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술

건축기술 #3 / 조적공사

프로필

2017. 5. 29. 0:36

이웃추가

참고교제 : 1. 대한건축학회 발간(2012) "건축기술지침서" / 2. 국토해양부 발간(2013)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3. OO사 발간 건축시공 기술사 해설집 / 인터넷 시공 현장 사진 및 건설 자재 카달로그


제2장 조적공사

[Masonry Work]

 

A. 조적공사 개요

 조적공사는 대공사(토목 및 골조공사)이후 마감(바탕+마감)공사 전 진행하는 공사이다. 조적공사는 설치목적(내력벽or간막이or방수방습or치장)에 따라 재료물성과 쌓기, 긴결방식(시스템)이 달라진다.



[NAP Architects / optical glass house] 50×235×50mm의 크기의 유리블럭을 외관에 6000개 사용(건식)


1. 분류체계 

□ 재료 물성에 따른 분류
1. 콘크리트 벽돌(시멘트벽돌) : A,B종-경량골재 벽돌 / C종1급-내력벽용 벽돌 / C종2급-비내력벽용 벽돌 
2. 콘크리트 블럭(시멘트 블럭) : 기본블럭, 가로근용블럭, 마구리형블럭, 반블럭, 코너블럭 등
3. 경량콘크리트 패널(시멘트 패널) : 콘크리트 판에  셀룰로이즈 섬유소와 실리카샌드 등을 보강하여 고온고압 증기로 쪄서 양생처리한 패널

4. ALC블럭, ALC패널 : 경량기포 콘크리트(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고온고압 양생 콘크리트 건축소재 (단열,차음,내화성능 우수)

5. 점토벽돌(치장벽돌) : 외장용 벽돌(치장벽돌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제품과 규격이 선택 가능) 

6. 유리 블럭 : 유리를 블럭화 하여 습식몰탈 및 건식 긴결재로 쌓아 올리는 벽체방식


□ 쌓기 방식에 따른 분류
1. 통줄눈 쌓기 : 블럭과 같이 사춤몰탈이나 수직보강재(철근)를 하여야 하는 경우의 쌓기방식
2. 영식, 화란식 쌓기 일반 벽돌에서 통줄눈을 피하고 모서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쌓는 방식
3. 공간쌓기 : 주벽체와 안벽체 사이에 단열재나 배관.배선이 설치되는 경우 사이를 띄어쌓는 방식
4. 내민켜 매달아 쌓기 : 외장 쌓기면의 모서리, 문설주, 인방부 등을 입체적으로 내밀어 쌓는 방식

5. 영롱쌓기 : 개부구 아치쌓기나 구멍이 얼기설기 나게(개방감있는) 벽면을 구성하는 쌓기 방식

6. 가로쌓기, 세워쌓기, 옆세워쌓기, 마구리쌓기, 모쌓기 등: 형태에 따른 쌓기 방식 


□ 부위별 조적 공사분류 
- 벽식(조적)구조의 내력벽,  지하 이중벽(방습벽), 파라펫 보호벽, 실내 칸막이벽, 외부 치장벽 


2. 조적공사의 기본개념
(1) 조적재(벽돌)는 기본적으로 압축재이다. [쌓는 높이에 따라 하단부 지지(인방, Pad, Bracket)와 몰탈물성, 횡력 긴결등을 고려해야 한다]
(2) 조적공사의 가장 심각한 하자는 균열이다. [온도-습도-하중에 의한 탄성변형, 건조수축-크리프(Creep)-부동침하 등의 내부응력에 따른 균열이 있다]
(3) 조적조에서 각종 거동을 흡수하여 균열을 방지하는 장치가 있다. [신축줄눈(Expansion Joint), 본드 브레이크(Bond Break), 플렉시블 앵커(Flexible Anchor), 조인트 비드(Joint Bead) 등이 있다]
(4) 외벽 벽돌의 백화(efflorescence)현상은 재료의 흡수율과 줄눈 관리의 미비 때문이다. [벽돌은 흡수율이 4%이하인 제품을 사용하고, 줄눈을 밀실 시공하며, 내력벽 몰탈과 치장벽돌의 연결을 방지하고, 벽면의 방수-배수-통풍이 원활히 한다. 또한 시공 후 실리콘계 발수제를 도포해야 한다]
(5) 시스템 공법은 균열 및 백화등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조적 시스템 공법은 연결 보강재, 지지턱, 통기관 등을 일체의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이다]
(6) 부실한 벽돌쌓기는 후속공정의 하자와 직결된다. [미장,타일,벽지,(방수) 등 공사의 모체가 되는 부분이므로 품질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B. 조적공사 공법 [재료별 분류]


1. 콘크리트 벽돌(시멘트벽돌) 

□ 벽돌성능기준 (표준형)

(1) A,B종 : 경량골재 벽돌 / C종1급 : 내력벽용 벽돌(16MPa이상) / C종2급 : 비내력벽용 벽돌 

(2) 0.5B쌓기=두께 90mm (100) /1.0B 쌓기=두께 190mm(200) /1.5B쌓기=두께 290mm(300)

(3) 벽돌 소미정량(제곱 미터당 소요 벽돌 수) : 0.5B 쌓기=> 1㎡당 75매 / 1.0B 쌓기= 1㎡당 149매 (할증5%) 

(4) 마사토(화강암이 풍화된 흙)를 사용한 벽돌은 습윤상태에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므로 피해야함 

 
□ 벽돌쌓기 방식

(1) 쌓기 모르타르 배합비(용적비) : 시멘트 / 모래 = 1/3

(2) 가로 및 세로줄눈은 10mm를 표준으로 하고 세로줄눈은 통줄눈을 피한다

(3) 1일 쌓기의 높이는 1.2m(18켜)를 표준으로 하며, 최대 1.5m(22켜)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혹서기는 섭씨37도 & 상대습도 50% 이하일 때, 한냉기는 섭씨4도 이하일 때 쌓기를 금지하며, 모르타르는 21~43도C 의 적정 온도를 유지한다

(5) 배관, 배선을 목적으로 벽체에 홈을 파는 경우 벽 두께의 1/3 이하가 되게 한다

(6) 시방서 상 정한 바 없을 때는 영식 또는 화란식 쌓기로 시공한다

 

▷ 사진1. 영식쌓기와 화란식(네덜란드식)쌓기 / 영롱쌓기

<영식쌓기의 모서리(마구리)=>칠오토막 / 화란식쌓기의 모서리(마구리)=>이오토막>

  <영롱쌓기>


▷ 사진2. 1.0B 쌓기 시공사진

 

▷ 사진3. 직각 만나는 조적벽체 보강 : 켜걸음들여 쌓기 또는 보강철물

<반생 보강>

   

조적벽체 높이 및 길이제한

(1) 실내0.5B 조적벽의 경우 높이와 길이가 3.6m이하여야 하며, 1.0B의 경우 7.2m이하여야 한다

(2) 중공벽의 경우 벽체 두께는 내부벽겹과 외부벽겹의 공칭 두께의 합으로 산정한다

 

  부위별 시공 주의사항 

(1) 기성 인방재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간결하게 인방을 설치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경량)압출성형 인방재를 사용하며, 개구부 폭이 클경우 콘크리트 블록조 인방 철골을 사용한다

(3) 일반적으로 1m 이하 개구부의 경우 (폭)80mm x (높이)57mm 기성 경량 인방재를 사용한다

(4) 인방 철골은 4.5m 이하 개구부의 경우 H-200x200x8x12 / 6.0m 이하 개구부의 경우 H-396x199x7x11 / 10.0m 이하 개구부의 경우 H-596x199x10x15를 사용한다 

(5)  4인방 상부 조적 높이 3.6m 이상의 경우는 별도 구조계산이 필요하다

 

  ▷ 사진4. 기성인방재 시공사진

 

  공간쌓기 / 배관, 배선 설치

(1) 조적조 공간쌓기는 일반적으로 바깥쪽을 주벽체로 하고, 안벽체는 주벽체 시공 후 최소 3일 경과 후 적정간격으로 연결재를 설치하여 주벽체와 상호긴결 하여 시공한다

(2) 연결철물은 보통 아연도금철선(#8)을 사용하고 위,아래 엇갈리게 설치하며, 간격은 수평 90cm이하, 수직 40cm 이하가 되게 하고, 개구부 주위 300mm 이내에는 90cm 이하 간격으로 추가 보강한다

(3) 배관,배선 설치 시에는 U형 홈벽돌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몰탈 사춤 및 보강철물로 보강한다

   

2. 콘크리트 블럭(시멘트 블럭)
□ 성능기준

(1) 시멘트 블럭은 2차대전 후에 보급되었는데, 그 구조 형식에 따라 조적블록, 장막블록, 거푸집블록, 보강블록으로 구분된다
(2) 블럭은 일반적으로 속빈 콘크리트(시멘트)블럭을 지칭하며, 보강근을 삽입하는 속빈 부분이 있으며 블럭벽체는 외력을 부담한다

 

□ 속빈 콘크리트 블럭의 종류 및 용도


□ 보강블럭 쌓기  

▷ 사진5. 보강 블럭 쌓기 시공사진

(1) 보강블럭쌓기는 설계도서 또는 시방서에 명기되어 있는 보강기준(수직보강철근, 수평보강메시)을 준수한다

(2) 보강블럭쌓기 벽체의 처짐, 진동, 전도, 균열 등에 대한 적정 상세를 검토, 확인한다

(3) 하루 쌓기 높이는 1.5m(7켜)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4) 벽설치 높이가 3.6m 이상인 경우는 6인치 보강블럭 쌓기를 한다

(5) 쌓기 높이가 6m 이상인 경우는 8인치 보강블럭에 본드빔(가로근용 블럭)을 설치한다

(6) 내화구조의 경우 6인치 이상의 보강블럭을 사용하며, 방화벽의 경우에는 벽체 상부 접합부에 우레탄폼 충전+방화용 코킹처리를 하고 방화벽 콘트롤 조인트 구간(수직 통줄눈 생성구간)에는 Control Joint Filer+방화용 코킹처리를 한다

(7) 벽체 오프닝구간 상부 RC 또는 PC 인방보(Lintel)는 개구부 폭에 따라 배근 및 크기의 기준을 달리한다

 

□ 보강블럭 쌓기 높이기준 및 수직보강 철근간격 

 

 

▷ 사진6(참조). 지하 방습벽 설치사례 : 시멘트 블럭 / 열경화성 수지 패널 / 시멘트 패널(베이스판넬 & 마그네슘보드=>건식벽체 -런너,스터드- 타입)

 

▷ 사진7(참조). 보강토 블럭 쌓기 (부대 토목용 옹벽블럭)

  

▷ 사진8(참조). 고압블럭 (보도용 바닥블럭)

   

▷ 사진9(참조). 투수성 블럭 (보도용 바닥블럭)

- 블록 자체가 빗물이 투수되는 구조로 제작되어진 제품. 투수성 포장블록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집중폭우에 대비하여 빗물이 우수관으로 흘러가는 것을 최소화 하고 우수를 노반으로 침투시키는 구조로 빗물을 지중으로 환원하여 생태계보호 및 우수로 인한 도시형 홍수방지를 목적으로 함


 

3. 경량콘크리트 패널(시멘트 패널)
특징

(1) 경량콘크리트 패널은(light weight concrete panel) 일반적으로 경량콘크리트 및 경량골재콘크리트에 섬유질 보강재를 혼합하여 판넬 형태로 만든 것으로,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여 톱밥·섬유·펄라이트 등을 혼합하여 만든 석고보드(gypsum board)와는 구별된다

(2) 강도개선을 위해 혼합하는 섬유질로 인해 석고보드와 마찬가지로 물기에 취약하여 실내공간 칸막이벽 바탕용(하지용)으로 주로 쓰여 왔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질감과 색상의 인테리어용 마감 패널과 외장재 패널, 단열재(EPS) 혼합패널 등이 생산되고 있다

 (3) 경량콘크리트 패널 설치시는에 조인트 및 교차부 부위의 Crack 방지를 위한 계획 및 시공상의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방수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바탕)패널 교차 부위 변위발생에 따른 마감 타일면 Crack 방지대책 : 조인트 부위 퍼티 면처리 시 메시를 보강하고, 조인트 부위 신축줄눈을 설치한다

   - 패널 이음부위 변위(건조수축,장기처짐) 발생에 따른 Crack 방지대책 : 슬래브 마감면과의 신축줄눈(실링재)을 설치하며, 구조부 바탕면 선보강 후 바탕처리와 마감재 나누기 계획을 실시한다

  
 ▷ 사진10. 다양한 종류의 시멘트 패널


▷ 사진11. 하지용(바탕용) 시멘트 보드 시공사진 : CRC보드, 규산칼슘보드, 마그네슘보드

- CRC보드는 포틀랜트시멘트와 규사 및 천연펄프(Celluose Fiber)등을 물과 배합하여 1만톤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공정으로 양생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무석면 제품으로 온도편차에 따른 길이변화가 적고 석고보드에 비해 습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어도 강도 저하나 박리 및 분열이 되지않는 내수성, 차음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이다.

- 규산칼슘보드는 규조토와, 석회 및 천연펄프(Cellose Fiber)등을 물과 배합하여 1만톤으로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공정으로 양생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무석면 제품으로 온도 편차에 따른 길이 변형율이 적고 물성이 안정적이다.

- 마그네슘보드는 산화마그네슘을 주원료로 하며, 난연성과 방수성이 우수하며, 인체에 유해한 석면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품질관리가 안정적이 자재이다. 마그네슘보드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샌딩보드와 부직포보드로 구분된다.

 


▷ 사진12. 인테리어용 시멘트 보드 시공사진 : EMC보드, 송판보드, 코트콘, 칼시아보드

- EMC보드는 CRC보드의 일종으로 시멘트 보드 위 별도의 마감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모던한 노출콘크리트 디자인의 느낌을 살리는 내장 마감재이다.

- 송판보드는 포틀랜트 시멘트와 규사 및 셀룰로스 화이바 등을 물과 배합하여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통해 건조시킨 무석면 제품으로 표면에 다양한 페인팅 기법으로 여러 디자인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 코트콘보드는 Coated-Concrete Board의 약어로 무기질 보드 표면에 자연 스러운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페인팅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마감표현이 가능하다.
- 칼시아보드는 칼슘실리케이트, 석회석 및 셀룰로스 화이바 등을 물과 배합하여 가압한 후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통해 건조시킨 무석면 제품으로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스럽고 깨끗한 표면을 그대로 드러낼 수 있으며 불연성능 인증 제품이다. 시멘트 보드와는 달리 가공성이 우수하여 목재처럼 취급이 가능하다.
- 불소코팅보드는 비중 1.5 이상의 고밀도 시멘트 보드에 하도, 중도, 상도의 공정을 거친 이후에 불소코팅 마감한 제품이다.

 

내,외장 시멘트 패널 :KDM산업(주)  http://www.ikdm.co.kr


▷ 사진13. 외장재용 시멘트 보드 : 그래픽 콘크리트 패널, 무기질 섬유 시멘트 패널(FC 판넬),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베이스 판넬)

- 일반 외장용 시멘트 보드는 인테리어용 보드보다 비중을 높여(17이상) 내수, 내구성을 높은 자재이다. 

- 그래픽 콘크리트 패널은 프리캐스트(PC) 콘크리트 판넬에 다양한 고품질의 패턴과 이미지를 인쇄한 멤브레인(지연종이)을 타설 전 선부착한 것이다. 그래픽 PC판넬은 단열재, 거푸집용으로도 생산 가능하다. 다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그 사례를 찾아 보기 힘들다.

- FC판넬 (무기질 섬유 시멘트 판넬)은 시멘트 패널 중 변색 및 평활도가 우수한 고급외장재 이다. 방화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염료 착색으로 자연스러운 칼라형성이 가능하나, 국내 현장적용 사례가 아직은 미비하다.(수입자재), 기본 사이즈는 1,250X3,000 으로 규격이 크고 두께는 기본 8t, 12t가 있다. 특장점으로 OPEN JOINT 공법이 가능하다.

- 베이스 판넬은 시멘트 판넬 중 ALC에 속하며, 외장재, 지하 방습벽에 많이 쓰이고 있는 압출 성형판 시멘트 패널의 다른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각파이프 하지에 화스너(fastner)로 부착(에폭시) 시공하며, 엔디드와 코너재 부재를 확인해야 한다. 주로 노출콘크리트 느낌의 매싱면에 주로 쓰였으나 점참 다양한 색상과 질감(결)이 생산되고 있다.

 

FC 판넬 : FC판넬 AL코리아 www.alkorea.com

FC판넬 : 젠타스코리아 www.gentas.co.kr

그래픽 시멘트 패널 :  코인스이앤씨 www.koinsenc.com

베이스 판넬 : 벽산 베이스패널  http://www.bacepanel.net/


4. ALC패널, ALC블럭
□ 특징

(1) ALC는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약어로서 시멘트, 석회 등의 석회 원료 및 규석, 규사 슬러그, 플라이애시 등의 규산질 원료를 분쇄한 것에 물을 섞어 반죽하고, 여기에 발포제인 알루미늄 분말을 첨가하여 다공질상태로 고온, 고압(온도:180도 정도, 압력:10kgf/cm2)의 오토클레이브 양생조에서 양생시킨 콘크리트 건축소재이다.

(2) 1934년 스웨덴 Siporex에 의해 처음 생산되었고, 국내에는 1980년대 후반 도입되었다.

 
□ 제품 

(1) ALC 패널제조사 별로 다양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인증받은 형태의 시스템이 있으며, 시스템 별 내화성능-차음성능에 관한 시공상세가 등록되어 있으며 한국건설기술연구원(https://www.kict.re.kr/)의 인증현황을 확인해야 한다. ALC 두께는 100mm 이상은 2시간 내화구조재로 인정받는다.


▷ 사진10. ALC 패널 : Acotec Panel (압출성형경량 콘크리트패널)

- 아코텍 패널 벽체 구성 일반은 'T75 아코텍 패널 + T15 석고보드 + 암면 T25' - '100K + T10 공간 + T75 아코텍 패널 (두께 200이상) 이다. / 일반적 시공은 아파트, 주상복합, 사무실 등의 칸막이 비내력 벽체에 주로 사용된다.

- 층고 3.3m 이상 시공 시 2단 시공으로 보강공사가 필수이고, 1단 양생 후 2단 시공이 가능하다.

- 시공은 설치패널 상부에는 고정철물/우레탄 폼/암면/코킹, 수직이음부에는 제혀쪽매, PC접합용 모르타르 충전, 하부에는 PC접합용 모르타르 충전을 한다. 마감 전 전용 미장(3mm)이 필요하다.

 

ALC 패널 : 삼정아코텍  http://www.acotec.co.kr/

 

▷ 사진14. ALC 패널 : Styrocon Panel (경량복합 콘크리트패널)

- 스타이로콘 패널 일반 벽체 구성은 'T50 비젼 패널 + 글라스울 T50'-'32K + T50 비젼 패널 (두께150이상) 이다. 

- 공장제작 제품으로 현장 공정은 단순하지만 현장 운반이 어렵다.

- 시공은 설치패널 상,하부 Metal Runner에 패널을 설치(제혀 쪽매)하고, 패널 위 전용 미장 없이 도장 및 벽지 마감이 가능하다.

ALC 복합패널C & I (주) SHIN YOUNG http://sy-cni.co.kr/

 

(2) ALC 블럭 기본적으로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거나 외부에 사용하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며, ALC블럭 공사 전용 쌓기 모르타르 및 미장모르타르를 사용해야 한다 / ALC 블럭 시공단가는 석고보드 복합패널, 압출성형 경량 콘크리트패널, 경량 복합 콘크리트패널 보다  저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진15. ALC 블럭 시공사진 : ALC Block

ALC 블럭, 패널 : 쌍용 ALC  http://www.syc-alc.co.kr/ 

ALC 블럭, 패널 : 벽산 베이스패널  http://www.bacepanel.net/

   

5. 외장벽돌(치장벽돌)
□ 외장벽돌 성능 기준

(1) 점토 벽돌의 흡수율 기준은 KS L 4201에 10%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나, 외벽의 점토 벽돌은 동절기 흡수된 수분의 팽창에 의한 파괴 및 흡수된 수분이 벽돌 또는 모르타르 내의 수용성 염분과 반응하여 표면으로 노출 시 백화발생의 위험이 있으므로 흡수율(5~8%)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2) 흡수율이 극히 적은(흡수율4%이하) 벽돌은 시공연도가 불량하고 부착강도가 떨어지기 쉽다.

(3) 점토 벽돌은 10,000매당 1번 시험을 원칙으로 하나 점토 제품은 제조시기 및 기후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반입된 제품은 별도의 성능시험이 요구된다.

(4) 점소성이 잘된 것일수록 압축강도가 높고, 흡수율이 낮으며 동결융해에 강하고, 백태 발생 가능성이 낮은 반면 치수가 줄고 모양이 일그러지기 쉽다.

 
□ 백화현상 방지대책

(1) 사전방지 대책

- 흡수슐 철저관리(5~8%) / 동절기나 장마철은 피하고 줄눈 밀실시공 / 내력벽 모르타르의 치장벽돌 연결금지 / 통풍구 및 배수고 믹힘 방지 / 치장줄눈 양생시까지 물 등의 접촉 금지 / 시공 완료 후 실리콘계 발수제 도포 

(2) 백화 제거 방법

- 거친솔, 스폰지로 닦음 / 백화 제거 클리너 사용 / 완전 제거 후 발수제 도포 / 근본적인 원인제거

​ 

 

□ 치장 벽돌 쌓기

(1) 콘크리트 면과 조적면 연결 부위 단부 앵커 철물(braket)을 벽돌 7단 이내마다 설치하여 보강

(2) 독창적인 문양의 경우 전체면에 대해 나누기 시공도를 정확히 작성

 

□ 치장벽돌 내민켜 매달아 쌓기

(1) 설치 전 벽돌 긴결상세 및 가설방법 등을 충분히 검토 한다.

(2) 시공순서는 바탕 본체 콘크리트에 하부 받침과 하부 조적을 쌓은 후 하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후, 박스 콘크리트에 세로부분 조적을 하며, 이후 상부 파라펫 콘크리트 타설 후 파라펫 조적을 부착한다.


□ 치장벽돌 균열방지 공법

(1) 균열은 온도, 습도, 하중에 의한 탄성변형, 건조수축 및 크리프(creep_장기처짐)등으로 인해 조적조의 부피 변화에 따른 거동의 제약으로 내부 응력이 발생하여 생긴다.

(2) 균열은 주로 창호 및 개구부 주위, 콘크리트 등 이질재와의 접합부, 부동침하 등 부실 기초 부위, 지속적 하중발생 부위에 발생한다.

(3) 균열방지 대책은 이질재와 접합부 위에 보강재(메탈라스 등) 설치, 세로줄눈 폭 확보 및 충전(붙여쌓기 금지), 콘크리트 벽돌의 품질확보(바탕재 강성확보), 창호 인방의 강도 확보 및 정확한 위치 시공, 적절한 간격의 신축줄눈 설치 등이 있다.

(4) 신축줄눈의 구성

(5) 수직 신축줄눈 위치

(6) 수평 신축줄눈 위치


□ 치장 벽돌 시스템 공법

(1) 시스템 공법은 벽돌 조적조가 치장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추세로 인해 첨예해진 균열 및 백화 등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결 보강재, 지지턱, 통기관 등을 일체의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이다.

(2) 연결 보강재의 요소

(3) 시스템 공법 상세-1 (부위별 상세)

(4) 시스템 공법 상세-2 (벽체 고정 철물 & 앵글선반)

  

▷ 사진16. 치장 벽돌 시스템 공법 적용 사례

<RC골조 : 여의도 글래도 호텔> / <앵글선반 :  역삼동 ABC사옥>

 

□ 치장벽돌 타일 시스템 공법

(1) 외장 벽돌타일은 RC 콘크리트 위 단열재 위에 부착되므로 별도의 하지(바탕)면 형성이 어렵다. 일반적으로는 CRC보드 면을 세우고 메탈라스와 에폭시 본드 부착 방식을 쓰고 있다.

(2) 외장 벽돌타일 시스템 공법은 공장에서 타일이 부착된 판넬(PC판)을 생산하여 현장에서 부착하는 방식이다.  

▷ 사진17. TEC UNIT PANEL 적용사례 

  <타일 유니트 판넬 :  파주 롯데아울렛>

 

□ 치장벽돌의 종류

▷ 사진18. 점토벽돌 & 타일

- 점토벽돌은 고온에서 소생하여 시간이 지나도 유행을 타지 않아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흙의 질감과 자연의 색을 담은 제품으로 점토벽돌의 주원료가 황토, 점토, 고령토 등 100% 흙을 사용함으로써 유해한 물질이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쾌적한 주거와 도심환경을 연출 할 수 있다.

 


▷ 사진19. 고벽돌 & 타일

- 고벽돌은 오래전 순수황토로 지어진 건물을 허물어 재탄생 시킨 벽돌이다(재활용 벽돌). 고벽돌은 습도 조절을 할 수 있고 친환경 자재로 알려져 있으며, 조명을 통한 분위기 전환이 용이하여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건물외부 시공 시 주위 환경과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빈티지한 분위기와 고풍스러운 외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사진20. 청고벽돌 & 타일

- 청고벽돌은 오래전에 지은 건물에서 나온 벽돌을 다시 재사용 하는 고벽돌의 한 종류로 그레이톤에서 은은히 뻗어나오는 푸른느낌이 빈티지하고 고풍스러운 느낌을 준다.

 

 

▷ 사진21. 화산석벽돌 & 타일

- 화산석벽돌은 자연석으로 규격화 되어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내·외장재로 주요 사용되어진다. 강력한 흡착력과 탈취력이 있어 각종 냄새를 제거하고 향균 효과가 우수하다. 질리지 않는 모던한 색상과 자연미가 돋보이는 자재로써 웅장함과 고급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다.

 

  

▷ 사진22. 모노타일

- 모노타일은 시멘트벽돌, 시멘트블록, 노출콘크리트 느낌을 재현할 수 있는 노출인테리어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심플함과 모던함으로 모든 인테리어와의 조화가 잘 되어 공간의 제약 없이 선택할 수있다. 무엇보다도 저렴한 가격과 질리지 않는 깔끔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 인기있는 제품이다.

 

 

6. 유리 블럭
□ 공법특징

(1) 일반적으로 유리 블럭은 유리로 제작된 블럭을 모르타르로 붙여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시공하며, 블록쌓기 보강은 620mm간격으로 아연도금 철선 또는 스테인리스 철선으로 가로-세로 긴결 한다.

(2) 유리 블럭의 모르타르 접촉면에는 염화비닐계 합성수지 도료를 1회 칠한 후 모래를 뿌려 부착한다. 

(3) 유리 블럭 선정 시 단열 및 기밀 성능저하 문제와 국내법 상 방화성능 인정기준 등을 심도있게 다루어야 한다. 시공 시에는 보강철근의 녹에 의한 팽창, 온도변화에 의한 열팽창에 유의해야 한다. 


▷ 사진23. U-Glass 시공 사례

- U-Glass는 표면처리를 한 특수 유리로 질감이 유려하고,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하다.
- 디자인 및 시공은 수직-수평방향 모두 가능하고(수직방향이 다소 경제적임), 최장 6M까지 시공 할 수 있다.
- 보통 두장을 교차한 복층형태로 쓰고, 유글라스는 파손 시 교체, 보수가 용이하다.

- 프레임 시스템 기본 사양은 AL.EXTRUSION(알루미늄 압출간공)이며,TOP & BOTTOM, SIDE 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알루미늄 커튼월과 달리 수직바(멀리언)이 아닌, 층간 수평부재에 보통 앵커링이 되며, 층 중간 가로부재(TRANSOM)가 필요없다.
- 커튼월 유리는 멀리언에 접착되어 인장을 받는 형태라면, 유글라스는 보통 수평바(철강)에 올려지는 수직을 받는 형태이다.
- 수평바는 보통 L-형강, H-형강, ㄷ-형강, ㅁ-형강이 쓰인다.트벽돌, 시멘트블록, 노출콘크리트 느낌을 재현할 수 있는 노출인테리어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U-Glass : 삼일공영ENG http://samilkongyoungeng.com

U-Glass : 리니트 코리아 http://www.uglasskorea.co.kr/


▷ 사진2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시공 사례

- 폴리 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 폴리 카보네이트 단판은 주로 '렉산'이라 불리며 값싼 유리 대용 자재로 주로 취급되나, 폴리 카보네이트 패널은 주로 '단파론'(특정 해외 제조사 제품 명칭)으로 불리며 엠보싱 형상의 복층판 형태로 유리와는 다른 기능, 형상, 미관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의 장점은 뛰어난 채광(난반사, 확산광, 자외선차단)효과, 우수한 단열 및 방수성능, 다양한 색상(투과율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효과와 경관조명 연출, 시공 용이성을 들 수 있으며, 주로 지붕재, 외벽마감재, 인테리어 마감재, 온실, 갤러리창 으로 쓰인다.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 아키폴리코퍼레이션 http://www.danpalon.co.kr/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 폴리이엔지 www.polyeng.co.kr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 SWITEC  www.switec.co.kr  

 


김인곤
김인곤 미술·디자인

[BON건축] www.bonarch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