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8일 화요일 [(백) 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 기념일]

프로필

2020. 1. 28. 0:00

이웃추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마르코 3,31-35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3,31-35

31 그때에 예수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왔다.

그들은 밖에 서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님을 불렀다.

32 그분 둘레에는 군중이 앉아 있었는데,

사람들이 예수님께 “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과 누이들이

밖에서 스승님을 찾고 계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33 그러자예수님께서그들에게, “누가내어머니고내형제들이냐?” 하고반문하셨다.

34 그리고 당신 주위에 앉은 사람들을 둘러보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35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

마르코 복음이 말하는 예수님의 참가족은 예수님 주위에 앉아 있는 이들입니다.

예수님과 함께 머무는 것이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것입니다.우리는 제대로 살아보겠다면서 많은 결심을 하고 실천할 것을 계획합니다.

물론 계획한 대로 실천하는 경우는 참 드물지요.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결심하고 실천 계획 세우기를 포기하지 않습니다.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것도 비슷한 모습을 보일 때가 많습니다.

신앙생활을 제대로 하겠다면서 절제와 극기, 봉사와 기도 생활을 무리하게 계획합니다.

실패로 돌아선 신앙생활의 결심들 앞에 늘 부족하다고 스스로를 반성하고 또 다른 신앙생활을 꿈꾸기도 하지요.그러나 참된 신앙은 그저 예수님 발치에 머물고, 그분의 말씀이 무엇인지 몰라도 애써 이해하려 겸손되이 경청하는 것입니다.

제 계획에 눈멀고 귀먹어 바로 옆에 계신 예수님께서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듣지 못하는 잘못을 저지르지 말아야 합니다.지난 시간 동안 하느님을 잊고 살았던 사실을 반성하며, 다시 한번 하느님을 믿고 따르는 길을 걷겠노라 다짐하였던 신명기계 역사서의 정신은, 이 한마디로 요약됩니다.

“이스라엘아, 들어라!”(신명 6,4)듣는 귀를 가지는 것이 변화와 회개의 시작입니다.

듣지 못하면서 무턱대고 결심하고 계획하는 일은, 알지도 못하는 길을 무작정 나서는 무지한 사람들의 반복된 죄악입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_by Wailes of Newcastle_photo by Andreas F. Borchert_in the Cathedral of the Assump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in Thurles_Ireland.jpg

뉴캐슬의 웨일스(Wailes of Newcastle)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성인명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축일

1월 28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신부, 신학자, 교회학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224/1225-1274년

같은이름

도마, 아퀴노, 토마스아퀴나스, 토머스

성 토마스 데 아퀴노(Thomas de Aquino, 또는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탈리아 로마(Rome)와 나폴리(Napoli) 중간에 있는 로카세카(Roccasecca)의 가족성(城)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퀴노의 백작 란둘프(Landulph)와 신심 깊은 어머니 테오도라(Theodora)의 막내아들로 태어나 불과 다섯 살의 나이에 몬테카시노(Monte Cassino)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보내져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1239년경에는 더 좋은 교육을 받아 훌륭한 지도자가 되길 바라는 가족의 뜻에 따라 나폴리 대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하지만 그곳에서 그는 도미니코회의 스승을 만나 큰 영향을 받으면서 가족의 뜻과는 달리 수도자가 되려는 뜻을 품게 되었다. 그는 1244년 가족들의 완강한 반대를 물리치고 결국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였다. 이때 가족들은 그를 설득하는 것이 어려워지자 강제로 데려다가 15개월 동안이나 로카세카 성에 감금시킨 일도 있었다.

그러나 성 토마스는 뜻을 굽히지 않았고, 결국 1245년에 다시 수도회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는 1245년부터 3년 동안을 파리(Paris)에서 수학하고, 1248년부터 쾰른(Koln)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그는 프랑스 파리와 독일 쾰른에서 당시 저명한 신학자로 이름난 성 대 알베르투스(Albertus Magnus, 11월 15일)의 문하생으로 공부하여 1256년에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250년과 1251년 사이의 어느 때에 사제품을 받았다. 성 토마스의 스승이었던 성 대 알베르투스는 그에 대해 이런 말을 남겼다. “이 말 없는 황소는 그의 울부짖음으로 전 세계를 가득 채울 것이다.” 1252년부터 그는 주로 파리와 이탈리아의 나폴리(Napoli), 아나니(Anagni), 오르비에토(Orvieto), 로마(Roma), 비테르보(Viterbo) 등지에서 강의했고, 1259-1264년 사이에 “대이교도대전”(對異敎徒大全, Summa Contra Gentiles)을 마무리 지으면서 그의 저작 중 가장 유명한 “신학대전”(神學大全, Summa Theologiae)의 집필에 착수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1269년에는 수도사제와 교구사제 간의 논쟁에 말려들었고, 벨기에 브라반트(Brabant)의 시게르(Siger)와 요한 페캄(John Pecham) 그리고 파리의 주교 에티엔느 탕피에의 철학적인 가르침을 반대하고 나섰다. 그는 1274년 리옹(Lyon) 공의회에 참석하여 동방과 서방 교회의 재일치 가능성을 논의하라는 복자 교황 그레고리우스 10세(Gregorius X, 1월 10일)의 부름을 받았으나, 리옹으로 가는 도중 테라치나(Terracina) 교외 포사 누오바(Fossa Nuova)에 있는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에서 1274년 3월 7일 선종하였다. 1369년 1월 28일 에스파냐의 툴루즈(Toulouse)로 그의 유해가 옮겨졌고, 그때부터 이날을 성인의 축일로 기념하게 되었다.

그의 미완성 대표작인 “신학대전”은 현대 가톨릭 신학의 뿌리로 받아들여질 만큼 위대한 신학 사상을 담고 있다. 로마에서 시작한 집필은 파리로 옮겨서도 계속되었다. 하루는 하느님께서 성 토마스에게 나타나셔서 “토마스야 너는 나에 대해 참 잘 썼다. 그 대가로 무엇을 원하느냐”고 물으셨을 때, 그는 “주님, 당신 외에는 아무것도 원하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렇듯 하느님의 축복 속에 그의 집필 작업이 계속되었으나, 1273년 12월 6일 성 니콜라우스 축일 미사 중에 강렬한 하느님 체험을 한 후부터 돌연 모든 집필 작업을 중단했다. 당시 “신학대전” 제3부 ‘속죄’에 대한 부분을 집필 중이던 그에게 왜 더는 글을 쓰지 않느냐는 친구의 질문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하느님의 발현 시에 형언키 어려운 신비를 보았다. 그동안 내가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여 쓴 것은 이 신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결국 “신학대전” 미완의 대작으로 남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지적 능력을 통해 하느님을 더 깊이 탐구하고 철저히 섬긴 대학자였다. 동시에 그는 지극히 겸손하고 거룩한 사람이었다. 그는 환시와 탈혼, 그리고 하느님의 계시를 체험했다. 1261년 교황 우르바누스 4세(Urbanus Ⅳ)는 당시 몇몇 나라에서 지키던 성체 축일을 보편교회 전례력에 포함하기 위해 미사 전례문과 성무일도(시간 전례)에 들어갈 성체 찬미가가 필요했다. 그래서 당대 석학인 성 토마스와 성 보나벤투라(Bonaventura, 7월 15일)에게 그 일을 맡겼다. 어느 날 우연히 성 토마스의 찬미가를 본 성 보나벤투라는 그 완벽함에 감탄해 자신이 작성한 찬미가를 찢어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교황은 성 토마스가 작성한 것으로 ‘그리스도의 성체와 성혈 대축일’ 성무일도와 미사 전례문을 정했다. 그는 이외에도 오늘날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많은 찬미가를 지었고, 주님의 기도(Pater Noster), 사도신경(Symbolum Apostolicum) 그리고 성경 일부에 대한 주해서도 썼다.

그는 1323년 7월 21일에 교황 요한 22세(Joannes XXI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고, 1567년에는 교황 비오 5세(Pius V)에 의하여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다. 그리고 1880년에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하여 모든 대학교와 대학 그리고 학교의 수호성인으로 선언되었다. 그에게 붙여진 칭호는 ‘보편적 박사’(Doctor Communis) 또는 ‘천사적 박사’(Doctor Angelicus)이다.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영원하신 아버지”(Aeterni Patris)에서 모든 신학생이 그의 사상을 연구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성 토마스 데 아퀴노는 그리스도교 최대의 신학자이며, 그의 사상은 그의 사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지배하고 있고, 그의 저서들은 신앙과 이성 간의 예리한 구분으로 특징지어지는 탁월한 저작들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자료

고종희 저, 명화로 읽는 성인전(알고 싶고 닮고 싶은 가톨릭성인 63인) - '토마스 아퀴나스', 서울(한길사), 2014년, 384-391쪽.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하) - '성 토마스 데 아퀴노 사제 학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399-403쪽.

알버트 침머만 저, 김율 역, 토마스 읽기, 서울(성바오로), 2004년.

요셉 피퍼 저, 신창석 역, 토마스 아퀴나스 그는 누구인가, 왜관(분도출판사), 2004년.

이나가키 료오스케 저, 정종휴/정종표 역, 토마스 아퀴나스, 서울(새남), 2000년.

제임스 마틴 저, 성찬성 역, 나의 멘토 나의 성인 -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토마스 아퀴나스’, 서울(가톨릭출판사), 2012년, 387-412쪽.

최익철 저, 우표로 보는 교회를 빛낸 분들 - '토마스 아퀴나스', 서울(으뜸사랑), 2014년, 124-130쪽.

토마스아퀴나스 저, 박승찬 역, 신학요강, 서울(나남), 2008년.

페르디난트 홀뵉 저, 이숙희 역, 성체의 삶을 위한 성체와 성인들 -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 서울(성요셉출판사), 2000년, 114-125쪽.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1권 - '토마스 아퀴나스',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5년, 8678-8688쪽.

J. 와이스헤이플 저, 이재룡 역, 토마스 아퀴나스 수사, 서울(성바오로), 1998년.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 서울(성바오로), 2002년, 43-45쪽.

설빙화
설빙화 취미

시집 - 푸른화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