency response is possible in this type of living. Even so, it is still possible to have measures connecting emergency systems and medical support systems to the local community. In this way, most of the elderly except for fully dependent people is able to spend times in one place with stable and comfort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plan of developing models of public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ith low income can be one of the solutions to the hosing problem of the elderly in our extremely highly aged society.


서울시 제 3회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 은상

사귐이 있는 마을, 중림마을 사귐길에 서서 황선혜 이선경

Sunhye Hwang Sunkyung Lee 지도교수: 유다은 Issue

저층주거지

고층 주거지의 등장과 주거지 간의 단절

우리는 기존의 레이어(저층주거지)곁에 새로운 레이어(고층주거지)가 생겨나면서 발생한 물리적, 사회 적, 경제적 차단이 가져오는 문제점에 대해 주목했다. 이는 표면적으로 들어나는 주거지간의 가시적인 단절뿐만 아니라 내부 소통의 단절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를 위해, 두 레이어 간의 직접적인 연결보다 는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커뮤니티 공간의 조성이 미흡한 기존의 레이어에 더 많은 물리적, 환경적, 문화 적 커뮤니티의 공간을 계획함으로서 커뮤니티 공간의 상대적인 격차를 맞추어 주도록 계획하였다. 대상 지 내에서는 크게 ‘생활가로길 & 중림사귐길’로 그 영역을 구분하고, 골목길과 담벼락 등을 재정비 하는 가로 경관 디자인과 중림사귐길을 따라 나타나는 어린이공원, 마을광장, 쉼터, 카페 등 다양한 커 뮤니티 세부디자인을 바탕으로 활기차고 소통이 가능한 마을의 모습을 도모한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이 러한 세부 디자인 과정에서부터 주민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외부적으로는 저층주거지와 고층주거지의 메인 커뮤니티공간에 같은 행사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 함으로서 레이어간의 소통을 통 한 마을의 발전을 기대해본다.

We noted the problems caused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import blocking between the existing layer (low-rise residential) and the new layer (high-rise residential). It makes visible blocking as well as disconnection of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layers. For this purpose, rather mak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two layers than develope relatively underdeveloped layer to make physical, environmental, cultural community space and remove the relative gap between them. We planned that divide the site into ‘The Neighborhood street’ and ‘The Junrim fellowship street’.‘Streetscape design’ rearranges alleies and walls and ‘Detail community design’ makes children`s park, town square, village shelter and cafes along The Junrim fellowship steet to promote the appearance of the village which can communicate well and be made by their own village residents.

Site

충정로역

서울역 서울특별시 중구 중림동 면적: 52,700m2 인구: 12,858명 세대수: 5,939세대

소통의 회복

2012. 06 중구청 중림동 통계기준 참고

Design Concept 아현뉴타운

손기정 국립공원

Site Analysis

2012 중림(中林) 사람으로 숲을 이루다

빨강-상업, 노랑-단독주택

커뮤니티 공간

공원 및 녹지공간

주차공간


OTHER WORKS

STEP 1

STEP 1

STEP 2

STEP 2

STEP 3

STEP 3

STEP 4

STEP 4

226 227

기존커뮤니티 분석 기존커뮤니티 분석커뮤니티 공간 계획 커뮤니티 공간 계획주민참여 프로그램 주민참여 프로그램 꾸준한 관리와 꾸준한 관리와 및 주민 설문조사 및 주민 설문조사 계획 및 실행 계획 및 실행 주민참여유도 주민참여유도

STEP 1

STEP 1 STEP STEP 1 2

STEP 2 STEP STEP 2 3

STEP 3 STEPSTEP 3 4

STEP 4 STEP 4

기존커뮤니티 분석 기존커뮤니티 기존커뮤니티 커뮤니티 분석 공간 분석계획 커뮤니티 커뮤니티 공간주민참여 계획공간 프로그램 계획 주민참여 주민참여 프로그램 꾸준한 프로그램 관리와 및 주민 설문조사 및 주민 설문조사 및 주민 설문조사 계획 및 실행 계획 및 실행 계획주민참여유도 및 실행

Suggestion

Process STEP 1

<가로경관디자인> 담벼락 새 옷 입히기 골목길 사각지대 없애기 향기 나는 골목길 만들기

A

꾸준한 관리와 꾸준한 관리와 주민참여유도 주민참여유도

STEP 2

STEP 3

STEP 1 STEP1

기존커뮤니티 분석 및 주민 설문조사

STEP 4

STEP 2 STEP2

커뮤니티 공간 계획 기존커뮤니티 분석 및 주민 설문조사

STEP 3 STEP3

주민참여 프로그램 커뮤니티 공간 계획 계획 및 실행

꾸준한 관리와 주민참여 프로그램 주민참여유도 계획 및 실행

<커뮤니티 세부 디자인> 어린이공원 운동기구보관소 마을광장 마을쉼터

B

A

A

STEP 4 STEP4

A

B

B

A A

B

B

A

A-1. 어린이공원

A

A

B

B. 중림마을광장

충정로역

B

중림사귐길 중림사귐길

C A

D

C

B

중림사귐길

AB A

A

A

중림사귐길

중림사귐길 중림사귐길

ED

D

D

B

B

A-2. 공공녹지대

아현고가차도

중림사귐길

꾸준한 관리와 주민참여유도

E

B

C

B

B

C

C

C

C

E

고층아파트 단지

D

E

D E E D 마을뒷동산

E Master Plan

D

D

D

E

E

E

C

D

D 가로경관재정비 D

D

C

C

E

E

D. 마을쉼터

E

E

E. 운동기구보관소

C

C

C

C

C. 마을기업 ‘Rim Coffee’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전국대학생발표대회 아이디어부문 우수상

커피벽돌

Do you want a CUP of coffee? or a BLOCK of coffee?

김유진 마다솜 박소연 박소영

Yoojin Kim Dasom Ma Soyeon Park Soyeong Park 우리는 커피로 벽돌을 만들었다. 국내에서 하루 평균 소비되는 원두 커피양은 3700만 잔이라고 한다. 카페라는 공간은 커피를 파는 곳에서 나아가 하나의 문화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을 일만 개로 잡 고 여기서 하루 평균 소비되는 커피의 경우만 대략 계산을 해 보 자. 커피 음료에 들어가는 기본적인 에스프레소 싱글 샷은 7g의 원두가 들어간다.‘카페베네’의 하루 커피 판매량은 18만 잔이 고, 전국 가맹점 수만 600개가 넘는다. 즉 (180,000잔*7g)/600 개*10,000개=21t 이다. 매일 최소 21톤의 원두커피 찌꺼기가 전 국에서 생산된다는 이야기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원두커피 찌꺼 기는 별다른 분리수거를 하지 않고 일반쓰레기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집안, 카페 내부에서 탈취, 방향의 목적으로 재활용을 하고있고, 카페에서도 재활용을 위해 비치를 해두고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활용 정도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커피 찌꺼기가 그냥 버려지고 있다. 우리는 이렇게 버려지는 많은 양의 커피 찌꺼기를 건축에 적용해보고자 했다.

We made the bricks by using coffee grounds. Average of coffee beans consumption per day in Korea is the amount of 3700 million cups. Furthermore, cafe changes from a place that sells coffee to a place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cultural trends. Let’s calculate the amount of coffee grounds per a day at only franchise coffee shops with holding the franchise coffee shops to ten thousand roughly. And Espresso coffee drinks in a single shot needs 7g of coffee beans. ‘Café Bene’, one of the franchise coffee shops, sales 18 million cups of coffee and there are more than 600 merchants of ‘Cafe Bene’ in Korea. That is (180,000 cups * 7g) / 600 * 10,000 dog = 21t. It means daily production of debris is at least 21 tons of coffee grounds from coffee beans all over the country. This residue of coffee beans that are created emits to regular waste, not to separate and recycle. But sometimes, people furnished the coffee grounds for deodorization or air fresheners in cafés or houses. But the degree of these recycled yet insignificant because a large amount of coffee grounds just to be discarded. We applies a large amount of discarded coffee grounds to the construction.

Mannuals 먼저, 100% 커피찌거기로 만든 커피벽돌은 곰팡이가 생긴다는 것과 강도의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이것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자는 커피 여러번 내리기, 소금첨가, 식초첨가, 후자는 글루텐, 석고, 시멘트를 첨가해 보는 실험을 거쳤다. 그 후 우리가 완성한 메뉴얼 두개를 소개한다.

1

2

3

4

5

1. 석고 커피 벽돌

2. 시멘트 커피 벽돌

재료: 커피찌꺼기 1000cc, 석고 200cc, 국내산 천일염 100cc, 물 100cc, 뜨거운 물, 천, 계량컵, 벽돌틀 1. 커피를 뜨거운 물에 세 번 정도 내린다. 2. 커피와 석고, 소금을 5:1:0.5로 잘 섞는다. 3. 물을 넣고 반죽을 한다. 4. 반죽한 재료를 벽돌 틀에 넣고 손발을 이용하여 눌러준다. 5.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서 양생기간을 거쳐 완성한다.

재료: 커피찌꺼기 900cc, 시멘트 300cc, 물 100cc, 뜨거운 물, 천, 계량컵, 벽돌틀, 주걱 1. 2. 3. 4. 5.

커피를 뜨거운 물에 세 번 정도 내린다. 커피와 시멘트를 3:1로 잘 섞는다. 물을 넣고 반죽을 한다. 반죽한 재료를 벽돌 틀에 넣고 손발을 이용하여 눌러준다.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서 양생기간을 거쳐 완성한다.

Compressive Strength Test 보통 벽돌은 평균 110이상이 나와야 벽돌로서의 강도가 충분한데, 커피벽돌을 벽돌로서의 활용을 할 수 있는지 압축강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석고커피벽돌은 119.3, 시멘 트커피벽돌은 121.0 으로, 벽돌로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228 229

완성된 커피벽돌의 모습

석고 커피 벽돌의 모습

시멘트 커피 벽돌의 모습

Expected Effects - 사회적 효과 1. 집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인도적 차원에서 적은 비용으로 벽돌을 공급할 수 있다. 2. 건축물의 개보수에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다. 3. 각각의 지역, 마을, 혹은 집에서 쉽게 만들 수 있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더욱 쓸모있고 의미가 크다.

- 환경적 효과 1. 커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며 버려지고 있는 폐기물을 재활용한다. 2. 일반적으로 하는 재활용은 재활용품들을 전국의 거점에서 모여 재가공을 통해 다시 퍼져나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있으나, 커피벽 돌은 각각의 로컬에서 재활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이루어지는 재활용과는 달리 운송과 재가공을 통해 생기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이다.

만드는 과정



INTERVIEW ALUMNI - Sookhee Chun PROFESSOR - Hyundai Kim, Hyoung-gul Kook


졸업생 인터뷰

전숙희 선배님

Sook Hee Chun

전숙희 선배님은 94학번 1기 졸업생으로, 2011년 '젊은 건축가 상'을 수상하고, 2012년 9월 '전쟁과 여성인권 박 물관'으로 서울시 건축대상 최우수상을 받으며 '와이즈건 축'의 대표로서, 그리고 이화여대에서 스튜디오 튜터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INTERVIEWER: Sooji Kang Mirae Kang

피키업

선배님 본인 소개를 간략히 부탁 드립니다.

전숙희

저는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Princeton University 건축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습니다. 이로재, Gwathmey Siegel & Associates Architects New York 에서 실무를 하고, 2008년부 터 WISE ARCHITECTURE를 열어 건축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근 작으로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 Y House와 통인동 이상의 집을 계획하였으며, 현재 여러 집단과 연결되어 건축 놀이 활동을 지속 하고 있습니다.

피키업

사무소 이름이 WISE Architecture인데 건축에서 wise하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궁금합니다.

전숙희

싱겁게 들리시겠지만 사실은 제 파트너와 제 이름의 이니셜을 붙 여 만든 YS가 생각의 출발이었습니다. Y에 S를 소문자로 붙이면, Ys가 되는데 그것을 영어로 읽으면 WISE가 됩니다. 우연하게 가 지게 된 이름이었지만, 저희가 건축하는 태도가 되어야 한다는 것 에서 저희에게 좋은 이름이 된 것 같습니다. WISE 건축의 로고 인 WH Ys WISE를 통해 오히려 '왜 WISE인가요?'라고 반문하고 있습니다. 다중적인 의미를 지닌 질문입니다. 근본적으로는 저희 가 건축을 대하는 태도이고, 쓰는 이들이 건축을 대하는 태도였 으면 합니다.

피키업

Play house나 이상의 집 Box Mobile Gallery 프로젝트에서 보면 만들어진 그대로의 형태를 늘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변형 가능성' 이 있는 건축이 특징으로 느껴집니다. 와이즈 건축에서 추구하는 'transforming'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전숙희

개인적으로 건축에서 벽, 바닥 등의 변형을 통해 만들어지는 가 변성 flexibility은 한계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기술적 한계와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머피 베드 Murphy bed는 벽으로 사라지니 좁은 공간의 활용성을 높혀주지만, 접기 전에 이불을 정리하고 묶어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이런 생각에 도 불구하고 두 개의 프로젝트에서 변형을 통한 가변성을 추구했 던 이유는 이들이 사용하는 '물건'이었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을 위 한 집인 play house 는 에바라는 아이들에게 안전한 스폰지로 만 들었습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물건이라는 것을 건축가가 디자 인한 것이고, 박스 모바일 갤러리 역시 실제 전시투어를 하는 것 에 착안해 만든 이동 가능한 전시모듈입니다. 건축이라기 보다 물 건이 쓸모에 따라 변한다는 것입니다.

피키업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이나 Y-House에서 보면 면적이 턱없이 부족하다거나 높이가 불균형한 양쪽 건물 사이에 있는 등 설계 가 그리 쉽지 않은 사이트에서 이루어진 프로젝트가 많이 있습니 다. 그러한 프로젝트를 보면 사이트로부터 설계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는데요. 선배님의 건축에서의 사이트에 대한 생각을 듣 고 싶습니다.

전숙희

실제 건물을 짓는 행위와 연관된 건축가들은 누구도 대지로부터 자유롭지 않습니다. 대지가 설계 과정에 중요해지는 이유는 주변 과의 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길이 있고 주변 건 물들이 서 있는 모습들 속에 내재율이 있습니다. 그것을 도시, 건


INTERVIEW WITH ALUMNI

232 233

축맥락이라 부르는데, 어떤 대지들은 이러한 맥락을 잘 따라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구도시 의 대지들이 그러합니다. 대지가 반듯반듯하 지 못한 이유가 자연환경에서 파생되었듯 건물 이 혼자 다른 방향을 가리키기 힘들어지는 것 이죠. 하지만, 도시, 건축적 맥락은 판교와 같이 사람 손으로 만들어진 신도시들에는 없습니다. 그게 신도시에 갈 때마다 길을 잃어버리는 이 유와도 연관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피키업

작년문광부의 '젊은 건축가 상' 수상하신 것을 늦었지만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일상 속 '작 은 것들'에 주목하며 건축을 통해 사람들의 삶 속 매력 있는 이야깃거리들을 구현해냈다는 평 가를 받으며 수상의 영예를 안으셨는데요. 와 이즈 건축이 주목하는 일상 속 '작은 것들'에 대 해 구체적으로 듣고 싶습니다.

전숙희

누구나 일상 everyday life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동안 건축은 사람들에게 어려운 것, 특별한 사람들의 전유물. 더러는 시공과 혼동되는 것 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작은 것'에 주목하자 는 것은 건축 또는 건축가들이 사람들과 보다 가까운, 생활과 연결된 것들을 통해 친밀하게 소통하자는 것입니다. 저기 몇 천만 원짜리 고 가의 테이블이 있습니다. 혹시 아이가 흠집이 라도 낼까 봐 손도 못 대게 하거나, 아예 유리 를 올려놓기도 합니다. 그 테이블은 이미 가구 가 아닙니다. 머리에 이고 살아야 하는 애물단 지입니다. 건축도 마찬가지입니다. 누구나 집 에 삽니다. 학교에서 공부하고, 사무실에서 일 합니다. 특별한 사람들의 것이 아니라, 누구나 의 것입니다. 누구나 건축가가 지은 곳에서 살 수 있습니다.

Y House


SOOK HEE CHUN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피키업

지난 5월 개관한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에 관한 기사를 보면 '한국에서 가장 슬픈 집', '이야기로 지은 집' 등 여러 가지 별칭이 많습니다.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의 설계에서 쪽문을 열면 나타나는 소녀 벽화와 할머니 부조, 할머니들의 통한을 글로 담은 벽돌, 치유의 마당 등 건축가가 전하 고 싶은 것이 많음이 느껴집니다. 선배님께서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에 진정으로 담고 싶으셨던 이야기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전숙희

전쟁과 여성인권박물관은 역사소설 같은 곳입니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는 아픕니다. 전쟁 통에도 전쟁이 끝난 후 돌아온 조국에서도 그 들의 이야기는 아프기만 합니다. 박물관을 짓기까지 과정도 아팠습니다. 전후에 상처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해 많은 기념관과 박 물관이 지어졌습니다. 하지만 기념비적인 공간을 통해 상처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박물관이 세워져야 하는 참뜻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습니 다. 처음 기금을 내신 할머니의 바램처럼 다시금 전쟁의 피해자가 생기 지 않는 것, 그리고 박물관이 세워져 그 동안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 외로 움 싸움을 해왔던 할머니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이 박물관이 참 의 미를 갖는 일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저희는 박물관 관람객을 위한 마지막 공간인 야생화 뜰이 가장 중요한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위 안부 할머니들이 15살 동구 밖에서 보았을 야생화들이 계절에 따라 하 나 둘 피어있는 모습을 통해 기억이나마 그들을 평온했던 시절로 돌려보 낼 수 있지 않을까 말이죠.


INTERVIEW WITH ALUMNI

피키업

현재 주목 받는 젊은 건축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계신데요. 한 아이의 엄마, 한 남자의 아내로서의 역할까지 한꺼번에 소화하면서 겪고 계 신 어려움은 없으신지, 어떻게 이겨내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전숙희

주변에서 많이 도와주시고 계시지만 꾸준히 고민하고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다 잘 하려고 하면 힘들고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지 속적으로 부족하다고 느끼겠지만, 주어진 시간들을 고민하기 보다 충 실히 지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이런 고민해주는 아내가 있 었으면 좋겠습니다.

피키업

이화여대 건축학과는 여자대학교 중 유일하게 학제에 건축학을 포함 하고 있는데요, 건축학과를 졸업한 여성이 나갈 수 있는 진로에는 어 떤 것이 있을까요? 제 1회 졸업생으로서 동기 분들이나 후배 분들 중에 건축이나 건축 이외의 분야에 진출해 계신 분들 소개도 간단히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숙희

동기들의 경우 설계, 구조, 교육이나 연구, 공무원 등의 분야에 있습 니다. 후배들의 경우, 그 외 기획, 기자, 부동산, 개인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커리어를 쌓고 있는 이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피키업

스튜디오 튜터로서 학생들에게 설계의 '재미'에 대해 자주 언급하시 는데 건축설계를 해나감에 있어 교수님께 가장 큰 재미, 즐거움에는 어떤 것이 있으신가요?

전숙희

재미있어서 하는 일과 일로서 하는 일은 그 결과가 확연히 차이가 납 니다. 태도의 차이가 결과물과 연결되는 것인데요. 건축설계에서 가 장 큰 재미, 즐거움은 궁리하던 것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있습니 다. 건축의 아이디어는 실제 건물을 짓는 것을 통해 구현되기 때문에 그 과정은 힘들기도 하지만 만들어가는 과정은 흥미진진하고, 결과는 기대에 차게 됩니다. 결과에 대한 평가는 다른 이야기지만요.

피키업

향후 와이즈 건축의 방향과 포부에 대해 한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전숙희

와이즈 건축은 일상에 주목한다고 말씀 드렸는데, 앞으로도 계속 같 은 태도로 건축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10년 뒤 모습을 그려보자면 일반적으로 건축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유형의 건물들을 어떻게 개 선하고 바꿀 수 있을지 지속적으로 고민한 결과물들을 낼 수 있었으 면 합니다. 아울러 일상 속 물건 만들기도 계속 하고 싶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쓰임새 있는 물건을 잘 만드는 사람들이다라는 이야기를 들었으면 합니다.

피키업

마지막으로 미래 여성건축가로서 사회에서 만나게 될 후배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

전숙희

요즘 대학생들은 좋은 학과성적, 어학성적, 자격증 등 스펙쌓기로 대 학생활의 참 멋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학이야말로 사 회인이 되기전 원없이 공부할 수 있는 곳입니다. 평생을 해도 아깝지 않을 무엇인가를 찾을 수 있다면 더욱 뜻 깊겠지요. 직업인으로서 자 격을 준비하는 것 보다 내실있는 자기 발견을 통해 평생의 업을 찾을 수 있으셨으면 합니다. 개그콘서트 용감한 녀석들의 노랫말처럼 '고민대신 열정으로'.

234 235

이상의 방 한옥 프로젝트


신임 교수 인터뷰

김현대 선생님

Hyun Dai Kim

피키업

선생님 본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김현대

저는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Princeton University 건축대학원에 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Skidmore, Owings & Merrill LLP New York에서 실무를 하고, 2011년부터 건축사무소 Wonder Architects, 디자인회사 FROG 를 공동설립하여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근작으로 이태원 초등학교 다문화교실 디자인, 영주 영광여중 리모델링, 체부동 한평공원 등이 있습니다.

피키업

김현대 선생님과 국형걸 선생님 두 분 모두 2012년에 이화여대에 새로 오셨 는데요, 새로 오신 두 선생님께서 ELIA를 만드신 이유 및 취지는 무엇인가요?

김현대

디지털 기술의 활용에 대한 교육과 이를 뒷받침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고 생각했습니다. 디지털 건축은 경험에 의한 학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학생들 의 자발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실험적인 연구를 진행함으로 서 이화여대 건축학과 학생들의 디지털 건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했습니다.

피키업

ELIA (Ewha Laboratory for Innovative Architecture)에서 이번에 1회 작품 으로 'Adaptive Conformation'을 진행하셨는데요, 작품에 대한 설명 부탁드 립니다.

김현대

대학캠퍼스는 학생들을 위한 소통의 공간이며, 동시에 주변 주민들에게도 개 방된 공적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Adaptive Conformation'은 이화여자대학 교 캠퍼스 정문 근처 잔디광장에 설치하여, 이화여자대학교의 열린 교육공 간으로서의 상징성을 부각시키고 방치되어있는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 해 기획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이화여자대학교의 상징(배꽃의 개화)이라는 보 편성과 주민과 관광객들을 위한 열린 공간이라는 지역성의 개념을 구조물 의 표면(surface)에 표현하였고, 표면이 곧 구조와 연계되는 하나의 일체화 된 조형성을 구현했습니다. 또한 건축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Parametric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환경디자인을 추구하였습니다. '배꽃의 개화'라는 모티프를 표현하기 위해 간단하고 명확한 Parametric 원리 를 이용하여 복잡한 표면에 대응하는 원뿔형 유닛(unit)을 고안하였습니다. 각 유닛들의 수직축에 대한 각도와 크기를 변화시켜 표면형상이 가지는 구조적 인 한계를 보완하였습니다. 구조물은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디자인 되었고, 각각의 유닛들은 CNC Router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실제 조립 과정 및 현장 설치작업은 학생들의 참여로 이루어졌습니다.

2012년 새로 부임해오신 김현대 선생님을 인터뷰하였다. 김현대 선생님은 Wonder Architects와 함께 'Korea Golden Scale Best Design Award 2012' 수상하였다.

피키업

지난 해 KOSID에서 주최한 'Korea Golden Scale Best Design Award 2012' 를 수상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13년에도 활발한 활동을 하실 것이라 기대 되는데요, 요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김현대

역사적 맥락에서 건축이 도시, 조경, 제품디자인 등 다른 디자인 분야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하는 현상이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특히 각 분야들 간의 경계가 점점 흐려지는 시대에 디지털 구축방식이 건축과 기타 조형분야 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새로운 시대성을 구현하는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작 업하고 있습니다.

피키업

마지막으로 건축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김현대

스티브잡스가 2005년 스탠포드대 졸업식연설 마지막에 소개했던 인용어구 로 대신하겠습니다. Stay hungry. Stay foolish

- The Whole Earth Catalog, 1974 edition


INTERVIEW WITH PROFESSOR

INTERVIEWER: Hyunji Kim, Youjin Jang

236 237

Culturescape - 이태원초등학교 다문화 공간 / 김현대, 임윤택, 신두수


신임 교수 인터뷰

국형걸 선생님

Hyoung-gul Kook

피키업

선생님 본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국형걸

국형걸입니다. 이번에 학생들이 수많은 노고가 들어간 첫 작품집을 축하하고 앞으로도 편집부의 지속적인 멋진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저는 아시다시피 지난해 이화여대에 새롭게 합류했습니다. 저는 연세대 건축공학과와 컬럼비아 건축대학원에서 건축설계를 전공하였 고, 뉴욕에서 건축 실무와 디지털 건축과 관련된 연구 활동을 병행해 오다가 작년 초 귀국하였습니다. 건축하는 많은 분들이 그러하듯, 저도 건축이라는 일을 좋아하고 즐기고 열심히 해가고 있습니다. 이화의 한 가족이 된 지난 한해는 저에게 매우 의미 있는 한해였습니다. 미래의 건축계를 짊어질 여러분들을 가르치고 함께 연구하는 일을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교육자에게 뛰어나고 성실한 학생들을 길러내는 것보다 더 보람된 일은 없을 듯합니다. 하루하루 여러분들 을 만나 수업을 하는 것이 항상 즐겁고 기뻤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더 앞서가는, 더 깊이 있는 건축 교육으로 학생여러분들에게 장래 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피키업

ELIA (Ewha Laboratory for Innovative Architecture)에서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Innovative Architecture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국형걸

Innovative라는 사전적 의미가 중요한 것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그보다는 새로운 건축에 대한 열정을 담는 메시지라고 보면 될 듯합니 다. 모더니즘 이후 건축 및 예술 분야에서는 'avant-garde'적인 시도가 지속되어 왔는데, 이는 기성세대와는 다른 '새로운', '혁신적인', ' 실험적인'것을 추구하는 의지라 볼 수 있습니다. 건축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의 접목은 현재 이미 일반화된 drafting 및 modeling 영역 을 넘어서 새로운 가능성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ELIA에서 추구하게 될 방향은 기존의 건축적 역사와 이론들을 바탕으로 기술적, 시대적 변화에 따른 앞으로의 ‘새로운’ 건축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피키업

선생님의 작품을 보면 대부분 작은 스케일의 구성 요소들이 모여서 하나의 집합체(건축물)을 구축해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그 과 정이 전부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인상적인데요, 구축의 방법으로 디지털 건축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국형걸

기본적으로 저도 건축가로서 건축물을 디자인하고 만들고자 합니다. 건축물은 물론 하나의 요소만이 아니라 개념, 공간, 프로그램, 구 조, 환경, 시공 등 보다 종합적인 과정의 결과물입니다. 건축가는 이러한 종합적인 과정에 있어서 흔히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비유되 곤 하지요.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건축디자인은 이러한 다양한 건축적 요소들이 보다 통합된 시스템으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지휘자 로서 건축가의 능력이 점점 더 중요해져가고 있다고 할 수 있겠지요. 제 설치 작업들은 그러한 건축물을 지향하는 실험들이라 할 수 있 습니다. 그리고 작은 스케일이 모여 하나의 집합체를 만드는 것은 건축 디자인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겠지요. 건축은 어떠한 경우에도 그 스 케일의 특성상 제작 및 운반 가능한 '모듈'의 집합체이기 때문입니다. 그것들이 모여서 '어떻게' 만들어지는 지가 제가 관심을 갖는 부분 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구축의 방법'으로서 디지털 건축(?)이란 표현은 잘못된 이해에서 나온 듯 하네요. 사실 '디지털 건축'이란 것은 별도의 '분야'도 아니고 '디자인'을 가져다주지도 않습니다. 단지 복잡한 수학문제를 푸는데 좀 더 효율적이고 논리적이기 위해 '계산기' 를 활용해서 푸는 것이라 보시면 적절한 비유일 듯합니다. 즉, 구축의 방법은 건축에서의 텍토닉(Tectonic)적인 디테일 디자인에서 나오 는 것이고 그 과정과 방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자 '디지털 툴'을 쓰고 있습니다.

피키업

마지막으로 건축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국형걸

건축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제가 건축의 길에 처음 들어서면서 받았던 질문입니다. 정답이 있지도 않지만, 저도 건축가로서 아직도, 그리고 앞으로도 평생 찾아가는 숙제입니다. 여러분들도 여러분들 시대의 건축은 무엇인지, 여러분들 본인의 건축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고 계속해서 고민해가기 바랍니다. 저도 건축을 시작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여러 가지 난관을 많이 경험해 왔습니다. 여러분들도 앞으로 학교를 다니고 사회에 나가면서 수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항상 건축을 처음 꿈꾸던 때를 잊지 말고, 자기 길을 묵묵히 가면 여러분 누구나 충분히 성공적인 여성건축가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열심히 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고 하지요. 무엇보다도 건축을 좋아하고 이 공부를, 이 일을 즐기는 열정 있는 사람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INTERVIEW WITH PROFESSOR

Floating Garden - recent exhibition at SeMA(Seoul Museum of Art) in Seoul

INTERVIEWER: Hyunji Kim, Youjin Jang

국형걸 선생님은 2012년에 이화여대에 새 로 오셨다. ACADIA 2012, Sanfransico에서 "PLIS/REPLIS" 작품 발표, 전시서울시립미 술관 분관 남서울미술관 초청 전시회 '인공 정원'에 참여하였다.

238 239


Timeline 학과 행사 일정

FIRST SEMESTER

2012/03/05 건축학 전공 재학생 OT

2012/05/04 주거학 특강 건축가의 집짓기

2012/03/16 Cross - Year Project 2012/03/20 디지털 워크샵 01. Sketchup 2012/03/21 디지털 워크샵 02. Sketchup 2012/03/30 포럼 & 포럼 건축의 비건축, 비건축의 건축 정재은, 영화감독 김찬중, 건축가 정서영, 아티스트 김정후, 도시정책연구가 이화여대 건축학과,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정림건축 문화재단 공동주관

최삼영 소장, 가와건축

2012/05/08 이화렉처 2火 Lecture 02. 사회혁신, 사회적 경제 그리고 건축 김진화, 오르그닷

2012/05/09 - 11 서울지역 8개 건축대학 연합전시 대학생 2인 주거: LOLLOL 2012/05/17 디지털 건축 특강 Zaha Hadid Project Architect Eddie Can

2012/05/25 주거학 특강 Sustainable Housing Design 이아영 부사장, 희림건축

2012/04/03 디지털 워크샵 03. Photoshop

2012/06/01 표현기법 건축사진 특강 Lecture on Architecture Photography

2012/04/10

김재경, 사진가

이화렉처 2火 Lecture 01. 영화 <건축학개론> 이용주 감독

2012/04/17 디지털 워크샵 04. Ilustrator & InDesign 2012/04/28 이화 FT (Field Trip) 종묘 일대 답사 인솔교수: 윤재신

2012/05/03 구조 특강 Understanding Cooper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Structural Engineer Klaas de Rycke BOLLINGER + GROMANN managing director

2012/07/04 - 09 1학기 우수과제전 및 졸업 전시회 2012/08/05 - 19 [Ewha - CUHK] 2012 Ewha International Summer College Session IV: Delirious Asia Introduction of the New Architecture and Urbanism 인솔교수: 이윤희


240 241

SECOND SEMESTER

2012/09/07 Special Forum

2012/10/09 이화렉처 2火 Lecture 03.

Rethiking Locality - 기록, 영상제작에 대해

도시, 예술과 액티비즘의 교차

김형주, 영화감독

박은선, 리슨투더시티

2012/09/11 구조 특강

2012/10/25 어반하우징 특강 Dutch Unfold

Heather Woofter Axi:Om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12/09/20 제 12회 김옥길 기념강좌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하다' Rethinking Locality in Architecture 승효상, 베니스 비엔날레 초청 작가 왕슈, 2012 프리츠커상 수상자 류 니시자와, 2010 프리츠커상 수상자

2012/09/25 포럼 & 포럼 건축의 비건축, 비건축의 건축 건축가 조병수, 건축가 조민석 이화여대 건축학과,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정림건축 공동주관

2012/10 포트폴리오 전시회

Branimir Medic de Architekten Cie.

2012/10/29 단지계획 특강 Landscape Architecture 오상헌, 건국대학교 교수

2012/10/29 건축학부 1학년 및 전공 미결정자 전공설명회 2012/11/06 이화렉처 2火 Lecture 04. 데이터:인식의 변화와 행동 민세희, Date Visualizer, Media Activist

2012/11/07 동아시아 목조건축의 원리 특강 이강민,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10/05 선배와의 대화 졸업 후 10년 박은영, 해안건축 김은미, JA건축 한정아, SD파트너스

2012/10/06 이화 FT (Field Trip) 독립공원 및 인왕산일대 답사 인솔교수: 임석재, 윤재신

2012/10/08 목조건축 특강 스위스 현대 목조 건축의 이해 Thomas Hildebrand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2/10/08 김옥길 기념강좌 포럼 황두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김일현, 건축역사, 비평 배형민, 건축역사. 비평 임근준 AKA 이정우, 미술, 디자인평론가

2012/11/27 건축기획 특강 2012 변혁기의 주거개발사업의 방향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

2012/12/04 건축기획 특강 호텔개발사업 윤명기, ㈜의종엠베서드 개발사업본부장

2012/12/07 포럼 & 포럼 일상의 건축: 삶과 공간의 관계 회복을 위한 건축 박해천, 디자인 연구자, 홍익대학교 BK 연구교수 김월식, 무늬만커뮤니티 디렉터, 계원예술대학 겸임교수 신호섭, 신경미, 신아키텍츠 공동대표

2012/12/22 - 2013/01/31 Ewha - HKU / HKAC 해외교류 스튜디오 Evolution of Urban Typology in High Density Asian Cities (Field Trip: 2013/01/17 - 24) 지도교수: 유다은, Natalia Echeverri(HKU), Wang(HKI) 외 다수 2013/01 2학기 우수과제전

Casey



TIMELINE

242 243

2012 우수과제전 및 졸업전시회 2012/07/04 - 09



TIMELINE

244 245

대학생 2인 주거 'LOLLOL' - 서울지역 8개 건축대학 연합전시 2012/05/09 - 11



TIMELINE

246 247

"Opening Chronometry" - 2012 ELIA project 2012/09



TIMELINE

248 249

Ewha - HKU/HKAC 해외교류 스튜디오 Field Trip 2013/01/17 - 24


Student Achievements 학생 성과

SEPTEMBER, 2012 2012 리모델링 건축대전

OCTOBER, 2012 일본 건축신인전 Kenchikushinjinsen 2012, Osaka

한국리모델링협회

White Tiger of the West Prize 고주연 'Walking in The Cloud'

특선 채한솔 'Publicness in Commercial Building'

제 3회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

서울시

창립30주년 기념 여학생 건축공모전

은상 황선혜 이선경 '사귐이 있는 마을, 사귐길에 서서'

입선 김선진 '디지털도서관'

동상 김고은 '해방촌, 녹지와 문화의 공존' 채한솔 '연대 하숙촌 주민커뮤니티'

전국대학생 학술발표대회

한국여성건축가협회

한국건설관리학회

아이디어부문 우수상 김유진 마다솜 박소연 박소영 '커피벽돌'

2012 아시아건축신인전

한국건축설계교수회

입선 김현지 'Rethingking Monumentality'

DECEMBER, 2012 전원도시 과천 - '지속가능한 비전을 그리다'

과천시

건축부문 최고작품상 김다솜 이근우 이선경 'Urban Farming' 강영민 김선아 정민경 'Green Urban Fabric' 백초롱 왕주희 최정은 'Green Cell'

제 3회 교육시설 디자인 공모전 입선 이예주 'Behaviorscape'

한국교육시설학회


250 251

제 3회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

고주연, 'Walking in The Cloud'

채한솔, 'Publicness in Commercial Building'

김현지, 'Rethingking Monumentality'

김유진 마다솜 박소연 박소영, '커피벽돌'

୘Я

੥ؐ

Ο‫ה‬і਺

건축신진전

Ο‫ה‬

ɀ ‫ـ‬Ѧ ऎ঵

ɀ &25(

ɀ

‫ݨ‬ΰ ‫ ؀‬ ੨Ԃ‫ ݛ‬ऎ঵

‫ؿ‬ଭ࢕ѦԻ

࢕ࢷʠѦԻ

࣯८ ‫ٻ‬Ҫ

김선진, '디지털도서관'

김다솜 이근우 이선경, 'Urban Farming'

강영민 김선아 정민경, 'Green Urban Fabric'

백초롱 왕주희 최정은, 'Green Cell'

이예주, 'Behaviorscape'

전원도시 과천 - 지속가능한 비전을 그리다


Student Organizations 학생 활동

Pick-EA-up 피키업 Pick-EA-up은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내 편집부 동아리이다. 학기 중에는 동아리 내 친구와 선후배간에 친목을 도모하고 방학 중에는 한 학기 동안의 우수작품 및 학과의 한 해 기록을 취합한 뒤 정리하고 편 집한다. 이렇게 두 학기 동안의 작업을 마치면 한 해의 우수작품과 학 생활동을 총망라한 애뉴얼북 'TEA'가 만들어진다. 개개인의 편집디자 인 실력을 키우며 친구들과의 의견 교환을 통해 함께 더 나은 건축디자 인과 편집디자인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협동작업을 통해 함께 커나가 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pick-me-up은 기운을 돋우는 드링크제라 는 뜻이다. Pick-EA-up은 이화여대 건축학과를 흥분시키는 책을 만들 고자 한다. 또한 이화 건축에서 훌륭한 것들을 뽑아낸다(pick up)는 의 미도 가지고 있다.

지도교수: 유다은

ELIA 엘리아 ELIA(Ewha Laboratory for Innovative Architecture)는 이화여자대학 교 건축학과 내 디지털건축 동아리이다. 이화여대 건축학과 학생들의 디지털 건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건축에 있어서의 학생들의 디지털 기술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기술 적인 활용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성과와 연구활동으로 이화여대 건축 학과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학기 중에는 디지털 건축과 관 련된 정기적 세미나와 워크샵을 진행하며 방학 중에는 이를 실현시키 는 설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전시한다. 또한, 웹페이지 elia-lab.com 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젝트와 기술적 리소스를 소개하고 있고 온라인 에서의 정보 교류와 소통을 나눈다.

지도교수: 김현대, 국형걸


252 253

Students' Association 건축학과 학생회 건축학과 학생회는 매년 연말의 학생대표 선거를 통하여 뽑힌 건축학 과 공동대표(3학년)들과 학생회의 학생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 해간의 학과 전반의 학생활동과 학과행사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일을 한다. 건 축학과 학생회는 단대운영위원회의 소속으로 과뿐만 아니라 건축과와 공과대학 간 학생활동의 연결고리 역할도 하고 있다. 매년 초의 신입생 을 환영하는 새터부터 시작하여 1학기 초 건축학과의 크로스이어 프로 그램을 진행하며, 2학기에는 공과대학에서의 건축학과만의 특색을 살 린 축제 진행과 졸업전시 및 과제전 총괄 등 학생들이 공대와 건축학 과 안에서 즐겁고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많은 일들을 하고 있 다. 소소하게는 학과 학생들의 편의요구사항 반영, 사물함관리 그리고 학과생활 안내 등 학생과 학과간에 소통하는 창구로서의 역할도 한다.

Architen 아키텐 'Architen'은 2009년 2학기부터 시작된 대학간 연합동아리로 현재 경 기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가 참여하고 있다. 학기 중 에는 각 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설계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크리틱을 하는 스터디 활동을 주로 하고, 방학 중에는 함께 답사활동을 함으로 써, 타 학교 건축학과 학생들과의 친목을 도모하고 정보교환을 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지도교수: 이동훈

기타 동아리: 연-이화해비타트동아리, 저거다, 아키락


Epilogue Pick-EA-up! 신용선 편집부장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의 한 해를 돌아볼 수 있는 작 품집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작년 한 해 동안 학생들이 어떤 작업을 했는지,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이 책에 모 았습니다. 다른 학교의 작품집들을 보면서 우리 학교도 우리만의 작품집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드디어 작품집이 나오게 되어 기분이 좋네요. 기억이라 는 것은 기록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잊혀지기에 더욱 우 리에게 필요한 작품집이었다고 생각합니다. 'TEA'가 우 리의 자취를 되돌아 보면서 앞으로 더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작품집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처음'이라는 것은 항상 어렵기 마련이라 기대보다는 걱 정이 더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젊어서 고생 은 사서도 한다고 했던가요. 정말 많이 배웠고 얻은 것 도 많은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다. 혼자가 아닌 '우리'가 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힘들었을텐데 잘 따라와준 부원들에게 고맙고, 이런 기회를 주시고 지도해주신 유다은 교수님, 그리고 도움 주신 모든 분 들께 감사드립니다. 장유진 끝나지 않을 것 같던 대학생활을 마침과 함께 내 사랑 이화 건축의 첫 작품집 TEA도 끝이 보이네요. 항상 뭔 가 하고 싶어하는 의욕에 비해 많이 노력하지 못해 함 께 했던 친구들에게 미안한 마음도 드네요. 특히 우리 대장 용선이에게 고맙고 멋지다고 말해주고 싶어요. 각 자 힘들었겠지만 모두 같이 의욕적으로 성실하게 움직 여줘서 정말 서로에게 고맙고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우 리 끝나갈 때쯤에야 많이 친해진 것 같아 아쉽지만 언 제든 만날 수 있으니 앞으로도 쭈욱 더 즐거운 시간 만 들어 나가요, 자주 놀러 올테니까!! 백초롱 처음 작품집을 만들면서 들떴던 때가 며칠 전 같은데 시행착오를 거쳐 벌써 출간이네요. 처음 직접 만든 책 이라 유난히 애정이 많이 가는 TEA! 그 이름처럼 앞으 로 쌓이게 될 우리의 이야기들이 기대됩니다~ 일년동 안 고생 많았던 가족같은 피키업 멤버들 정말정말 다 들 최고입니다^^


254 255

김예진 절.대.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던 수많은 작업들 이제야 마치고 결과물이 나온다니 믿기지가 않는다. TEA를 만 들면서 좋은 사람들도 만나고,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졸 업을 앞두고 의미있는 일, 재미있는 일로 매우 뿌듯! 피 키업, 더욱 발전하길! 안정원 우리 학교의 '첫' 작품집, 그리고 내가 만든 '첫' 작품집. 처음이라 모든게 어렵고 힘든 작업이었지만 그만큼 뿌 듯하고 자랑스럽다. 학년간 교류가 적어 아쉬웠던 여 대 생활 막바지에 좋은 친구들과 후배들을 알게 되어 기쁘고! 이제 또 두 번째, 세 번째 작품집을 만들어나 갈 피키업! 화이팅♥ 윤소연 졸업 전에 "pick-EA-up"의 일원으로서 작품집 발간 에 참여할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덕분에 성장해가 고 있는 EA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고 우리가 만든 이 작품집이 그 과정을 담을 수 있게 되어 뿌듯했습니다. EA의 발전과 함께 TEA와 피키업도 쑥쑥 자라나길 바 랍니다! 강수지 사람은 기록함으로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우리가 아니 었으면 뿔뿔이 흩어져 개인 외장하드 어딘가 잠들었을 작품들. 감히 말한다.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의 역사 를 쓰는 일이었다고. 나중에 보면 손발 좀 오그라들거 다. 이 후기 포함. 김선아 한 명 한 명 편집부원을 모으는 일부터 작품집이 'TEA' 라는 이름을 갖게 되고 편집을 시작하고. 이 모든 과정 을 무사히 넘기고 벌써 일년이 흘러서 출간을 앞두고 있네요^^ 시작은 어려웠지만 많이 배웠습니다. '피키업'으로 함께 해서 행복했어요^.^ 내년에는 더 멋 지게 성장하길!

김현지 TEA의 첫 번째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너무나 좋은 경 험 한 것 같아요. 처음이라 모든게 새롭고 낯설었지만 나온 결과를 보니 우리 참 잘 한 것 같아요> <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D 피키업 화이팅! 박소연 우리 학교 건축학과 처음으로 생기는 편집부, 그리고 작품집. 그 현장에 나 또한 있었다는 사실이 너무나 도 보람차고 뜻깊다. 나를 포함한 피키업, 편집부원 모 두 한 명 한 명 열심히 만든 작품집 TEA. 내게 있어 서는 평생에 남을 기억이다! 처음인 만큼 서툴었을지 몰라도 그 사이 많이 배우고 성장했다. 편집부원으로 서, 또 우리 학교 건축학과생으로서 매우 뿌듯하고 매 우 행복하다;) 더욱 더 발전하는 모습을 기대하며, 피 키업 사랑해요~ 이예주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의 첫 작품집 TEA! 작품집 발 간을 위해 힘쓴 편집부 피키업 식구들 너무 수고했습 니다. 모두가 애정을 가지고 있는 각각의 작품들을 한 데 모아 발간한다는 점에 설레기도 하고 첫 발간이라 는 이유로 걱정되기도 했지만 잘 마무리되어 너무 뿌 듯하고 자랑스럽습니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피키 업! 화이팅:) 강미래 멋진 이름 피키업!! 작품집 작업이라는 2학년인 저로서 는 다소 생소한 활동을 통해 언니들 어깨 너머로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언니들 수고 정말 많 으셨어용^.^ 드디어 기다리던 우리의 첫 작품집이 나 온다니 앞으로가 더 기다려지네요. 피키업 화이팅!!!!! 윤소영 도움이 많이 못되어서 죄송한 마음이 너무 커요! 하지 만 저 개인적으로는 TEA 작업하면서 새로운 프로그 램도 다뤄보고 선배들과도 알게 되고 뜻 깊은 시간이 었습니다! 내년에는 더 열심히 하도록 노력할게요!*.*




TEA Trajectory of Ewha Architecture Projects Review 2012 발행인 Publisher 강미선 Miseon Kang Chair of the Architecture Department Ewha Womans University 담당교수 Director 유다은 Daun Yoo, assistant professor 편집부장 Editor-in-chief 신용선 Yongsun Shin 편집부원 Editors 장유진 Youjin Jang 김예진 Yejin Kim 안정원 Jeongwon An 윤소연 Soyeon Yun 강수지 Sooji Kang 김선아 Seona Kim 백초롱 Cholong Baek 김현지 Hyunji Kim 박소연 Soyeon Park 이예주 Yeju Lee 강미래 Mirae Kang 윤소영 Soyoung Yoon

Copyright(c) 2013 by Department of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stored in a retrieval system, or transmitted by any means, electronic, photocopying recoding of otherwise, without the prior permission or the copyright owner. 이 출판물의 모든 저작권은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전공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라 여기에 실린 모든 이미지, 텍스트, 교육 프로그램은 보호를 받으며 사전 동 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Architecture tel 82-2-3277-2397 fax 82-2-3277-2396 http://ewharchitecture.kr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