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입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기사와 관련 없는 이미지 입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김은 ‘바다의 반도체’로 불린다. 수산물 중에서 단연 수출 1위라는 의미에서다. 지난해 수출액이 6억5570만 달러에 달했다. 해양수산부가 지난달 12일 열린 제40회 국무회의에서 2024년까지 김 수출액 1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내놨을 정도로 김의 가치는 날로 상승세다.

김의 수출 기세는 펄펄 끓는 라면의 인기와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는다. 라면의 지난해 수출액은 7억6000만달러였다. 김치에 비하면 월등하다. 김치는 2021년에 최고 기록(지난해 포함)을 세웠는데 규모는 1억5990만 달러에 불과했다. K푸드의 해외 진출이라는 관점에서 김은 라면과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다.

김 생산국은 전 세계에서 3개국뿐이다. 중국, 한국, 일본이다. 수출액 순위로는 중국이 1위지만, 주로 식품 원료로 판다. 가공 과정의 위생 문제 등을 감안하면 식탁에 오르는 김의 수출 1위는 한국이다. 일본은 인구 고령화와 재배 면적 감소로 인해 김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바뀌었다. 전라남도, 경상남도 연안에서 김 원물을 스시용 김으로 가공해 가져간다.
'1조 수출' 김 산업에 찬물 끼얹는 민주당의 자해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김의 효능에 눈을 뜬 곳은 미국이다. 감자 칩처럼 간식으로 한국의 김구이를 즐긴다. 김미(gimMe), 씨스낵스, 제이원 등의 현지 업체들이 지도표 성경김 등 한국의 김 제조사와 손잡고 아마존 등에서 다양한 맛의 김을 판매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북미 시장의 김 침투율은 대략 6~7%로 추산한다. 100가구 중 6, 7가구 정도가 김을 사 먹는다는 얘기다. 여전히 성장성이 크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도 K 콘텐츠 열풍에 힘입어 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유럽은 지금까지 김의 불모지나 다름없지만, 거꾸로 생각해보면 새롭게 개척할 수 있는 신천지이기도 하다. 생각하기에 따라선 한국산 김의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한 셈이다.

요즘 김 양식업체들과 제조사들은 노심초사다.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정쟁의 골이 갈수록 깊어져서다. 한 김 제조업체 대표는 “원전 처리수가 한국의 바다를 죄다 오염시킬 것처럼 말들을 하니, 이런 얘기가 외신을 타고 퍼지면 한국 김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되겠냐”고 호소했다.

남의 집 불운을 제집 행운으로 기뻐할 일만은 아니지만,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는 우리 수산업엔 호재라고 할 수 있다.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건 일본 수산업체다. 중국(홍콩 포함)만 해도 처리수를 바다로 보낼 경우 일본산 수산물을 수입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놨다. 지난해 한국산 수산물 수출 실적은 31억5971만달러(약 4조원)로 2021년 수출 실적(28억2534만달러) 대비 11.8% 신장했다. 역대 최대 실적이긴 하지만, 노르웨이 같은 수산물 수출 대국(지난해 990억 크로네, 약 12조원)에 비하면 삼면이 바다라는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특정 품목에 대한 의존도도 높다. 김(6억5575만달러)과 참치(6억252만달러)가 전체 수산물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육박한다. 이런 상황에서 국산 김에 대한 ‘인식의 오류’가 확산한다면 한국 수산업의 상승세는 꺾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원전 처리수 괴담 유포자가 아니라, 이번 기회를 한국 수산업 약진의 기회로 삼자고 제안했다면 어땠을까. 육상에서 김을 만드는 R&D(연구·개발)에 좀 더 투자를 확대하고, 광어나 도미 등 스시에 올라가는 횟감을 한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양식업을 키우자고 말이다. 허무맹랑한 공상과학 소설보다 더 현실성 없는 상상이라는 작금의 현실이 안타깝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