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효능

황정(黃精) 효능 (1424)

프로필

2020. 5. 23. 8:56

이웃추가
황정(黃精) 효능 (1424)

본초명(本草名) 황정(黃精)은 백합과(百合科) 층층갈고리둥굴레 진황정, 전황정() 또는 다화황정()의 뿌리줄기로서 찐 것으로서 중초()를 튼튼하게 하고 심폐()를 촉촉하게 하며 근골()을 강()하게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임.

​[층층갈고리둥굴레]

1.學名 및 生物學的分類

1)학명 : Polygonatum falcatum A.Gray

생물학적 분류
​2)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3)강 : 단자엽식물강(Monocotyledoneae)
4)목 : 백합목(Liliiflorae)
5)과 : 백합과(Liliaceae)
6)속 : 둥굴레속(Polygonatum)
7)개화기 : 5월
8)꽃색 : 백색, 녹색
9)형태 : 여러해살이풀
10)크기 : 높이 약 50~80cm 정도
11)분포 : 한국(전국 산지), 일본


2.生態 및 特徵



잎은 어긋나기하고 2줄로 배열되며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8-13cm, 폭 10-25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에 달리며 끝이 점차 좁아지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맥위에 돌기가 약간 있다. 엽병은 극히 짧다.



꽃은 5월에 피고 3-5개 때로는 1개가 잎겨드랑이에 다소 산형 또는 산방형으로 달리며 푸른 빛이 도는 백색이고 길이 2cm로서 통형이며 끝이 6갈래이다. 수술은 9개이며 수술대에 털이 없고 꽃밥은 길이 3mm로서 수술대보다 짧다.

열매

열매는 둥글며 흑록색으로 익고 밑으로 처진다.

줄기

원줄기의 단면이 둥글며 높이 50-80cm로서 끝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뿌리

근경은 둥글레처럼 짧으며 굵고 마디가 있으며 가로로 뻗는다. 근경을 황정(黃精)이라 한다.

생육환경 : 산지의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번식방법 : 분근, 종자로 번식한다.

유사종 : 둥굴레, 왕둥글레

  
3.生藥名

1)藥名 : 황정(黃精)
2)이명 :
◈진황정(대잎둥굴레), 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황지(黃芝), 녹죽(鹿竹), 야생강(野生薑), 산생강(山生薑), 옥죽황정(玉竹黃精), 선인(仙人), 구궁초(救窮草)

4.使用部位

진황정, 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근경(根莖)을 황정(黃精)이라 하며 약용한다.

5.採取 와 調劑 (修治, 法製, 炮製)

1)採取
​봄 또는 가을에 굴취하여 시루에 쪄서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때로는 생으로 햇볕에 그냥 말려서 써도 좋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2)修治
원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 및 同屬(동속) 近緣植物(근연식물)의 근경을 봄, 가을에 채취하나, 가을에 채취하는 것이 좋다. 근경을 캐내 지상부분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蒸器(증기)에 넣고 광택이 날 때까지 쪄서 日乾(일건) 또는 焙乾(배건)한다.
◈진황정(대잎둥굴레), 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생용(生用) 혹은 주증(酒蒸) 혹은 훈화(燻化)한다.

6.成分

근경에는 점액질, 전분 및 당분이 함유되어 있다. P. cyrtonema HUA.의 근경에는 azetidine-2-carboxylic acid, asparagine산(酸), homoserome. diamino락산(酪酸), digitalis배당체(配糖體) 및 다종의 anthraquinone류 화합물이 들어 있고 엽(葉)에는 vitexin-xyloside와 5,4-dihydroxy flavone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7.性味, 歸經, 主治 

진황정(대잎둥굴레), 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1)性味 : 감(甘), 무독(無毒), 평(平)
2)歸經 :  비경(), 폐경(), 신경(腎經)
3)主治

근골연약(筋骨軟弱) : 근골이 약해지는 것


병후체허식소(病後體虛食少)

병을 앓고 난 후에 신체의 허약증(虛弱證)이 있으며 음식을 적게 먹는 것.


비위허약(脾胃虛弱) : 비기허(脾氣虛).


폐로해혈(肺癆咳血) : 폐로(肺勞)로 인해 기침하면서 피를 뱉는 병증


풍습동통(風濕疼痛) : 풍습(風濕)으로 인해 발생한 동통(疼痛).


허손한열(虛損寒熱) : 허하여 생기는 오한발열



8.效能

​항노화작용, 항병원미생물작용, 항진균작용, 혈압을 낮추는 작용, 심혈관계통작용, 고지혈증작용, 면역기능영향작용, 혈당에 영향작용, 항산화작용, 강압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동맥경화예방작용, 간지방 침착 예방작용, 근골연약, 풍습 동통, 원기회복, 골막염, 회충, 고혈압, 적백대하, 폐결핵, 병후 쇠약, 소아 하지 마비, 위열 구갈, 진균증, 근시안, 수족 버즘, 폐결핵과 만성기관지염, 고지혈증, 관심병, 백혈구 감소증을 다스리는 황정.

자양강장제로서 보중익기(補中益氣)하고 심폐(心肺)를 자윤(滋潤)하고 근골(筋骨)을 튼튼히 하는 효능이 있다. [허손(虛損)-구병쇠약(久病衰弱)], [폐로. 폐결핵(肺結核)]의 해혈(咳血), 병후 체력부족, 식욕부진, 근골쇠약, 풍습동통(風濕疼痛), [풍나선질(風癩癬疾)-나(癩)에 의한 피부질환]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9-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장시간 약한 불로 달여서 고(膏)로 하거나 환제(丸劑)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전액(煎液)으로 환부를 씻는다.

◈진황정(대잎둥굴레), 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효능 용어해설

윤심폐(潤心肺) : 심폐(心肺)를 윤택하고 촉촉하게 하는 것임.


강근골(强筋骨) :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양음(養陰) : 음(陰)을 길러주는 치료 방법임.


보중익기(補中益氣) : 비(脾)를 보양하고 아래로 쳐진 비기(脾氣)를 일으키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층층둥굴레]

9.效能解說
​황정(Polydonati rhizoma)은 피자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황정(층층갈고리둥굴레)은 높이가 50~90cm이다. 땅속줄기는 보통 짧게 갈라지고 굵은 둥근기둥꼴 또는 덩이모양의 둥근기둥꼴이며 굵기는 1~2cm이다. 줄기는 곧게 서지만 드물게 덩굴성이기도 하며 털이 없다. 잎은 4~6개로 돌려나기를 하며 잎자루가 없다. 잎 뒷면은 회청색이며 줄모양의 바소꼴이고 털이 없으며 맨끝은 뚜렷하게 말리거나 구부러져 있다. 꽃은 5~6월에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꽃차례는 우산꽃차례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모여 달린다. 싸개잎은 작은 꽃자루 밑쪽에 남아있으며 줄모양의 바소꼴이며 막질이다. 꽃덮이는 둥근통꼴이고 중간부위가 잘록하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더 길다. 열매는 물열매이며 8~9월에 검은빛으로 익으며 씨는 4~7개가 들어 있다.


다년생초본으로 우리나라 북부와 러시아, 중국, 몽골에 분포한다. 황무지의 비탈, 산지의 잡목이나 관목의 주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충북 제천시 덕산에서 많이 재배된다.


꽃생김새꽃은 5~6월에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핀다. 꽃차례는 우산꽃차례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모여 달린다. 싸개잎은 작은 꽃자루 밑쪽에 남아 있으며 줄모양의 바소꼴이며 막질이다. 꽃덮이는 둥근통꼴이고 중간부위가 잘록하다. 꽃밥은 수술대보다 더 길다.


황정(黃精)이라는 이름에서 ‘황(黃)’은 뿌리가 황색이라는 의미이고 ‘정(精)’은 태양의 정기를 타고 났다는 의미이다. 기운을 생기게 하고 음기를 길러 주며[補氣養陰], 비위 기능을 좋게 해 주고[健脾], 폐의 진액을 채워 주며 신 기능을 좋게 해 주는[潤肺益腎] 등의 효능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평안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캐서 맑은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16시간 동안 쪄서 칼로 얇게 썰고 햇볕에 말려 쓴다고 하였다. 또는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9번 거듭해서 쓰기도 하며, 생것을 약에 넣어 쓰기도 한다고 하였다.


비위의 기능을 좋게 하고 풍습을 없애며 오장을 편안하게 한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며 배고픔을 모른다고 하였다. 과로로 인해 생기는 여러 가지 증상[五勞七傷]으로 몸이 약해진 것을 보하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 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황정과 낚시둥굴레, 편정(偏精)을 잘 구분하여 사용하라고 하였다. 잎이 한 마디에 맞붙어 난 것은 낚시둥굴레, 맞붙어 나지 않은 것을 편정(偏精)이며 이 둘은 황정보다 약효가 못하다는 점을 밝혔다.


『고종실록』에서 지방의 재해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큰 흉년이 들어 황정이 싹트지 않고 오매는 나지 않는데다가 점점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고 하였다(『고종실록』 38년 10월 9일).


보기양음(補氣養陰) - 보기(補氣) : 기운을 보태주는 방법으로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氣)는 폐(肺)에서 주재하는데 중초비위수곡(中焦脾胃水穀)의 정기(精氣)에서 발생되어 상초(上焦) 개발에 의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므로 기허는 대개 폐(肺)와 비(脾)에서 원인을 찾는 방법 / 양음(養陰) : 음(陰)을 길러주는 치료 방법, 건비(健脾) -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윤폐익신(潤肺益腎) - 폐(肺)를 적셔주고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것.


약재성상


이 약은 뿌리줄기로서 불규칙한 원기둥모양 또는 덩어리 모양이고 길이 3 〜 10 cm, 지름 5 〜 30 mm이며 때때로 갈라져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 〜 흑갈색을 띠고 가로로 마디가 있으며 반투명이다. 위쪽에는 줄기자국이 둥글고 오목하게 패여 있고 아래쪽에는 뿌리자국이 돌출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비늘마디와 가는 세로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눅진눅진하며 꺾인 면은 연한 갈색으로 매끈하고 반투명하며 각질이고 황백색의 작은 점이 많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최외층은 큐티클로 덮여있고 그 바깥측은 유조직으로 가득하다. 유조직 중에는 여러개의 유관속 및 점액세포가 흩어져있다. 유관속은 병립유관속 또는 외목포위유관속이 있고, 점액세포 중에는 옥살산칼슘속침정이 들어있다. 이 약은 약간 단내가 있고 맛은 달며 씹으면 끈적끈적하다.


1)진황정, 대잎둥굴레

이 약은 불규칙한 원주형 또는 덩어리 모양이고 길이 3-10cm, 지름 0.5-3cm이며 가끔 갈라져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흑갈색을 띠고 가로로 마디가 있고 반투명이다. 윗쪽에는 줄기가 붙었던 자국이 둥글게 오목하게 패여 있고 아래쪽에는 뿌리가 붙었던 자국이 돌출되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눅진눅진하며 꺾은 면은 엷은 갈색으로 반투명하며 각질이고 황백색의 작은 점이 많다.


2)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이 약은 불규칙한 원주형 또는 덩어리 모양이고 길이 3-10cm, 지름 0.5-3cm이며 가끔 갈라져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흑갈색을 띠고 가로로 마디가 있고 반투명이다. 윗쪽에는 줄기가 붙었던 자국이 둥글게 오목하게 패여 있고 아래쪽에는 뿌리가 붙었던 자국이 돌출되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눅진눅진하며 꺾은 면은 엷은 갈색으로 반투명하며 각질이고 황백색의 작은 점이 많다.


​[층층둥굴레]

10.症狀別 使用法
​[층층둥굴레]

11.各種 文獻 參考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

오래 먹으면 삼시충이 빠져나오는데,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으로 먹는다. 상시충은 보물을 좋아하는데, 황정을 100일 동안 먹으면 나온다. 중시충은 오미()를 좋아하는데, 60일 먹으면 나온다. 하시충은 오색()을 좋아하는데, 30일 먹으면 나온다. 모두 다 문드러져 나온다(『본초』).

​황정을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빛이 좋아지며 늙지 않고 배고픈 줄을 모른다. 뿌리와 줄기, 꽃과 열매 모두 먹는다. 뿌리를 캐서 먼저 팔팔 끓인 물로 충분히 쓴 즙을 없앤 다음, 9번 찌고 9번 햇볕에 말려서 먹는다. 혹은 그늘에 말려 찧어서 가루를 내어 매일 깨끗한 물에 타서 먹는다. 매실을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층층둥굴레]

▣한의학대사전

① 딴 이름은 토죽() · 녹죽() · 계격() · 중루()이다. 백합과 식물인 낚시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Reh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낚시둥굴레(죽대둥굴레)는 평안남도와 평양시의 낮은 산에서 자라며 각지에 심기도 한다. 봄이나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 폐경()에 작용한다.

비위()와 폐()를 보호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정수()를 불려준다. 약리 실험에서 혈압강하 작용, 혈당량강하 작용, 항동맥경화 작용, 간지방 침착방지 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는데, 병후에 쓴다. 또한 비위()가 허약한데, 마른기침, 폐결핵, 당뇨병 등에도 쓴다. 하루 9~15g을 탕제 · 고제() · 산제 · 환약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정주()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층층둥굴레]


황정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황정[黃精: 뇌공포자론(雷公?炙論)]


[기원]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정(Polygonatum sibirium Rep), 진황정(Polygonatum falcatum A. Gray),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의 뿌리줄기이다. 꽃은 5월에 희게 피고 9∼10월에 채취한다.


[성미] 맛은 달고, 약성은 평범하다. 비(脾), 폐(肺),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효능주치] 양음윤폐(養陰潤肺), 보비익기(補脾益氣), 자음전정(滋陰塡精)하므로 음허노수(陰虛勞嗽), 폐조해소(肺燥咳嗽), 비허핍력(脾虛乏力), 식소구건(食少口乾), 소갈(消渴), 요슬산연(腰膝酸軟), 양위(陽츁), 유정(遺精), 이명목암(耳鳴目暗), 수발조백(鬚髮早白), 체허이수(體虛而瘦), 풍나선질(風癩癬疾) 등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음허노수(陰虛勞嗽)·조해(燥咳)

자음윤폐(滋陰潤肺)시키므로 해수가 오래되고 혹은 신체가 허약한데 오래도록 해수가 그치지 않고 마른기침을 하면서 가래가 적게 나오고, 호흡이 짧고 헐떡이며 기음(氣陰)이 모두 허약한 증상에는 이 약을 단방으로 쓰거나 맥문동(麥門冬), 사삼(沙參), 천패모(川貝母), 백부근(百部根), 행인(杏仁) 각 8g을 쓰고, 기침할 때 만약 피가 섞이면 백급(白쨃), 아교(阿膠), 한련초(旱蓮草)를 각 8g씩 배합한다.


병후 허약으로 정혈(精血)이 극도로 허약해서 어지럽고 가슴이 뛸 때는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각 12g, 당귀(當歸), 하수오(何首烏) 각 8g을 쓴다.


2) 소갈(消渴)

음허내열(陰虛內熱)로 소갈이 심하면 단방으로 대량을 달여서 복용하면 효력을 얻는다. 만약 열이 심하면 천화분(天花粉) 12g, 지모(知母), 석고(石膏) 각 8g을 쓰고, 음기(陰氣)의 손상 정도가 중증일 때는 생지황(生地黃), 천문동(天門冬), 북사삼(北沙蔘) 각 10g을 쓰고, 소갈이 오래 되었을 때 그 증상이 음손(陰損)과 양손(陽損)이면 숙지황(熟地黃) 8g, 산약(山藥), 산수유(山茱萸) 각 6g, 부자(附子), 육계(肉桂) 각 4g을 써서 음양을 수렴하면서 보(補)하는 효능을 얻는다. 그리고 기음양허(氣陰兩虛)에는 황기(黃쨝), 미국삼(美國蔘), 산약(山藥), 석곡(石斛)을 써서 기음을 모두 보하는 치법을 쓴다.


3) 보비익기(補脾益氣)

비위기허(脾胃氣虛)하고 권태감이 많으면서 기력이 떨어지고 음식을 적게 먹으면서 변이 묽고 맥박이 허연(虛軟)한 사람은 만삼(蔓參) 15g, 백복령(白茯쫢) 4g, 백출(白朮) 8g을 배합한다. 만약 비위음허(脾胃陰虛)로 입안이 건조하고 식사량이 적으면서 음식의 맛을 모르고 식사를 하는 사람은 신곡(神즿), 맥아(麥芽) 각 6g, 산약(山藥) 10g을 배합한다.


4) 신허정휴(腎虛精虧)

신장기능허약으로 허리와 무릎이 시큰대고 힘이 없는 증상, 남자의 정력감퇴와 유정증, 머리가 어지럽고 귀에서 헛소리가 들리고, 눈이 침침하며 꽃이 왔다갔다 하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과 머리가 일찍 희어지는 증상, 그리고 어린이가 잘 걷지 못하는 증상에 구기자(枸杞子) 12g과 같이 사용한다. 만약 정혈(精血)이 모두 허약하면 당귀(當歸)를 배합한다.


5) 체허이수

허약체질에 상용하는데 신체가 허한(虛寒)하면 생강(生薑), 육계(肉桂) 각 4g을 쓰고, 음허(陰虛)한대 열이 있으면 천문동(天門冬) 8g과 꿀을 배합한다. 기음(氣陰)이 모두 허약하면 생지황(生地黃), 황기(黃쨝), 단삼(丹蔘) 각 12g을 쓴다.


[임상연구]


1) 백혈구 감소증

황정농축액을 복용했을 때 백혈구 개수가 복용전보다 2000개 이상 늘어났으며, 어지럽고 기운이 없는 증상이 호전되었다. 대다수의 환자가 그 후부터 개선되기 시작하였으며 소수의 환자에게서 가볍게 헛배가 부른 증상이 나타났다.


2) 근시안

황정 45kg, 흑두(黑豆) 5kg, 설탕 5kg 농축액을 매일 20ml씩 12∼25일간 치료하였더니 근시가 크게 개선되었다.


3) 수족 버즘

황정을 75% 메탄올 250ml에 15일간 담가 밀폐하여 그 여과액을 식초 150ml와 혼합하여 환자의 손발 환처에 발랐더니 치료효과가 높았다.


4) 폐결핵과 만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과 폐결핵에 증상에 따른 배합처방을 하였더니 호전반응을 보였다.


5) 고지혈증

산사(山査), 상기생(桑寄生) 각 12g을 달여서 복용하였더니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라이드, β-지단백에 유효율이 높았다.


6) 관심병

단삼(丹蔘), 하수오(何首烏), 갈근(葛根) 농축액을 정맥주사하였더니 심전도상에서 유효율이 높았다.


[약리]


1) 항병원미생물 작용

물로 달인 농축액의 체외실험에서 장티프스균, 황색초도상구균, 개선균, 결핵균 등의 발육을 억제시키고 있었다. 황정다당을 안액(眼液), 내복액(內服液), 주사액으로 토끼의 포진병독성각막염 치료에 사용하였더니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심혈관계통

황정수침액은 토끼의 심장관상동맥 혈류량을 증가시켰으나 심박과 심근수축력에는 영향이 없었다. 개에게 정맥주사하였더니 혈류량을 증가시켰다.


3) 고지혈증 작용

실험성 고지혈증 토끼에게 황정 달인액을 1회 5ml, 매일 2회 30일간 투여하였더니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β-지단백, 콜레스테롤치가 현저하게 내려갔다. 그러나 고밀도의 지단백콜레스테롤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황정은 동맥죽상경화 예방과 간지방침윤에 일정한 작용을 보이고 있었다.


4) 항노화작용

황정 달인액, 20% 농도의 뽕나무잎 침출액으로 누에를 기른 것은 누에 유충기의 작용을 연장시키고 있었다. 황정달인물은 파리의 평균 생존률을 8∼9% 연장시키고 있었다. 그 중 암놈에게 더욱 현저하였다. 달인액을 3g/(kg·d) 연속 1개월 복용으로 생쥐의 심근과 뇌조직 내의 유산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5) 면역기능 영향

황정 달인물은 3, 18, 24개월 된 생쥐의 ANAE와 양성임파세포의 백분율을 촉진시키고 있었다. 또 3개월된 생쥐의 체외항체형성 세포 촉진작용이 현저하였다.


6) 혈당에 영향

토끼에게 황정침출고를 투여했을 때 혈당함량이 처음에는 증가하였으나 점차 하강되었다. 혈당이 잠시 상승되었던 것은 황정침출액 중에 들어있던 탄수화물의 작용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부신피질로 유발된 혈당의 과다상승을 현저하게 억제시킨다.


7) 기타

항산화작용, 생쥐의 수영시간 연장, 생쥐의 출혈량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용량] 10∼20g


[화학성분] 점액질, 전분, 당, 여러 종류의 amino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주의사항]


비위장(脾胃臟)이 허약하고 습(濕)이 많으며, 기침과 가래, 그리고 설사가 있을 때는 마땅하지 않다.]


​[층층둥굴레]


황정을 낚시둥글레라고 하는데 북한의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황정(黃精) //낚시둥글레, 토죽(兎竹), 녹죽(鹿竹), 계격(鷄格), 중루(重樓)// [본초]


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낚시둥글레(Polygonatum sibiricum Reh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낚시둥글레(죽대둥글레)는 평안남도와 평양시의 낮은 산에서 자라며 각지에 심기도 한다. 봄 또는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비경, 폐경에 작용한다. 비위(脾胃)와 폐(肺)를 보하고 기침을 멈추며 정수(精髓)를 불려준다.


약리실험에서 강압(降壓)작용, 혈당량감소작용, 동맥경화예방작용, 간지방 침착 예방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는 데, 앓고 난 후에 쓴다. 또한 비위가 허약한 데, 마른 기침, 폐결핵, 당뇨병 등에도 쓴다. 하루 9~15그램을 물로달이거나 고를 만들거나 가루내거나 환을지어 먹는다.]


둥글레와 황정은 모두 옛부터 우리 몸에 좋은 보약으로 귀중하게 쓰여온 약초이기도 하다.


​[층층둥굴레]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개요


둥굴레속(Polygonatum) 식물은 전 세계에 약 40여 종이 있으며, 북반구 온대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31종이 있으며, 오늘날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대략 12종이다. 이 종은 주로 중국의 흑룡강, 길림, 요녕, 하북, 산서, 섬서, 내몽골, 영하, 감숙, 하남, 산동, 안휘, 절강 등지에 분포한다. 그 밖에도 한반도, 몽골 및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 지역에도 분포한다.


‘황정’이라는 약명은 《명의별록()》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다. 《중국약전()》(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황정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 가운데 하나로 수록하였다. 이 종의 주요산지는 중국의 하북, 내몽골, 섬서, 요녕, 길림, 하남, 산서 등이다.


둥굴레속 식물에 주로 함유된 성분은 스테로이드 사포닌과 다당류이다. 《중국약전》에서는 자외선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황정에 함유된 무수포도당의 함량을 황정 총 다당의 7.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층층갈고리둥굴레에는 면역력 증강, 노화방지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황정에는 보신익정(), 자음윤조() 등의 작용이 있다.


2)성분


뿌리줄기에는 glucose, mannose and galaturonic acid로 구성된 폴리고나툼 다당류 A, B, C, 스테로이드 사포닌 성분으로 sibiricosides A, B, neoprazerigenin A 3-O-β-lycotetraosid, 14α-hydroxysibiricoside A,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polygonatines A, B, 리그난 성분으로 (+)-syringaresinol, (+)-syringaresinol-O-β-D-glucopyranoside, liriodendrin, (+)-pinoresinol-O-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6,8-dimethyl-4’,5,7-trihydroxyhomoisoflavone, 세레브로시드 성분으로 huangjing shenjing qiaogan A, B,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3)약리작용


​◈ 항노화
황정의 다당을 사료로 투여하면 검정배 초파리의 평균수명과 최고 수명 및 반수 사망시간을 연장시킨다. 노령 Rat에 사료로 투여할 경우, 외주혈 임파세포의 α-나프틸아세트산에스터가수분해효소(ANAE) 양성률과 적혈구, 안구 망막, 수정체 핵, 수정체 피질의 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 활성을 증가시키며, 간장과 신장의 리포푸신(LF) 및 심장의 지질과산화물(LPO)의 함량을 저하시키고, 뇌의 모노아민산화효소-B(MAO-B)의 활성을 억제한다. 황정의 열수 추출물은 노화한 동물의 뇌와 성선조직의 단립효소를 활성화 하며, Mouse 대뇌피질층과 해마 콜린아세틸전이효소(ChAT)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아세틸콜린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학습 기억능력을 개선하며, 뚜렷한 항노화작용을 나타낸다.


◈ 면역력 증강
황정의 다당은 60Co의 γ선 조사()로 인한 Mouse의 외주혈세포 및 혈소판 감소를 뚜렷하게 길항하며, 적혈구의 C3b 수용체와 면역복합체 결합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온열약으로 유도된 음허 Mouse의 체중증가율을 제고하며, 혈청 인터루킨-2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혈장 cAMP의 함량과 cAMP/cGMP 비율을 감소시킨다. 황정의 내복액은 S180 이종이식된 Mouse 및 화학적 돌연변이원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로 암이 유도된 Rat의 면역기능을 뚜렷하게 개선함으로써 Mouse S180의 생장 및 MNNG에 의한 암종의 발생률을 감소시킨다.


 혈당강하
황정의 다당은 아드레날린에 의해 유도되는 고혈당 MousecAMP 함량과 혈당치를 뚜렷하게 낮추며[참고문헌:13],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발생한 당뇨병 Mouse의 뇌, 심장 및 신장 조직의 당기화최종산물수용체(RAGE)의 mRNA 발현을 억제한다.


 콜레스테롤 감소
황정의 다당은 고지혈증 토끼의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지단백농도 등을 뚜렷하게 저하시키며, 동맥 내막 포말세포의 형성을 억제한다.


 강심()
황정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뚜렷한 강심작용이 있는데, 이는 β-아드레날린수용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항균
황정의 추출물은 티푸스균, 황색포도상구균, 항산간균, 결핵간균, 홍색모선균, 스포로트릭스증(Sporothrix schenckii), 백색염주구균 등 다종의 세균과 진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4)용도

황정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자신윤폐[, 신음()을 자양하고 폐의 기운을 원활히 해 줌], 보비익기(, 지라를 튼튼하게 하여 기허증을 치료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음허폐조[, 음정()이 부족하여 진액이나 혈이 마르는 병증], 건해소담[, 헛기침과 막혀 있는 탁한 담()을 없애 줌], 폐신음허()로 인한 노수구해[, 허로()하여 생긴 기침이 오래감], 비위허약(), 신허정휴(, 신허로 허리와 무릎이 시큰대고 힘이 없는 증상)로 인한 두훈(), 요슬산연(,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어지는 증상), 두발조백(), 소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통풍[, 손과 발의 관절이 붓고 아픈 요산성()의 관절염], 골막염, 고혈압, 신경쇠약, 백혈구 감소증, 약물중독성 난청, 근시안, 수족선()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5)해설

황정은 중국위생부에서 규정한 약식동원품목 가운데 하나이며, 그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해 더욱 관심이 집중되는 추세에 있다. 황정 이외에 《중국약전》에는 다화황정 및 전황정도 중약 황정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상의 3종 식물은 중국 고대 본초도감에서도 모두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층층둥굴레]


12.其他資料

​▣황정 상세

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는 40~60cm이고 털은 있으며 세로 도드라진 줄이 있다. 잎은 줄기 윗부분에서는 4~6개가 윤생()하며 밑부분에서는 호생()하고 엽병()은 없다. 엽신()은 선형() 혹은 선상()의 피침형()이고 길이 7~8cm, 너비 5mm 정도이며 끝부분은 뾰족하고 말렸다.

잎에는 털이 없으며 윗부분은 녹색이고 밑부분은 ‘희읍스름한’ 녹색이다. 엽액()에서 4~6개의 화경()이 나오는데 처음에는 곧추 서나 후에는 아래로 구부러지며 길이는 15~20mm이다. 화경()은 2~3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곳에 포()가 있는데 그의 길이는 4mm 정도이고 막질()이다.

꽃은 백색이고 각 꼭지에 2~3개씩 피며 관상()이고 길이는 약 10mm 정도이다. 화통()의 자방() 윗부분은 좀 좁아졌으며 끝은 치상()으로 얕게 갈라졌는데 그의 길이는 약 2mm 정도이다. 수술에는 털이 없으며 윗부분까지 화통에 붙어 있다.

열매는 장과(漿)이고 둥글며 익으면 흑색이 된다. 꽃은 5~6월에 핀다. 근경()을 말린 것을 ‘황정()’이라 하여 해열제 또는 자양강장제로 쓰인다. 자강도 동신군 등 지역의 산과 들, 밭둑 또는 암석지에서 자란다.


​[진황정]
​[죽대(큰잎둥굴레)]

13.副作用 및 注意事項
1)주의사항
◈진황정(대잎둥굴레), 전황정(滇黃精), 죽대(큰대잎둥굴레)
자니(滋膩)하기 때문에 담습옹체(痰濕壅滯)나 비허유습자(脾虛有濕者), 중한변당자(中寒便溏者)에는 신용(愼用)한다.​ 


[출처 : 두산백과, 동의보감(東醫寶鑑), 본초강목(本草綱目),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한의학대사전,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한의학및고유의한약재, 몸에좋은산야초, 한국본초도감,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운곡본초학(耘谷本草學), 약초연구가전동명님글중, 다음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키백과]

 

(네이버카페 청산약초)http://cafe.naver.com/greensntpc



봉황산
봉황산 건강·의학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浮雲自體本無實 生死去來亦如然. 제가 본 블러그에 각종 약초의 효능 및 동의보감, 신약본초 등등의 건강 정보를 게시하는 이유는 본 필자가 한의학에 대한 공부를 하고자 하는 목적이오니 보시는 분들께서 착오 없으셨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