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예쁜 집 살고픈 소비자들, 인테리어 앱에 무엇을 원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팬데믹·부동산 폭등 이후 홈퍼니싱(집꾸미기) 관심↑

IT 스타트업 기업부터 기성 상장 기업까지 앱 시장 참전

대규모 이용자 확보 하고도 상품 판매 중개 및 광고 외 마땅한 수익원 없어

신기술 개발·옴니채널 구축 통해 수익성 개선 나선 상황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팬데믹 사태가 종식되고도 견고한 인테리어 수요를 잡기 위한 IT업계의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대부분 기업이 자사 상품 판매 내지는 소셜마케팅으로 적자를 면치 못해 수익성 개선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다.

5일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한 다양한 인테리어/가구 앱의 서로 다른 전략이 눈길을 끌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의 분석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기준 지난 10월 인테리어 앱 이용자 수와 시장 점유율은 ▲오늘의집 ▲한샘몰 ▲이케아 ▲자주(JAJU) ▲집꾸미기 ▲모던하우스 ▲원룸만들기 순으로 나타났다.

오늘의집과 집꾸미기, 원룸만들기 등을 제외한 나머지 앱은 모두 기성 상장 기업의 온라인 앱이다. 경쟁 심화로 계속 이어지는 실적 악화를 옴니채널(Omni Channel) 구축을 통해 타파할 목적으로 운영 중인데 아직 뚜렷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은 상태다. 2014년 창업 후 소셜 마케팅의 성공으로 약 80%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한 '오늘의집'이 현재로썬 2030세대 충성고객층을 기반으로 타 기업의 점유율 상승을 막고 있다.

문제는 이들 앱 대부분이 명확한 수익원이 부재한 상황이라는 데 있다. 대표적으로 오늘의집 모회사 버킷플레이스는 지난해 당기순손실 43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적자가 15.6% 증가했다. 커뮤니티를 통해 이용자를 록인(Lock-In)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가구 판매 중개 외 마땅한 수익 사업이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비단 오늘의집 뿐 아니라 다른 앱들 또한 모두 가구 판매와 광고 수익을 주 수익원으로 하는 상태다.

한계를 인지한 각 기업이 미래 고객 및 수익원 확보를 위해 고안한 전략은 ▲3D/AR 등 첨단 기술을 통한 인테리어 조력 ▲시공업체 및 가구제작 중개 서비스 확장 등 두 가지로 요약된다.

오늘의집은 기술 확보를 통한 인테리어 조력에 집중하는 편이다. 2020년 가상 3D 인테리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키드로우와 기술을 제휴하고 지난 2021년 3D 인테리어 서비스를 시작한 후 지난 1월에는 판매 가구 일부에 증강현실(AR) 기능을 적용하고, 소비자가 가구 구매 전 자신의 집에 직접 배치해볼 수 있는 기술을 공개했다. 오늘의집은 AR 기능 고도화를 위해 현재 확장현실(XR) 엔지니어 등 개발자를 늘리고 있다. 머신러닝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코어 엔진 개발자를 확보, 향후 AI를 활용한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게 목표다.

한샘은 오늘의집과 달리 자사가 확보한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2월 온라인 플랫폼인 통합한샘몰을 내놓으며 홈리모델링 부문을 시작한 후 지난달 홈퍼니싱 부문 서비스를 시작했다. 홈리모델링에서는 ▲아파트로 찾기 ▲언택트 3D 제안서 ▲리모델링 매니저 기능 등을 선보이며 소비자가 쉽게 자신의 집과 같은 아파트와 평수의 시공사례를 다양한 조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이어 홈퍼니싱 부문에는 ▲매장 상담 예약 ▲QR체험카드 ▲붙박이장 셀프플래너를 추가했다. 기업의 강점을 온라인을 통해 최대한 끌어내겠다는 전략이다.

IT업계 관계자는 "인테리어와 리모델링 산업의 현재 주소비자와 미래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한데, 부동산 시장이 관련 산업에 큰 영향을 주다 보니 각 기업의 해석이 조금씩 다르다"며 "ICT기술과 옴니채널 두 가지 중 무엇이 더 소비자에게 필요할지 생각해볼 때"라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