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징그럽다고 여기는 지렁이는 알고 보면 꿀벌과 함께 지구 환경을 지켜주는 고마운 존재이기도 하다. 요즘처럼 비가 오고 난 뒤 도로나 땅 위에서 기어가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생태계 엔지니어’이자 ‘지구의 청소부’로 불려지는 지렁이의 모든 것을 Q&A로 들려준다.
 
Q. 지렁이의 등장은?
A. 지렁이는 영어로 ‘earthworm(어스웜)’이다. 지룡이, 지릉, 거생이 등으로 불려진다. 약 5억 년 전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으로 추정된다. 땅에 사는 무척추동물 중 몸집이 가장 크며, 전 세계에 7000종 이상이 살아간다. 프랑스에는 140종, 우리나라에는 6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오스트레일리아자이언트지렁이는 길이 3m에 무게가 400~450g이나 된다. 

Q. 몸 구조는?

A. 지렁이는 암수가 한몸(자웅동체)이다. 다시 말해 정소와 난소가 모두 있다. 하지만 정자와 난자가 수정하지 않고 딴 개체와 서로 정자를 맞바꾼다. 환형(체절)동물인 지렁이는 체절(몸마디)이 150개 정도이며, 고리 모양을 지닌다. 창자는 입에서 항문까지 이어져 있다. 다른 장기는 대부분 앞쪽인 머리 부분에 모여 있다. 뇌와 심장 다섯 쌍, 모이주머니, 생식기 등이다. 지렁이는 허파(폐)를 지니고 있지 않아 피부를 통해 숨을 쉰다. 이따금 짝짓기로 1년에 10개에서 수백 개의 알을 낳는다. 새끼는 1년 후 성체가 되며, 수명은 4~8년 남짓이다.

Q.앞과 뒤 구분은?
A. 지렁이는 피부색을 띠는 ‘환대’라는 둥그스름한 띠가 몸통의 3분의 1 지점에 해당하는 32~37번 체절 사이에 있다. 여기서 가까운 쪽 끝부분이 입이다. 그 반대편은 항문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환대는 생식기관이다. 따라서 어릴 때는 앞뒤 구별이 쉽지 않다.

Q.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이유?
A. 지렁이는 체절마다 머리카락 모양의 털이 나 있다. 즉, 강모로 인해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것이다. 눈과, 귀, 뼈와 다리가 없는 지렁이는 온몸에 파여있는 마디를 오므렸다 폈다가 하며 앞으로 기어가고 거칠한 털은 흙 속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한다. 

Q. 밖으로 나오는 이유?

A. 지렁이는 습하고 기름진 땅을 좋아하는 특징이 있다. 또 피부를 통해 산소를 빨아들인다. 비가 오면 땅에 물이 차고 흙 속에 산소공급이 잘 이뤄지지 않아 숨을 쉬기 위해 땅 밖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리저리 헤매다 강한 햇볕에 말라 죽기도 한다. 최근의 잇따른 폭염으로 인해 지렁이의 생태도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땅속 수분이 마를 경우 습기가 많은 배수구를 찾는데, 이 배수구가 마르면서 모여있던 지렁이들이 한꺼번에 죽는 일이 발생한다. 
 
Q. 지렁이는 대지의 장(腸)?

A. 지렁이는 땅속 집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이때 썪은 낙엽을 먹어 치워 소화한 다음 하루에 자기 몸만큼의 똥(분변토)을 거름으로 만든다. 안윤주 건국대 환경보건과학교 교수팀은 지렁이가 흙 속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분해해 나노 플라스틱으로 배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특히 지렁이가 파 놓은 땅굴(최대 깊이 2m 이상)을 통해 공기가 들어와 나무와 채소, 곡식의 뿌리가 숨을 쉰다. 쉽게 말해 지렁이가 많은 곳이 농작물이 자라기 좋은 땅이다. 그런 이유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지렁이는 대지의 장(腸)’이라고 했다. 찰스 다윈은 지렁이의 땅굴을 일컬어‘흙의 창자’로 불렀다. 한편, 땅속에 사는 두더지는 지렁이가 없으면 죽는다. 어두운 땅속에서 지렁이밖에 먹을 게 없기 때문이다. 지렁이는 또 새와 오소리 등의 주요 먹잇감이기도 하다. 지렁이가 없으면 먹이사슬이 끊어질 수 있다. 지렁이가 ‘생태계 엔지니어’로 불리는 이유다.

 

 

 

저작권자 © 소년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